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영주 소수서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  
|사진출처= 영주 소수서원
+
|사진출처=
 +
|대표명칭= 영주 소수서원
 
|한자표기= 榮州 紹修書院
 
|한자표기= 榮州 紹修書院
 
|영문명칭=
 
|영문명칭=
22번째 줄: 23번째 줄:
  
 
==정의==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한국 최초의 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서원이다.
  
 
==내용==
 
==내용==
1542년([[조선 중종|중종]] 37) 풍기군수 [[주세붕|주세붕(周世鵬)]]이 [[안향|안향(安珦)]]의 사묘(祠廟)를 세우고 1543년([[조선 중종|중종]] 38)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한 것이 이 서원의 시초이다. 그후 1544년 여기에 안축(安軸)과 안보(安輔)를, 1633년([[조선 인조|인조]] 11)에는 [[주세붕]]을 추배(追配)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8137 영주 소수서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542년([[조선 중종|중종]] 37) 풍기군수 [[주세붕|주세붕(周世鵬)]]이 [[안향|안향(安珦)]]의 사묘(祠廟)를 세우고 1543년([[조선 중종|중종]] 38)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한 것이 이 서원의 시초이다. 그후 1544년 안축(安軸)과 안보(安輔)를, 1633년([[조선 인조|인조]] 11)에는 [[주세붕]]을 추배(追配)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8137 영주 소수서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550년([[조선 명종|명종]] 5)에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의해 ‘[[소수서원 현판|소수서원’이라는 사액]]을 받고 나라의 공인과 지원을 받으며 최초의 사액서원이자 공인된 사학(私學)이 되었다. 1871년([[조선 고종|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철폐를 면한 47서원 가운데 하나로 지금도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8137 영주 소수서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550년([[조선 명종|명종]] 5)에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의해 ‘[[소수서원 현판|소수서원’이라는 사액]]을 받고 나라의 지원을 받으며 최초의 사액서원이자 공인된 사학(私學)이 되었다. 1871년([[조선 고종|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철폐를 면한 47서원 가운데 하나로 지금도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8137 영주 소수서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서원의 건물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되었는데 일반적인 서원의 배치가 완성되기 이전인 초기의 서원이기 때문인 듯하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학생들이 머물며 공부하는 일신재와 직방재가 연속으로 있다. 서원의 일반 배치가 강당 좌우에 대칭으로 동·서재를 두는 것인데 비해, 소수서원은 현판의 이름으로서 구분하였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0550000,37 영주 소수서원]",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서원의 건물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되었는데 서원의 배치 형식이 일반적으로 고정되기 이전인 초기의 서원이기 때문인 듯하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학생들이 머물며 공부하는 일신재와 직방재가 연속으로 있다. 강당 좌우에 대칭으로 동·서재를 두는 일반적인 서원 배치에 비해, 소수서원은 현판의 이름으로써 기능을 구분하였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0550000,37 영주 소수서원]",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경내에는 [[안향 초상|안향 초상(安珦肖像)]],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大成至聖文宣王殿座圖)]], [[주세붕 영정|주세붕 영정(周世鵬影幀)]]이 소장되어 있다.<ref>이범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146 영주소수서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내에는 [[안향 초상|안향 초상(安珦肖像)]],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大成至聖文宣王殿座圖)]]」, [[주세붕 영정|주세붕 영정(周世鵬影幀)]]이 소장되어 있다.<ref>이범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146 영주소수서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6번째 줄: 46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백운동서원]]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
| [[백운동서원]]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백운동서원]] || [[주세붕]]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백운동서원]] || [[주세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백운동서원]] || [[안향]]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백운동서원]] || [[안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소수서원 현판]]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소수서원 현판]]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영주 소수서원]] || [[이황]]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영주 소수서원]] || [[이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안향 초상]]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안향 초상]]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2018년 6월 20일 (수) 16:08 기준 최신판

영주 소수서원
(榮州 紹修書院)
대표명칭 영주 소수서원
한자표기 榮州 紹修書院
이칭 백운동서원
시대 조선
지정번호 사적 제55호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관련인물 안향, 주세붕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서원이다.

내용

1542년(중종 37)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안향(安珦)의 사묘(祠廟)를 세우고 1543년(중종 38)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한 것이 이 서원의 시초이다. 그후 1544년 안축(安軸)과 안보(安輔)를, 1633년(인조 11)에는 주세붕을 추배(追配)하였다.[1]

1550년(명종 5)에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의해 ‘소수서원’이라는 사액을 받고 나라의 지원을 받으며 최초의 사액서원이자 공인된 사학(私學)이 되었다.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철폐를 면한 47서원 가운데 하나로 지금도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2]

서원의 건물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되었는데 서원의 배치 형식이 일반적으로 고정되기 이전인 초기의 서원이기 때문인 듯하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학생들이 머물며 공부하는 일신재와 직방재가 연속으로 있다. 강당 좌우에 대칭으로 동·서재를 두는 일반적인 서원 배치에 비해, 소수서원은 현판의 이름으로써 기능을 구분하였다.[3]

경내에는 안향 초상(安珦肖像),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大成至聖文宣王殿座圖)」, 주세붕 영정(周世鵬影幀)이 소장되어 있다.[4]

지식 관계망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운동서원 영주 소수서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백운동서원 주세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백운동서원 안향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소수서원 현판 영주 소수서원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주 소수서원 이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안향 초상 영주 소수서원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주세붕 초상(반신상) 영주 소수서원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영주 소수서원", 『두산백과』online.
  2. "영주 소수서원", 『두산백과』online.
  3. "영주 소수서원",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이범직, "영주소수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0 - 경북북부』, 돌베개, 2010. 온라인참조:"소수서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경북북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상해, 『한국 미의 재발견 - 궁궐·유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참조:"소수서원", 한국 미의 재발견 - 궁궐·유교건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1:살고 싶은 곳』, 다음생각, 2012. 온라인참조: "우리나라 서원의 시작은 소수서원",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1 - 살고 싶은 곳,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소수서원",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정규외,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참조:"소수서원", 죽기 전에 꼭 가봐야할 국내 여행 1001,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pmg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참조:"소수서원",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소수서원", 전통건축과 장소,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전통건축과 장소)』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참조:"소수서원",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논문
    • 김자운,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공적기반 변화와 그 대응 -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8권 제 2호, 역사문화학회, 2015, 95-121.
    • 김자운,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儒敎思想文化硏究』 第58輯, 한국유교학회, 2014, 33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