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청의 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경 선진세력과 개경 문벌파의 대립)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시대= 고려시대
 
|시대= 고려시대
 
|날짜= 1135년 1월-1136년 2월   
 
|날짜= 1135년 1월-1136년 2월   
|관련인물= [[묘청|묘청(妙淸)]], [[김부식|김부식(金富軾)]], [[정지상|정지상(鄭知常)]]
+
|관련인물= [[묘청|묘청(妙淸)]], [[김부식|김부식(金富軾)]], [[정지상|정지상(鄭知常)]], [[윤언이|윤언이(尹彦頤)]]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서경(西京)
 
|관련장소= 서경(西京)
17번째 줄: 17번째 줄:
  
 
=='''정의'''==
 
=='''정의'''==
1135년([[고려 인종|인종]] 13) [[묘청|묘청(妙淸)]] 등이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에서 일으킨 반란.
+
1135년([[고려 인종|인종]] 13) [[묘청|묘청(妙淸)]] 등이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내용'''==
 
=='''내용'''==
[[이자겸의 난|이자겸의 난(李資謙─亂)]] 이후 개경의 문벌귀족 가운데 [[김부식|김부식(金富軾)]], [[이공수|이공수(李公壽)]], [[임원애|임원애(任元敳)]] 등이 크게 부상하였다. [[이자겸]] 이래로 이들은 당시 새 강자로 등장한 금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취하는 등의 외교로 대외적인 안정을 꾀하며 정권을 주도했다.  
+
===서경 선진세력과 개경 문벌파의 대립===
 +
[[이자겸의 난|이자겸(李資謙)의 난]] 이후 개경의 문벌귀족 가운데 [[김부식|김부식(金富軾)]], [[이공수|이공수(李公壽)]], [[임원애|임원애(任元敳)]] 등이 크게 부상하였다. [[이자겸]] 이래로 이들은 당시 새 강자로 등장한 금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취하는 등의 외교로 대외적인 안정을 꾀하며 정권을 주도했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한편 [[척준경|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는 등의 공로를 세운 [[정지상|정지상(鄭知常)]]과 그의 천거로 등장한 [[묘청|묘청(妙淸)]]·[[백수한|백수한(白壽翰)]] 등의 세력이 대두되었는데, 이들은 서경출신의 신진관료들이었다. 이들은 당시 유행하고 있던 지리도참설(地理圖讖說)과 칭제건원(稱帝建元)·금국정벌론(金國征伐論) 등을 내세우면서 서경천도운동을 벌여 개경에 기반을 둔 문벌귀족세력을 누르고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려 했다. 이러한 주장은 [[고려 인종|인종]]의 마음을 움직여 1128년([[고려 인종|인종]] 6)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에 걸쳐 [[묘청]]의 주장대로 대화궁(大華宮)을 짓고, 이어서 1131년에는 그 궁성 안에 8성당(八聖堂)을 두는 등 설비를 갖추었다. 그러나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개경 문벌귀족의 반대로 천도운동이 난관에 부닥치자 1135년 정월에 [[묘청]]은 분사시랑 [[조광|조광(趙匡)]], 분사병부상서 [[유참|유참(柳旵)]], 분사사재소경 [[조창언|조창언(趙昌言)]]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
한편 [[척준경|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는 공로를 세운 [[정지상|정지상(鄭知常)]]과 그의 천거로 등장한 [[묘청|묘청(妙淸)]]·[[백수한|백수한(白壽翰)]] 등 서경출신 신진관료들이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이들은 당시 유행하고 있던 지리도참설(地理圖讖說)과 칭제건원(稱帝建元)·금국정벌론(金國征伐論) 등을 내세우면서 서경천도운동을 벌여 개경에 기반을 둔 문벌귀족세력을 누르고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려 하였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반란은 칭제건원을 주장했으나 국왕을 새로이 옹립하지도 않았으며, 그들 스스로가 국왕에게 거병소식을 알리는 등 왕권 자체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문벌귀족 타도에 목적을 두었다. 반란의 소식을 접한 정부는 [[김부식]]을 총책임자로 하는 토벌군을 편성했으며, [[김부식]]은 먼저 [[정지상]] 등을 서도(西都)의 모반에 관여했다는 명목으로 처단하였다. 천도파군은 서경과 그 주변지역의 민중들의 호응을 받으며 결사적인 항쟁을 전개했다.
+
===좌절된 서경 천도===
  
