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계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죽계지]] || [[영주 소수서원]]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죽계지]] || [[영주 소수서원]]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죽계지]] || [[ | + | |[[죽계지]] || [[안시중]] || A는 B가 간행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 | |[[안향]] || [[ | + | |[[안향]] || [[안시중]] || A의 후손은 B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 | ||
|} | |} |
2018년 1월 14일 (일) 23:43 기준 최신판
죽계지(竹溪誌) | |
대표명칭 | 죽계지 |
---|---|
한자표기 | 竹溪誌 |
저자 | 안시중, 안병렬 |
저술시기 | 1544년 |
간행시기 | 1803년(초간), 1824년(중간) |
간행인 | 시중(時中), 정진(鼎鎭), 병렬(炳烈) |
시대 | 조선 |
수량 | 3권 1책 |
판본 | 목활자본 |
판사항 | 필사본 |
소장처 |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
정의
조선시대 문신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에 관하여 기록한 것을 엮은 책이다.
백운동서원
백운동서원은 주세붕(周世鵬)이 풍기군수로 재임하던 1542년(조선 중종 37) 순흥의 백운동에 안향(安珦)의 사당인 회헌사(晦軒祠)를 세우고 그 이듬해 주희(朱熹) 백록동학규(白鹿洞學規)를 본받아 창설한 서원이다. 뒤에 안축(安軸) · 안보(安輔)도 배향하였다.[1]
죽계지 간행
『죽계지』는 본래 주세붕(周世鵬)이 백운동서원을 건립한 이듬해인 1544년(중종 39) 편찬한 것을 1803년(순조 3) 안향(安珦)의 후손 시중(時中)·정진(鼎鎭) 등이 3책으로 간행하였다. 이어 1824년 20대손 병렬(昞烈)이 안향에 관한 기록을 모아 『회헌실기(晦軒實記)』를 간행한 뒤 부록으로 삼기 위해 3권 1책으로 줄여 중간하였다.[2]
내용
목활자본, 필사본이며, 3권 1책이다. 권1은 「안씨행록(安氏行錄)」 「고적기(古蹟記)」 등이, 권2는 「백운동서원기(白雲洞書院記)」 「학전기(學田記)」 등이, 권3은 「백록동부(白鹿洞賦)」 및 「차운(次韻)」 등이 수록되어 있다.[3]
주세붕의 서문에서는 회헌사와 백운동서원의 건립 경위, 이 책의 편찬 경위를 밝혔다.[4]
지식 관계망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죽계지 | 영주 소수서원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죽계지 | 안시중 | A는 B가 간행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안향 | 안시중 | A의 후손은 B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주석
- ↑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죽계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선남, "죽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죽계지",
『두산백과』online . - ↑ 정선남, "죽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더 읽을거리
- 논문
- 옥영정, 「「竹溪志」의 編纂과 版本에 관한 書誌的 硏究」, 『書誌學硏究』 第31輯, 297-32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