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군통제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개념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수군통제사 |한자표기= |영문명칭= |이칭= |유형=제도 |관련개념= }} =='''정의'''== =='''내용'''== =='''...) |
잔글 (→내용)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념정보 | {{개념정보 | ||
− | |사진= | + | |사진= naval_forces.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수군통제사 | |대표명칭=수군통제사 |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水軍統制使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 + | |이칭=삼도통제사, 삼도수군통제사, 통곤(統閫) |
|유형=제도 | |유형=제도 | ||
− | |관련개념= | + | |관련개념=[[수군절도사]]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 중기에 신설된 종2품 [[서반]] 관직이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240 수군통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내용'''== | =='''내용'''== | ||
+ | 삼도통제사·삼도수군통제사 또는 통곤(統閫)이라고도 한다.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240 수군통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조선시대 [[임진왜란|임진왜란(壬辰倭亂)]] 중에 설치된 종이품(從二品) [[서반]] 외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수군(水軍)의 총지휘관으로 [[임진왜란]] 때 [[수군절도사|전라좌수사]] [[이순신|이순신(李舜臣)]]으로 하여금 경상·전라·충청 삼도의 수군을 총지휘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치한 군직(軍職)이다. 1593년(선조 26)에 처음으로 두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02&cid=42922&categoryId=42922 통제사]",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html>.</ref> | ||
+ | |||
+ | 통제사는 정3품 [[수군절도사]]보다 상위직으로, 각 도의 지방행정의 최고직인 [[관찰사]]와 같은 품계였으나, 그보다 상위 품계에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았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100&cid=40942&categoryId=31675 수군통제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ref> 2대 수군통제사는 [[원균|원균(元均)]]이었고, 4대 통제사 [[이시언|이시언(李時言)]]부터는 거의 경상우수사가 겸직하였다. 엄격한 [[상피제|상피제(相避制)]]가 적용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02&cid=42922&categoryId=42922 통제사]",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html>.</ref> 법제적 임기는 2년이었으나 거의 지켜지지 않았고, 중임되는 경우도 있었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240 수군통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통제사가 지휘한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統制營)]]은 한산도에 최초로 두었는데, 초대 통제사 [[이순신]]의 본직이 전라좌수사였으므로 전라좌수영(지금의 여수시)이 첫 통제영이라는 견해도 있다. | ||
+ | 임진왜란 뒤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은 거제 오아포(烏兒浦)와 전라좌수영 등지로 옮겼다가 1604년 두룡포(豆龍浦 : 지금의 경상남도 통영시)로 옮겨 1895년(고종 32) 7월 폐영될 때까지 300여 년간 존치되었다. 그 동안 208인의 통제사가 채임되었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240 수군통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이삼과 이순신과 이창운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수군통제사]] || [[수군절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수군통제사]] || [[이순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수군통제사]] || [[원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수군통제사]] || [[삼도수군통제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수군통제사]] || [[이창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수군통제사]] || [[이억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수군통제사]] || [[이시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20번째 줄: | 5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02&cid=42922&categoryId=42922 통제사]",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html>.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100&cid=40942&categoryId=31675 수군통제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240 수군통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더 읽을 거리=== |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개념]] | ||
+ | [[분류:개념]] |
2018년 1월 12일 (금) 16:22 기준 최신판
수군통제사 (水軍統制使) |
|
대표명칭 | 수군통제사 |
---|---|
한자표기 | 水軍統制使 |
이칭 | 삼도통제사, 삼도수군통제사, 통곤(統閫) |
유형 | 제도 |
관련개념 | 수군절도사 |
정의
내용
삼도통제사·삼도수군통제사 또는 통곤(統閫)이라고도 한다.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2]
조선시대 임진왜란(壬辰倭亂) 중에 설치된 종이품(從二品) 서반 외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수군(水軍)의 총지휘관으로 임진왜란 때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으로 하여금 경상·전라·충청 삼도의 수군을 총지휘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치한 군직(軍職)이다. 1593년(선조 26)에 처음으로 두었다.[3]
통제사는 정3품 수군절도사보다 상위직으로, 각 도의 지방행정의 최고직인 관찰사와 같은 품계였으나, 그보다 상위 품계에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았다.[4] 2대 수군통제사는 원균(元均)이었고, 4대 통제사 이시언(李時言)부터는 거의 경상우수사가 겸직하였다. 엄격한 상피제(相避制)가 적용되었다.[5] 법제적 임기는 2년이었으나 거의 지켜지지 않았고, 중임되는 경우도 있었다.[6]
통제사가 지휘한 통제영(統制營)은 한산도에 최초로 두었는데, 초대 통제사 이순신의 본직이 전라좌수사였으므로 전라좌수영(지금의 여수시)이 첫 통제영이라는 견해도 있다. 임진왜란 뒤 통제영은 거제 오아포(烏兒浦)와 전라좌수영 등지로 옮겼다가 1604년 두룡포(豆龍浦 : 지금의 경상남도 통영시)로 옮겨 1895년(고종 32) 7월 폐영될 때까지 300여 년간 존치되었다. 그 동안 208인의 통제사가 채임되었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수군통제사 | 수군절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수군통제사 | 이순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수군통제사 | 원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수군통제사 | 삼도수군통제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수군통제사 | 이창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수군통제사 | 이억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수군통제사 | 이시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통제사",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수군통제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통제사",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통제사",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군통제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