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잔글 (가계)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이우(李堣)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내용==
 
==내용==
 +
===가계===
 +
본관은 진성. 자는 명중, 호는 송재이다. 아버지는 진사 계양이며, 조카가 퇴계 이황(李滉)이다.
 +
 
===활동사항===
 
===활동사항===
[[이황 | 퇴계 이황]]의 숙부이다. 149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이 되고 정언(正言)·이조좌랑·헌납 등을 지냈으며, 1506년 승지로 있다가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분의정국(奮義靖國)공신에 책록되고,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졌다. 1514년 김은(金銀)의 상소로 앞서 반정 당시 윤장(尹璋)·조계형(曺繼衡) 등과 함께 입직승지로서 반정군에 가담하여 공을 세운 것처럼 가장한 사실이 드러나 녹권(錄卷)이 박탈되었다. 뒤에 안동부사가 되어 청근수령(請謹守令)으로 1계급이 특진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848 이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498년(조선 연산군 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이 되고 정언(正言)·이조좌랑·헌납 등을 지냈다. 1506년 승지로 있다가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분의정국(奮義靖國)공신에 책록되고,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졌다. 1514년 김은(金銀)의 상소로 앞서 반정 당시 윤장(尹璋)·조계형(曺繼衡) 등과 함께 입직승지로서 반정군에 가담하여 공을 세운 것처럼 가장한 사실이 드러나 녹권(錄卷)이 박탈되었다. 뒤에 안동부사가 되어 청근수령(請謹守令)으로 1계급이 특진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848 이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작품활동===
+
===학문활동===
 
문장이 맑고 전아(典雅)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시에 뛰어나 산천의 명승을 읊은 것이 『관동록(關東錄)』·『귀전록(歸田錄)』에 전한다. 최숙생(崔淑生) 등과 친하였다. 예안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송재집(松齋集)』 1권이 있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282 이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문장이 맑고 전아(典雅)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시에 뛰어나 산천의 명승을 읊은 것이 『관동록(關東錄)』·『귀전록(歸田錄)』에 전한다. 최숙생(崔淑生) 등과 친하였다. 예안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송재집(松齋集)』 1권이 있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282 이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이광사-김정희 지식관계망'''
+
*'''이현보와 이황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2/E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45/E04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2018년 1월 14일 (일) 00:16 기준 최신판

이우(李堣)
대표명칭 이우
한자표기 李堣
생몰년 1469-1517
본관 진보(眞寶, 지금의 경상북도 청송)
송재(松齋)
명중(明仲)
시대 조선
국적 조선
이계양(李繼陽)
김유용(金有庸)의 딸
상훈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진성. 자는 명중, 호는 송재이다. 아버지는 진사 계양이며, 조카가 퇴계 이황(李滉)이다.

활동사항

1498년(조선 연산군 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이 되고 정언(正言)·이조좌랑·헌납 등을 지냈다. 1506년 승지로 있다가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분의정국(奮義靖國)공신에 책록되고,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졌다. 1514년 김은(金銀)의 상소로 앞서 반정 당시 윤장(尹璋)·조계형(曺繼衡) 등과 함께 입직승지로서 반정군에 가담하여 공을 세운 것처럼 가장한 사실이 드러나 녹권(錄卷)이 박탈되었다. 뒤에 안동부사가 되어 청근수령(請謹守令)으로 1계급이 특진되었다.[1]

학문활동

문장이 맑고 전아(典雅)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시에 뛰어나 산천의 명승을 읊은 것이 『관동록(關東錄)』·『귀전록(歸田錄)』에 전한다. 최숙생(崔淑生) 등과 친하였다. 예안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송재집(松齋集)』 1권이 있다.[2]

지식 관계망

  • 이현보와 이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우 이식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이식 이황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우 중종반정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계양 이식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계양 이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주석

  1. "이우", 『두산백과』online.
  2. 정만조, "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