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요)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탑비정보 | {{탑비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_Jeongtosaji_hongbeob_stele_front_resolution.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대표명칭=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건립연대= 1017년 | |건립연대= 1017년 | ||
|승탑=[[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승탑=[[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충주 정토사지|충주 정토사지(忠州 淨土寺址)]]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승려 [[ | +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충주 정토사지|충주 정토사지(忠州 淨土寺址)]]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승려 [[홍법|홍법국사(弘法國師)]]의 [[탑비]].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보물 제359호로, 전체 높이 375㎝, 비신 높이 222㎝, 너비 105㎝, 두께 22.5㎝이다. | + | 이 비는 1963년 보물 제359호로 지정되었으며, 전체 높이 375㎝,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 높이 222㎝, 너비 105㎝, 두께 22.5㎝이다. |
− | + | 비는 [[충주 정토사지|정토사 터]]에 있던 고려 전기의 선사 [[홍법|홍법국사(弘法國師)]]의 것이다. [[고려 성종|성종]] 때 '대선사(大禪師)'의 칭호가 내려지고, [[고려 목종|목종]] 때 [[국사|국사(國師)]]에 봉하여 [[서울 봉은사|봉은사(奉恩寺)]]에 머물렀다. 그 뒤 [[충주 정토사지|정토사(淨土寺)]]에 기거하다 입적하자, [[고려 목종|목종]]은 국서(國書)와 함께 돈과 재물을 내렸으며, 시호를 홍법(弘法), 탑 이름을 실상(實相)이라 하였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5 - 서울』, 돌베개,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205&cid=42840&categoryId=42848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 서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왕은 [[손몽주|손몽주(孫夢周)]]에게 비문을 짓게 하여 1017년([[고려 현종|현종]] 8)에 탑비를 건립하였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귀부|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이수(螭首)]] 모두가 완전하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 ‘實相之塔(실상지탑)’이라는 [[해서|해서(楷書)]]의 [[제액|제액(題額)]]이 있고, 비신 윗 부분에는 ‘開天山淨土寺故國師弘法大禪師之碑(개천산정토사고국사홍법대선사지비)’라는 [[제액|전액(篆額)]]이 있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귀부|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이수(螭首)]] 모두가 완전하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 ‘實相之塔(실상지탑)’이라는 [[해서|해서(楷書)]]의 [[제액|제액(題額)]]이 있고, 비신 윗 부분에는 ‘開天山淨土寺故國師弘法大禪師之碑(개천산정토사고국사홍법대선사지비)’라는 [[제액|전액(篆額)]]이 있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비신에 새겨진 글자는 많은 부분이 마모되어 전체적인 비문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우며,<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글씨는 2㎝ 정도의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해서(楷書)]]이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신에 새겨진 글자는 많은 부분이 마모되어 전체적인 비문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우며,<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글씨는 2㎝ 정도의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해서(楷書)]]이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이 비는 원래 [[충주 정토사지|정토사지(淨土寺址)]]에 있던 것으로, 1915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과 함께 경복궁으로 옮겨왔다. 2005년에 홍법국사탑과 탑비가 함께 옮겨져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비문=== | ===비문=== | ||
====전면==== | ====전면==== | ||
− | 비문 앞면 내용은 [[홍법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중국에 건너가 여러 선지식을 예방하고 돌아와 [[광통 보제사|보제사(普濟寺]] 등에서 교화를 폈으며 [[고려 성종|성종]]과 [[고려 목종|목종]]의 우대를 받고 입적하여 국사(國師)에 | + | 비문 앞면 내용은 [[홍법|홍법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중국에 건너가 여러 선지식을 예방하고 돌아와 [[광통 보제사|보제사(普濟寺)]] 등에서 교화를 폈으며 [[고려 성종|성종]]과 [[고려 목종|목종]]의 우대를 받고 입적하여 [[국사|국사(國師)]]에 추증(追贈)<ref>나라의 공로가 있는 벼슬아치가 죽은 뒤에 품계를 높여 주던 일.</ref>되었음을 기술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후면==== | ====후면==== | ||
후면에는 제자들을 열거하였는데, 승통(僧統), 삼중대사(三重大師)에 이어 재가제자(在家弟子)를 들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후면에는 제자들을 열거하였는데, 승통(僧統), 삼중대사(三重大師)에 이어 재가제자(在家弟子)를 들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 | |||
+ | {{비문정보 | ||
+ | |비문1=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46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3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비문3=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와 홍법국사 지식관계망'''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38/stele_hongbeop_jeongto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홍법]]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홍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홍법]] || [[충주 정토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충주 정토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충주 정토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손몽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 +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 + | | [[충주 정토사지]] || [[충주 정토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갤러리=== | ===갤러리=== | ||
− | |||
=='''주석'''== | =='''주석'''== | ||
77번째 줄: | 99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
2022년 8월 19일 (금) 11:58 기준 최신판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碑) |
|
대표명칭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Hongbeop from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
한자 |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碑 |
이칭 |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서빙고로 137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59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손몽주(孫夢周) |
서자 | 미상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홍법(弘法) |
건립연대 | 1017년 |
승탑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충주 정토사지(忠州 淨土寺址)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승려 홍법국사(弘法國師)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1963년 보물 제359호로 지정되었으며, 전체 높이 375㎝, 비신(碑身)[1] 높이 222㎝, 너비 105㎝, 두께 22.5㎝이다.
비는 정토사 터에 있던 고려 전기의 선사 홍법국사(弘法國師)의 것이다. 성종 때 '대선사(大禪師)'의 칭호가 내려지고, 목종 때 국사(國師)에 봉하여 봉은사(奉恩寺)에 머물렀다. 그 뒤 정토사(淨土寺)에 기거하다 입적하자, 목종은 국서(國書)와 함께 돈과 재물을 내렸으며, 시호를 홍법(弘法), 탑 이름을 실상(實相)이라 하였다.[2] 왕은 손몽주(孫夢周)에게 비문을 짓게 하여 1017년(현종 8)에 탑비를 건립하였다.[3]
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螭首) 모두가 완전하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 ‘實相之塔(실상지탑)’이라는 해서(楷書)의 제액(題額)이 있고, 비신 윗 부분에는 ‘開天山淨土寺故國師弘法大禪師之碑(개천산정토사고국사홍법대선사지비)’라는 전액(篆額)이 있다.[4]
비신에 새겨진 글자는 많은 부분이 마모되어 전체적인 비문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우며,[5] 글씨는 2㎝ 정도의 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楷書)이다.[6]
이 비는 원래 정토사지(淨土寺址)에 있던 것으로, 1915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과 함께 경복궁으로 옮겨왔다. 2005년에 홍법국사탑과 탑비가 함께 옮겨져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7]
비문
전면
비문 앞면 내용은 홍법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중국에 건너가 여러 선지식을 예방하고 돌아와 보제사(普濟寺) 등에서 교화를 폈으며 성종과 목종의 우대를 받고 입적하여 국사(國師)에 추증(追贈)[8]되었음을 기술하였다.[9]
후면
후면에는 제자들을 열거하였는데, 승통(僧統), 삼중대사(三重大師)에 이어 재가제자(在家弟子)를 들었다.[10]
비문 보러가기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4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
•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와 홍법국사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홍법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홍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홍법 | 충주 정토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충주 정토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충주 정토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손몽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충주 정토사지 | 충주 정토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5 - 서울』, 돌베개, 2004. 온라인 참조: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 서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나라의 공로가 있는 벼슬아치가 죽은 뒤에 품계를 높여 주던 일.
- ↑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5 - 서울』, 돌베개, 2004. 온라인 참조: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 서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