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잔글 (→내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 + | 조선시대 문신이다. |
=='''내용'''== | =='''내용'''== | ||
1774년([[조선 영조|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듬해 휘령전(徽寧殿, 창경궁 문정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그 뒤 사헌부·호조·형조의 벼슬을 거쳐 돈녕부주부를 지냈다. 음죽현감이 되었을 때 무고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과 동시에 가업을 계승하는 데 힘썼다.<ref>김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193 이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774년([[조선 영조|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듬해 휘령전(徽寧殿, 창경궁 문정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그 뒤 사헌부·호조·형조의 벼슬을 거쳐 돈녕부주부를 지냈다. 음죽현감이 되었을 때 무고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과 동시에 가업을 계승하는 데 힘썼다.<ref>김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193 이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1790년(정조 14) 홍릉령(弘陵令)에 기용, 지례현감(知禮縣監)으로 나가 둑을 쌓아 농사에 도움을 주어 주민들이 그 둑을 ‘이공제(李公堤)’라 했다. 그 후 선산부사(善山府使), 상주(尙州) ·충주(忠州)의 목사를 지내고 1800년(순조 즉위) 세자익위사위솔(世子翊衛司衛率) ·사어(司禦)를 역임, 이어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황주목사(黃州牧使)를 거쳐 호조참판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다. 문집에 | + | 1790년(정조 14) 홍릉령(弘陵令)에 기용, 지례현감(知禮縣監)으로 나가 둑을 쌓아 농사에 도움을 주어 주민들이 그 둑을 ‘이공제(李公堤)’라 했다. 그 후 선산부사(善山府使), 상주(尙州) ·충주(忠州)의 목사를 지내고 1800년(순조 즉위) 세자익위사위솔(世子翊衛司衛率) ·사어(司禦)를 역임, 이어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황주목사(黃州牧使)를 거쳐 호조참판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다. 문집에 『화천집』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7472 이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html>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 | |- | ||
|[[화천집]]||[[이채]]||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화천집]]||[[이채]]||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 | |||
|} | |} | ||
2018년 1월 14일 (일) 00:32 기준 최신판
이채(李采) | |
대표명칭 | 이채 |
---|---|
한자표기 | 李采 |
생몰년 | 1745년-1820년 |
본관 | 우봉(牛峯) |
시호 | 문경(文敬) |
호 | 화천(華泉) |
자 | 계량(季良) |
시대 | 조선시대 |
대표저서 | 『화천집』 |
대표직함 | 지례현감, 선산부사, 호조참판 |
부 | 이제원(李濟遠) |
정의
조선시대 문신이다.
내용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듬해 휘령전(徽寧殿, 창경궁 문정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그 뒤 사헌부·호조·형조의 벼슬을 거쳐 돈녕부주부를 지냈다. 음죽현감이 되었을 때 무고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과 동시에 가업을 계승하는 데 힘썼다.[1]
1790년(정조 14) 홍릉령(弘陵令)에 기용, 지례현감(知禮縣監)으로 나가 둑을 쌓아 농사에 도움을 주어 주민들이 그 둑을 ‘이공제(李公堤)’라 했다. 그 후 선산부사(善山府使), 상주(尙州) ·충주(忠州)의 목사를 지내고 1800년(순조 즉위) 세자익위사위솔(世子翊衛司衛率) ·사어(司禦)를 역임, 이어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황주목사(黃州牧使)를 거쳐 호조참판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다. 문집에 『화천집』이 있다.[2]
지식 관계망
- 이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제원 | 이채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이재 | 이제원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도암집 | 이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도암집 | 이채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이채 초상 | 이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화천집 | 이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45년 | 이채가 출생하였다 |
1774년 | 이채가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
1775년 | 이채가 휘령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
1790년 | 이채가 홍릉령에 기용되었다 |
1800년 | 이채가 세자익위사위솔을 역임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