"안재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항목)
5번째 줄: 5번째 줄:
 
|영문명 =  
 
|영문명 =  
 
|출생 - 사망 = 1932년 -
 
|출생 - 사망 = 1932년 -
|출생지 =  
+
|출생지 = 황해도 사리원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13번째 줄: 13번째 줄:
 
}}
 
}}
 
=='''작가소개'''==
 
=='''작가소개'''==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로 꼽히는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교육 받고 자란 미술 1세대 화가로 한국적 전통의 종이와 미감을 접목한 추상미술로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모색해왔다.<br/>
+
황해도 사리원 출신으로 평양예술대학에서 수학하고 한국전쟁 때 월남한 뒤 서울대 서양화과를 나왔으며 현대미술협회, 앙가쥬망 동인으로 신미술운동에 참여했다. 완벽하고 원숙한 그의 드로잉 품은 회화의 밑그림이라기보다 드로잉 자체가 독립된 회화작업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은둔의 화가'로도 불리는 [[정창섭]] 화백은 서울대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서울대 미대 교수로 30여년간 재직하면서 평생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다. 1953년 제2회 국전에서 캔버스에 유채로 그린 '공방'(239×129㎝)으로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한 그는 1960년대 서양미술 사조였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722 앵포르멜] 회하에서 시작하여 한국 추상미술의 흐름으로 자리매김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412&cid=40942&categoryId=33050 모노크롬] 회화(단색화)를 이끌었던 주역 중 한 명이다. 서양화를 전공했지만 유화의 기름지고 끈적이는 성질이 불편했던 그는 1970년대부터 한지의 소재인 닥을 물감의 대체물로 이용하여 평생토록 일관되게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 이질적 개념이 합치되는 '물아합의'의 세계를 추구했다.<br/>
 
1970년대 '귀'연작을 시작으로 한국의 전통적 재료인 한지로 회귀한 [[정창섭]]은 1980년대 닥을 주재료로 '닥' 연작을 시작한다. 물에 불려 반죽을 만들고, 이것을 캔버스에 올린 뒤 손으로 펴고 두드린 후 이를 건조하면 닥 고유의 선과 주름이 나타나고, 원래 갖고 있던 색이 드러난다. 작업하는 과정작가의 손이 들어갔으나 시간을 두고 기다림으로써 결과적으로 특유의 형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손가락 틈새로 닥의 섬유질이 새어 나오기도 한다. 이 상태에서 건조하면 닥 고유의 선과 주름이 캔버스에 형성된다.<br/>
 
그의 마지막 연작 '묵고'는 정 화백의 대표작으로 1990년 처음 등장하였다. 이전의 연작들과는 다르게 좌우대칭의 엄격한 면의 분할과 구획, 그리고 단단하고 균일하게 다듬어진 마티에르로 인해 팽팽한 평면성이 긴장감을 더한다. 또한 '그리지 않은 단색화' 작가로 잘 알려진 정 화백의 이전 작품들과 다르게 다양한 색이 사용되었다.
 
  
 
=='''학력'''==
 
=='''학력'''==

2017년 3월 16일 (목) 16:51 판

작성중 틀:작가정보 김지선

작가소개

황해도 사리원 출신으로 평양예술대학에서 수학하고 한국전쟁 때 월남한 뒤 서울대 서양화과를 나왔으며 현대미술협회, 앙가쥬망 동인으로 신미술운동에 참여했다. 완벽하고 원숙한 그의 드로잉 품은 회화의 밑그림이라기보다 드로잉 자체가 독립된 회화작업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학력

  • 서울대학교 회화 학사

경력

  • 한국미술협회 회원
  • 한국신미술회 회원
  • 한국수채화작가회 회원
  • 1959년-1967년 서울 계성여자고등학교 교사
  • 1966년-1973년 홍익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 1989년 대한민국미술대전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전시

  • 1961년-1997년, 앙가주망 동인전, 신세계미술관
  • 1963년, 제7회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81년,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년-1987년, `83-`85, `87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1994년, 한국수채화 작가전, 동방미술관
  • 1986년, 제22회 신미술대전, 롯데미술관
  • 1988년, 신미술회 소품전, 서림화랑
  • 1988년, `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9년, 제11회 수채화작가전
  • 1990년, `90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3년, `93 회화제
  • 1993년, 전관개관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4년,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음악과 무용의 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5년 11월 7일-12일, 제1회 개인전, 서울갤러리
  • 1999년, 한국미술 `99 인간, 자연, 사물, 국립현대미술관
  • 1996년 1월, 영혼을 담는 아름다운 그릇전, 공평아트센타
  • 서양화 100인전
  •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 조선일보 현대작가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전경련창립기념 한국대표작가전
  •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 국회의사당 개원기념 초대전
  • 한국의 누드미술80년전, 예술의전당
  • 1996년 6월 20일-6월 26일, 제20회 한국수채화 작가회전, 백악예원
  • 1997년 12월 3일-12월 30일, 12인의 중격작가 소품 역작전, 후정갤러리
  • 2001년 6월 26일, 안재후 초대전, 갤러리상

수상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안재후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A는 B를 그렸다
안재후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A는 B를 그렸다
안재후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A는 B를 그렸다
안재후 정창섭-태백산전투 A는 B를 그렸다
안재후 정창섭-인천항도크 A는 B를 그렸다
안재후 현대미술가협회 A는 B의 회원이다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