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표암유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표암유고와 자화상)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8번째 줄: 28번째 줄:
 
}}
 
}}
 
==정의==
 
==정의==
6권 3책으로 이루어진 [[강세황]]의 시집이다.
+
조선 중기 문신인 [[강세황]]의 시집이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247 표암유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247 표암유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내용==
 
==내용==
 
===[[표암유고]]의 내용 구성===
 
===[[표암유고]]의 내용 구성===
권1~3에는 주로 시부(詩賦)가 수록되었다. 권1에 수록된 시는 안산 지역에서 거주하던 시기의 것이고, 권2는 거의 만년작으로 서울에서 생활할 당시에 창작된 것이다. 권3에 들어 있는 시는 [[유경종|유경종(柳慶種, 1714~1784)]]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절반에 가깝다. 또한 강세황이 1788년 연경에 부사(副使)로 파견되었을 때 그곳의 노정과 청국 인사들과 화운(和韻: 남이 지은 시의 운자를 써서 화답하는 시를 지음)한 것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심사정|심사정(沈師正)]]의 「[[수묵화죽도|수묵화죽도(水墨花竹圖)]]」를 비롯한 여러 화제(畵題)가 수록되어있다. <ref>조준호,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499 표암유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권1~3에는 주로 시부(詩賦)가 수록되었다. 권1에 수록된 시는 안산 지역에서 거주하던 시기의 것이고, 권2는 거의 만년작으로 서울에서 생활할 당시에 창작된 것이다. 권3에 들어 있는 시는 [[유경종|유경종(柳慶種, 1714~1784)]]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절반에 가깝다. 또한 강세황이 1788년 연경에 부사(副使)로 파견되었을 때 그곳의 노정과 청국 인사들과 화운(和韻: 남이 지은 시의 운자를 써서 화답하는 시를 지음)한 것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와 함께 [[심사정|심사정(沈師正)]]의 「[[수묵화죽도|수묵화죽도(水墨花竹圖)]]」를 비롯한 여러 화제(畵題)가 실려 있다. <ref>조준호,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499 표암유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단원기===
 
===단원기===
[[강세황]]은 제자인 [[김홍도]]에 대한 기록을 [[표암유고]] 속 단원기에 남겼다.  “[[김홍도]]가 어린 시절부터 내 집에 드나들었다”는 [[김홍도]]의 어릴 적 모습부터 , "그([[김홍도]])의 그림은 모두 묘품(妙品)에 해당되어 옛사람과 비교할 지라도 그와 대항할 사람이 거의 없었다. [[김홍도|단원]]은 독창적으로 스스로 알아내어 교묘하게 자연의 조화를 빼앗을 수 있는 데까지 이르렀다"고  그의 그림도 극찬했다. [[김홍도]]의 외모도 묘사하고 있는데 " 아름다운 풍채에 도량이 크고 넓어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신선과 같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ref>배한철,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생각정거장.</ref>
+
[[강세황]]은 제자인 [[김홍도]]에 대한 기록을 [[표암유고]] 속 단원기에 남겼다.  “[[김홍도]]가 어린 시절부터 내 집에 드나들었다”는 [[김홍도]]의 어릴 적 모습부터 , "그([[김홍도]])의 그림은 모두 묘품(妙品)에 해당되어 옛사람과 비교할지라도 그와 대항할 사람이 거의 없었다. [[김홍도|단원]]은 독창적으로 스스로 알아내어 교묘하게 자연의 조화를 빼앗을 수 있는 데까지 이르렀다"고  그의 그림을 극찬했다. [[김홍도]]의 외모도 묘사하고 있는데 " 아름다운 풍채에 도량이 크고 넓어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신선과 같다고 하였다"라고 적었다. <ref>배한철,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생각정거장.</ref>
  
 
===[[표암유고]]와 자화상===
 
===[[표암유고]]와 자화상===
[[강세황]]의 시문집인 『[[표암유고]]』는 그의 학문과 사상 및 작품 세계를 알아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여기에는 54세 때 꼼꼼히 자화상을 첨부한 자전(自傳)인 「표옹자지」를 서술하여 남김으로써 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역대 최다를 기록하는 초상화들이 전해지고 있다.<ref>조준호,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499 표암유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강세황]]의 시문집인 『[[표암유고]]』는 그의 학문과 사상 및 작품 세계를 알아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54세 때 꼼꼼히 그린 자화상까지 첨부하여 서술한 자전(自傳)인 「표옹자지(豹翁自誌)」는 그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역대 최다를 기록하는 초상화들이 함께 전해지고 있다.<ref>조준호,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499 표암유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강세황과 김홍도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81번째 줄: 82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분류:문헌]]
 
[[분류:문헌]]
 
[[분류:이혜영]]
 

2018년 1월 15일 (월) 01:08 기준 최신판

표암유고(豹菴遺稿)
"표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표암유고
한자표기 豹菴遺稿
저자 강세황
시대 조선


정의

조선 중기 문신인 강세황의 시집이다. [1]

내용

표암유고의 내용 구성

권1~3에는 주로 시부(詩賦)가 수록되었다. 권1에 수록된 시는 안산 지역에서 거주하던 시기의 것이고, 권2는 거의 만년작으로 서울에서 생활할 당시에 창작된 것이다. 권3에 들어 있는 시는 유경종(柳慶種, 1714~1784)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절반에 가깝다. 또한 강세황이 1788년 연경에 부사(副使)로 파견되었을 때 그곳의 노정과 청국 인사들과 화운(和韻: 남이 지은 시의 운자를 써서 화답하는 시를 지음)한 것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와 함께 심사정(沈師正)의 「수묵화죽도(水墨花竹圖)」를 비롯한 여러 화제(畵題)가 실려 있다. [2]

단원기

강세황은 제자인 김홍도에 대한 기록을 표암유고 속 단원기에 남겼다. “김홍도가 어린 시절부터 내 집에 드나들었다”는 김홍도의 어릴 적 모습부터 , "그(김홍도)의 그림은 모두 묘품(妙品)에 해당되어 옛사람과 비교할지라도 그와 대항할 사람이 거의 없었다. 단원은 독창적으로 스스로 알아내어 교묘하게 자연의 조화를 빼앗을 수 있는 데까지 이르렀다"고 그의 그림을 극찬했다. 김홍도의 외모도 묘사하고 있는데 " 아름다운 풍채에 도량이 크고 넓어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신선과 같다고 하였다"라고 적었다. [3]

표암유고와 자화상

강세황의 시문집인 『표암유고』는 그의 학문과 사상 및 작품 세계를 알아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54세 때 꼼꼼히 그린 자화상까지 첨부하여 서술한 자전(自傳)인 「표옹자지(豹翁自誌)」는 그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역대 최다를 기록하는 초상화들이 함께 전해지고 있다.[4]

지식 관계망

  • 강세황과 김홍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표암유고 강세황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강세황 김홍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표암유고 김홍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수묵화죽도 표암유고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심사정 수묵화죽도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표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준호, "표암유고",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배한철,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생각정거장.
  4. 조준호, "표암유고",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강세황, 『표암유고』, 지식산업사, 2011.
  • 논문
    • 정은진, 「표암 강세황 한시의 형식과 표현」, 『東方漢文學』37, 東方漢文學會, 2008.
    • 崔淳姬, 「豹菴遺稿 解題」, 『정신문화연구』3, 한국학중앙연구원,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