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번째 줄: | 3번째 줄: | ||
|사진= | |사진= | ||
|대표명칭=이경석(李景奭) | |대표명칭=이경석(李景奭) | ||
− | | | + | |영문명칭= |
|생년=1595(선조 28) | |생년=1595(선조 28) | ||
|몰년=1671(현종 12) | |몰년=1671(현종 12) |
2017년 3월 16일 (목) 00:35 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이경석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정종의 열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의 6대손이며, 병자호란 시기에 인조가 남한산성을 나와 청나라에 무릎을 꿇고 굴복하여 전쟁이 끝나자 청나라의 요구에 의해 승전을 기념하는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썼다.[1]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서울 삼전도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이경석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 A는 B와 관련있다 |
참고문헌
사료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백헌집(白軒集)』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단행본
- 이성무, 『영의정의 경륜』, 지식산업사, 2012.
논문
- 강혜선,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의 삶과 시세계」,『한국한시작가연구』Vol.10, 2006, 127-159쪽.
- 송강호, 「삼전도 대청황제공덕비의 연구: 만한문 대역을 중심으로=삼전도 대청황제공덕비연구」, 『만주연구』Vol.11, 2011, 293-358쪽.
- 이상배, 「병자호란과 삼전도비문 찬술」,『강원사학』Vol.19, 2004, 85-122쪽.
- 이은순, 「이경석(李景奭)의 정치적생애와 삼전도비문시비(三田渡碑文是非)」,『한국사연구』Vol.60, 1988, 57-102쪽.
- 이은순, 「이경석의 국정운영과 대외 시국인식」,『조선시대사학회』Vol.29, 2004, 105-136쪽.
웹자원
사료 및 자료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광해군(光海君) 5년(1613) 계축(癸丑)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2위)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인조(仁祖) 1년(1623) 계해(癸亥)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5위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인조(仁祖) 4년(1626) 병인(丙寅) 중시(重試) 갑과(甲科) 1위
사전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이경석
- 두산백과(doopedia). 이경석
- 인명사전(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이경석
- 위키백과, 이경석(1595년)
- 디지털용인문화대전, 이경석
- 디지털성남문화대전, 이경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