그러나 정부군은 서경성 바로 밑에까지 진격, 중·좌·우·전·후의 5군이 성을 포위하였는데, 반란군의 결사적인 항전으로 고전하였으나 식량이 부족해 굶어죽는 사람들이 속출하면서 사기가 크게 떨어지게 되었다. 마침내 1136년 2월 정부군은 총공격을 감행, 서경성을 함락하였다. 이에 [[조광]] 등 반란군의 지도자들이 자결함으로써 반란은 끝나게 된 것이다.
+
이러한 주장은 [[고려 인종|인종]]의 마음을 움직여 1128년([[고려 인종|인종]] 6)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에 걸쳐 [[묘청]]의 주장대로 대화궁(大華宮)을 짓고, 이어서 1131년에는 그 궁성 안에 8성당(八聖堂)을 두는 등 설비를 갖추었다. 그러나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개경 문벌귀족의 반대로 천도운동이 난관에 부닥치자 1135년 정월에 [[묘청]]은 분사시랑 [[조광|조광(趙匡)]], 분사병부상서 [[유참|유참(柳旵)]], 분사사재소경 [[조창언|조창언(趙昌言)]]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서경파 몰락===
 +
 
 +
그들은 칭제건원을 주장했으나 국왕을 새로이 옹립하지도 않았으며, 그들 스스로가 국왕에게 거병소식을 알리는 등 왕권 자체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문벌귀족 타도에 목적을 두었다. 반란 소식을 접한 정부는 [[김부식]]을 총책임자로 하는 토벌군을 편성했으며, [[김부식]]은 먼저 [[정지상]] 등을 서도(西都)의 모반에 관여했다는 명목으로 처단하였다. 천도를 주장하는 무리는 서경과 그 주변지역의 민중들의 호응을 받으며 결사적인 항쟁을 전개하였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36년 2월 정부군은 총공격을 감행, 서경성을 함락하였으며, 이에 [[조광]] 등 반란군의 지도자들이 자결함으로써 반란은 종결되었다.<ref>하현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893 묘청의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38번째 줄: 43번째 줄:
 
|-
 
|-
 
| [[묘청의 난]] || [[정지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묘청의 난]] || [[정지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묘청의 난]] || [[윤언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46번째 줄: 53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
** 하현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893 묘청의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596&cid=42957&categoryId=42957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더 읽을 거리===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1445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사건]]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사건]]
 +
[[분류:사건]]

2018년 1월 10일 (수) 00:16 기준 최신판

묘청의 난(妙淸-亂)
대표명칭 묘청의 난
한자표기 妙淸-亂
시대 고려시대
날짜 1135년 1월-1136년 2월
관련인물 묘청(妙淸), 김부식(金富軾), 정지상(鄭知常), 윤언이(尹彦頤)
관련장소 서경(西京)



정의

1135년(인종 13) 묘청(妙淸) 등이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내용

서경 선진세력과 개경 문벌파의 대립

이자겸(李資謙)의 난 이후 개경의 문벌귀족 가운데 김부식(金富軾), 이공수(李公壽), 임원애(任元敳) 등이 크게 부상하였다. 이자겸 이래로 이들은 당시 새 강자로 등장한 금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취하는 등의 외교로 대외적인 안정을 꾀하며 정권을 주도했다.[1]

한편 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는 등 공로를 세운 정지상(鄭知常)과 그의 천거로 등장한 묘청(妙淸)·백수한(白壽翰) 등 서경출신 신진관료들이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이들은 당시 유행하고 있던 지리도참설(地理圖讖說)과 칭제건원(稱帝建元)·금국정벌론(金國征伐論) 등을 내세우면서 서경천도운동을 벌여 개경에 기반을 둔 문벌귀족세력을 누르고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려 하였다.[2]

좌절된 서경 천도

이러한 주장은 인종의 마음을 움직여 1128년(인종 6)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에 걸쳐 묘청의 주장대로 대화궁(大華宮)을 짓고, 이어서 1131년에는 그 궁성 안에 8성당(八聖堂)을 두는 등 설비를 갖추었다. 그러나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개경 문벌귀족의 반대로 천도운동이 난관에 부닥치자 1135년 정월에 묘청은 분사시랑 조광(趙匡), 분사병부상서 유참(柳旵), 분사사재소경 조창언(趙昌言)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3]

서경파 몰락

그들은 칭제건원을 주장했으나 국왕을 새로이 옹립하지도 않았으며, 그들 스스로가 국왕에게 거병소식을 알리는 등 왕권 자체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문벌귀족 타도에 목적을 두었다. 반란 소식을 접한 정부는 김부식을 총책임자로 하는 토벌군을 편성했으며, 김부식은 먼저 정지상 등을 서도(西都)의 모반에 관여했다는 명목으로 처단하였다. 천도를 주장하는 무리는 서경과 그 주변지역의 민중들의 호응을 받으며 결사적인 항쟁을 전개하였다.[4] 1136년 2월 정부군은 총공격을 감행, 서경성을 함락하였으며, 이에 조광 등 반란군의 지도자들이 자결함으로써 반란은 종결되었다.[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묘청의 난 묘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묘청의 난 김부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묘청의 난 정지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묘청의 난 윤언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하현강, "묘청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하현강, "묘청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묘청의 난",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