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다정가 |한자표기=多情歌 |영문명칭= |이칭=이화에 월백하고 |유형=시조 |저자=이조년|이조년(李...) |
잔글 (→정의)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봄밤의 서정을 노래한 [[이조년|이조년(李兆年)]]의 | + | 봄밤의 서정을 노래한 [[이조년|이조년(李兆年)]]의 시조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6822&cid=40942&categoryId=32868 이화에 월백하고]",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내용'''== | =='''내용'''== | ||
+ | 고려말의 문신 [[이조년|이조년(李兆年)]]이 봄밤의 정서를 시각적·청각적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형상화한 고시조이다. 고시조집 『해동가요(海東歌謠)』, 『[[청구영언|청구영언(靑丘永言)]]』,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에 실려 전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6822&cid=40942&categoryId=32868 이화에 월백하고]",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봄날 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잘 표현한 이 작품의 주제는 봄밤의 애상적인 정취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을 [[이조년]]이 [[고려 충혜왕|충혜왕]]에게 충간하다가 벼슬에서 물러난 후 왕을 걱정하며 그리워하는 심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ref>이영기 외,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인문과교양, 201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3878&cid=41773&categoryId=44404 이화에 월백하고]",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39번째 줄: | 41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다정가]] || [[이조년]] || A는 B가 저술하였다 || | ||
+ | |- | ||
+ | | [[청구영언]] || [[다정가]]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 | ||
47번째 줄: | 52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자원 | *웹자원 |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6822&cid=40942&categoryId=32868 이화에 월백하고]",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이영기 외,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인문과교양, 201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3878&cid=41773&categoryId=44404 이화에 월백하고]",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 ||
[[분류:문헌]] | [[분류:문헌]] |
2018년 1월 9일 (화) 22:18 기준 최신판
다정가(多情歌) | |
대표명칭 | 다정가 |
---|---|
한자표기 | 多情歌 |
이칭 | 이화에 월백하고 |
유형 | 시조 |
저자 | 이조년(李兆年) |
시대 | 고려시대 |
정의
봄밤의 서정을 노래한 이조년(李兆年)의 시조이다.[1]
내용
고려말의 문신 이조년(李兆年)이 봄밤의 정서를 시각적·청각적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형상화한 고시조이다. 고시조집 『해동가요(海東歌謠)』, 『청구영언(靑丘永言)』,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에 실려 전한다.[2]
봄날 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잘 표현한 이 작품의 주제는 봄밤의 애상적인 정취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을 이조년이 충혜왕에게 충간하다가 벼슬에서 물러난 후 왕을 걱정하며 그리워하는 심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3]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다정가 | 이조년 | A는 B가 저술하였다 | |
청구영언 | 다정가 | A는 B를 포함한다 |
주석
- ↑ "이화에 월백하고",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화에 월백하고",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영기 외,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인문과교양, 2013. 온라인 참조: "이화에 월백하고",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