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진남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정의'''==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
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이다.
  
 
=='''내용'''==
 
=='''내용'''==
여수 진남관은 1598년(선조 31) 전라좌수영 객사로 건립한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040000,36&flag=Y 여수 진남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원래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이순신(李舜臣)]]이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의 본영으로 사용하던 곳인데 당시에는 [[진해루]]라는 누각이었다. 진해루가 [[정유재란]] 때 일본군에 의해 불에 타 소실되자 1599년(선조 32) [[수군통제사|삼도 수군 통제사]] 겸 [[수군절도사|전라 좌수사]]로 부임한 [[이시언|이시언(李時言)]]이 전라좌수영 건물로 75칸의 거대한 객사를 지어 진남관이라 이름 짓고 수군의 중심기지로 사용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6076&cid=40942&categoryId=33082 여수 전라좌수영 진남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598년(선조 31) 전라좌수영 객사로 건립한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040000,36&flag=Y 여수 진남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원래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이순신(李舜臣)]]이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의 본영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당시에는 [[진해루]]라는 누각이었다. 진해루가 [[정유재란]] 때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자 1599년(선조 32) [[수군통제사|삼도 수군 통제사]] 겸 [[수군절도사|전라 좌수사]]로 부임한 [[이시언|이시언(李時言)]]이 전라좌수영 건물로 75칸의 거대한 객사를 지어 진남관이라 이름 짓고 수군의 중심기지로 사용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6076&cid=40942&categoryId=33082 여수 전라좌수영 진남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조선 숙종|숙종]] 42년(1716) 화재로 소실되어 [[조선 숙종|숙종]] 44년(1718) 재건된 뒤 여러 차례 중수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진남관은 당시 임금이 사용하던 궁을 제외하고 지방에 세워진 목조건축 중에서는 가장 큰 건물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람을 압도하는 이 건물은 길이 75m 높이 14m이며, 정면 15칸 측면 5칸의 총 75칸 규모에, 둘레가 2.4m 되는 기둥만 무려 68개에 이른다. 1910년 무렵부터 1960년대까지는 학교 교실로 사용됐는데 이로 인해 원형이 많이 바뀌었다. 1959년 보수할 때에는 옛 원형을 찾을 수 없어, 나중에 보수된 것이 분명한 벽체만을 뜯어냈다고 한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베개,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175&cid=42840&categoryId=42855 진남관]",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조선 숙종|숙종]] 42년(1716) 다시 화재가 나 [[조선 숙종|숙종]] 44년(1718) 재건된 뒤 여러 차례 중수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진남관은 당시 임금이 사용하던 궁을 제외하고 지방에 세워진 목조건축 중에서는 가장 큰 건물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람을 압도하는 이 건물은 길이 75m 높이 14m이며, 정면 15칸 측면 5칸인 총 75칸 규모에, 둘레가 2.4m 되는 기둥만 무려 68개에 이른다. 1910년 무렵부터 1960년대까지는 학교 교실로 사용됐는데 이로 인해 원형이 많이 바뀌었다. 1959년 보수할 때에는 옛 원형을 찾을 수 없어, 나중에 보수된 것이 분명한 벽체만을 뜯어냈다고 한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베개,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175&cid=42840&categoryId=42855 진남관]",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이삼과 이순신과 이창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39번째 줄: 44번째 줄:
 
| [[여수 진남관]] || [[이시언]] || A는 B를 건설하였다 || A ekc:constructor B
 
| [[여수 진남관]] || [[이시언]] || A는 B를 건설하였다 || A ekc:constructor B
 
|-
 
|-
| [[여수진남관] || [[통영 세병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여수 진남관]] || [[통영 세병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여수 진남관]] || [[이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61번째 줄: 70번째 줄:
 
*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404 여수 진남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404 여수 진남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화유산]]
 +
[[분류:문화유산]]

2018년 1월 13일 (토) 16:33 기준 최신판

여수 진남관
(麗水 鎭南館)
대표명칭 여수 진남관
한자표기 麗水 鎭南館
유형 유적
시대 조선
지정번호 국보 제305호
지정일 2002년 10월 14일
소장처 경상남도 통영시 세병로 27(문화동)
관련인물 이순신,이경준
관련유물유적 삼도수군통제영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이다.

내용

1598년(선조 31) 전라좌수영 객사로 건립한 건물이다.[1] 원래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이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의 본영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당시에는 진해루라는 누각이었다. 진해루가 정유재란 때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자 1599년(선조 32) 삼도 수군 통제사전라 좌수사로 부임한 이시언(李時言)이 전라좌수영 건물로 75칸의 거대한 객사를 지어 진남관이라 이름 짓고 수군의 중심기지로 사용하였다.[2]

숙종 42년(1716) 다시 화재가 나 숙종 44년(1718) 재건된 뒤 여러 차례 중수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진남관은 당시 임금이 사용하던 궁을 제외하고 지방에 세워진 목조건축 중에서는 가장 큰 건물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람을 압도하는 이 건물은 길이 75m 높이 14m이며, 정면 15칸 측면 5칸인 총 75칸 규모에, 둘레가 2.4m 되는 기둥만 무려 68개에 이른다. 1910년 무렵부터 1960년대까지는 학교 교실로 사용됐는데 이로 인해 원형이 많이 바뀌었다. 1959년 보수할 때에는 옛 원형을 찾을 수 없어, 나중에 보수된 것이 분명한 벽체만을 뜯어냈다고 한다.[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여수 진남관 이시언 A는 B를 건설하였다 A ekc:constructor B
여수 진남관 통영 세병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수 진남관 이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여수 진남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여수 전라좌수영 진남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베개, 2008. 온라인 참조: "진남관",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수 진남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여수 전라좌수영 진남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베개, 2008. 온라인 참조: "진남관",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주남철, "여수 진남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