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청의 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서경 선진세력과 개경 문벌파의 대립)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시대= 고려시대 | |시대= 고려시대 | ||
|날짜= 1135년 1월-1136년 2월 | |날짜= 1135년 1월-1136년 2월 | ||
− | |관련인물= [[묘청|묘청(妙淸)]], [[김부식|김부식(金富軾)]], [[정지상|정지상(鄭知常)]] | + | |관련인물= [[묘청|묘청(妙淸)]], [[김부식|김부식(金富軾)]], [[정지상|정지상(鄭知常)]], [[윤언이|윤언이(尹彦頤)]]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서경(西京) | |관련장소= 서경(西京)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135년([[고려 인종|인종]] 13) [[묘청|묘청(妙淸)]] 등이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에서 일으킨 | + | 1135년([[고려 인종|인종]] 13) [[묘청|묘청(妙淸)]] 등이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
=='''내용'''== | =='''내용'''== | ||
− | [[이자겸의 난| | + | ===서경 선진세력과 개경 문벌파의 대립=== |
+ | [[이자겸의 난|이자겸(李資謙)의 난]] 이후 개경의 문벌귀족 가운데 [[김부식|김부식(金富軾)]], [[이공수|이공수(李公壽)]], [[임원애|임원애(任元敳)]] 등이 크게 부상하였다. [[이자겸]] 이래로 이들은 당시 새 강자로 등장한 금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취하는 등의 외교로 대외적인 안정을 꾀하며 정권을 주도했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한편 [[척준경|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는 | + | 한편 [[척준경|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는 등 공로를 세운 [[정지상|정지상(鄭知常)]]과 그의 천거로 등장한 [[묘청|묘청(妙淸)]]·[[백수한|백수한(白壽翰)]] 등 서경출신 신진관료들이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이들은 당시 유행하고 있던 지리도참설(地理圖讖說)과 칭제건원(稱帝建元)·금국정벌론(金國征伐論) 등을 내세우면서 서경천도운동을 벌여 개경에 기반을 둔 문벌귀족세력을 누르고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려 하였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좌절된 서경 천도=== | |
+ | |||
+ | 이러한 주장은 [[고려 인종|인종]]의 마음을 움직여 1128년([[고려 인종|인종]] 6)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에 걸쳐 [[묘청]]의 주장대로 대화궁(大華宮)을 짓고, 이어서 1131년에는 그 궁성 안에 8성당(八聖堂)을 두는 등 설비를 갖추었다. 그러나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개경 문벌귀족의 반대로 천도운동이 난관에 부닥치자 1135년 정월에 [[묘청]]은 분사시랑 [[조광|조광(趙匡)]], 분사병부상서 [[유참|유참(柳旵)]], 분사사재소경 [[조창언|조창언(趙昌言)]]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서경파 몰락=== | ||
+ | |||
+ | 그들은 칭제건원을 주장했으나 국왕을 새로이 옹립하지도 않았으며, 그들 스스로가 국왕에게 거병소식을 알리는 등 왕권 자체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문벌귀족 타도에 목적을 두었다. 반란 소식을 접한 정부는 [[김부식]]을 총책임자로 하는 토벌군을 편성했으며, [[김부식]]은 먼저 [[정지상]] 등을 서도(西都)의 모반에 관여했다는 명목으로 처단하였다. 천도를 주장하는 무리는 서경과 그 주변지역의 민중들의 호응을 받으며 결사적인 항쟁을 전개하였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36년 2월 정부군은 총공격을 감행, 서경성을 함락하였으며, 이에 [[조광]] 등 반란군의 지도자들이 자결함으로써 반란은 종결되었다.<ref>하현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893 묘청의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46번째 줄: | 53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자원 | *웹자원 | ||
+ | ** 하현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893 묘청의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더 읽을 거리===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1445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사건]]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사건]] | ||
+ | [[분류:사건]] |
2018년 1월 10일 (수) 00:16 기준 최신판
묘청의 난(妙淸-亂) | |
대표명칭 | 묘청의 난 |
---|---|
한자표기 | 妙淸-亂 |
시대 | 고려시대 |
날짜 | 1135년 1월-1136년 2월 |
관련인물 | 묘청(妙淸), 김부식(金富軾), 정지상(鄭知常), 윤언이(尹彦頤) |
관련장소 | 서경(西京) |
목차
정의
1135년(인종 13) 묘청(妙淸) 등이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내용
서경 선진세력과 개경 문벌파의 대립
이자겸(李資謙)의 난 이후 개경의 문벌귀족 가운데 김부식(金富軾), 이공수(李公壽), 임원애(任元敳) 등이 크게 부상하였다. 이자겸 이래로 이들은 당시 새 강자로 등장한 금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취하는 등의 외교로 대외적인 안정을 꾀하며 정권을 주도했다.[1]
한편 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는 등 공로를 세운 정지상(鄭知常)과 그의 천거로 등장한 묘청(妙淸)·백수한(白壽翰) 등 서경출신 신진관료들이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이들은 당시 유행하고 있던 지리도참설(地理圖讖說)과 칭제건원(稱帝建元)·금국정벌론(金國征伐論) 등을 내세우면서 서경천도운동을 벌여 개경에 기반을 둔 문벌귀족세력을 누르고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려 하였다.[2]
좌절된 서경 천도
이러한 주장은 인종의 마음을 움직여 1128년(인종 6)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에 걸쳐 묘청의 주장대로 대화궁(大華宮)을 짓고, 이어서 1131년에는 그 궁성 안에 8성당(八聖堂)을 두는 등 설비를 갖추었다. 그러나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개경 문벌귀족의 반대로 천도운동이 난관에 부닥치자 1135년 정월에 묘청은 분사시랑 조광(趙匡), 분사병부상서 유참(柳旵), 분사사재소경 조창언(趙昌言)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3]
서경파 몰락
그들은 칭제건원을 주장했으나 국왕을 새로이 옹립하지도 않았으며, 그들 스스로가 국왕에게 거병소식을 알리는 등 왕권 자체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문벌귀족 타도에 목적을 두었다. 반란 소식을 접한 정부는 김부식을 총책임자로 하는 토벌군을 편성했으며, 김부식은 먼저 정지상 등을 서도(西都)의 모반에 관여했다는 명목으로 처단하였다. 천도를 주장하는 무리는 서경과 그 주변지역의 민중들의 호응을 받으며 결사적인 항쟁을 전개하였다.[4] 1136년 2월 정부군은 총공격을 감행, 서경성을 함락하였으며, 이에 조광 등 반란군의 지도자들이 자결함으로써 반란은 종결되었다.[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묘청의 난 | 묘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묘청의 난 | 김부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묘청의 난 | 정지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묘청의 난 | 윤언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하현강, "묘청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더 읽을 거리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