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3번째 줄: 33번째 줄:
  
 
==내용==
 
==내용==
1459년([[조선 세조|세조]] 5) 문과에 급제, [[조선 성종|성종]] 초에 경연관(經筵官)ㆍ함양 군수(咸陽郡守)ㆍ참교(參校)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거쳐 응교(應敎)가 되어 다시 경연에 나갔으며 도승지ㆍ이조 참판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ㆍ한성부윤ㆍ공조 참판ㆍ형조 판서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8399&cid=43671&categoryId=43671 김종직]",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본관은 선산이고 자는 계온(季昷)•효관(孝盥)이며 호는 점필재(佔畢齋)이다. 아버지는 성균사예(成均司藝)를 지낸 숙자(叔滋)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사재감정(司宰監正) 홍신(弘信)의 딸이다.  
  
고려 말 [[정몽주]]·[[길재|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아버지에게서 수학했고, 아버지로부터 전수받은 도학사상(道學思想)은 그의 제자 [[김굉필|김굉필(金宏弼)]]·[[정여창|정여창(鄭汝昌)]]·[[김일손|김일손(金馹孫)]]·[[유호인|유호인(兪好仁)]]·[[남효온|남효온(南孝溫)]]·[[조위|조위(曺偉)]]·[[이맹전|이맹전(李孟專)]]·[[이종준|이종준(李宗準)]] 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특히 그의 도학을 정통으로 이은 [[김굉필]]이 [[조광조|조광조(趙光祖)]]와 같은 인물을 배출, 학통을 계승시킴으로써 조선시대 사림학자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1453년([[조선 단종|단종]] 1) 진사가 되었고, [[조선 세조|세조]]·[[조선 성종|성종]]대에 걸쳐 벼슬을 하면서 항상 정의와 의를 숭상하고 실천하는 데 힘썼다.<ref>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978&cid=42957&categoryId=42957 김종직]",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459년(조선 세조 5) 문과에 급제, 성종 초에 경연관(經筵官)ㆍ함양 군수(咸陽郡守)ㆍ참교(參校)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거쳐 응교(應敎)가 되어 다시 경연에 나갔으며 도승지ㆍ이조 참판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ㆍ한성부윤ㆍ공조 참판ㆍ형조 판서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8399&cid=43671&categoryId=43671 김종직]",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일찍이 『[[조의제문|조의제문(弔義帝文)]]』을 지은바 있었는데, 죽은 후인 1498년([[조선 연산군|연산군]] 4) 제자 [[김일손|김일손(金馹孫)]]이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이것을 사초(史草)에 적어 넣은 것이 원인이 되어 [[무오사화|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났다. 이로 말미암아 그는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고, 많은 문집이 소각되었으며 문인들이 모두 참화(慘禍)를 입었다. [[길재]] 및 아버지의 학통을 이어받아 학문 경향은 효제충신(孝悌忠信)을 주안으로 하는 실제적 방면에 치중한 것이었다. 총재관(總裁官)으로서『[[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5권을 증수(增修)했으며, 서화(書畵)에도 뛰어났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8399&cid=43671&categoryId=43671 김종직]",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고려 말 [[정몽주]]·[[길재|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아버지에게서 수학했고, 그로부터 전수받은 도학사상(道學思想)은 그의 제자 [[김굉필|김굉필(金宏弼)]]·[[정여창|정여창(鄭汝昌)]]·[[김일손|김일손(金馹孫)]]·[[유호인|유호인(兪好仁)]]·[[남효온|남효온(南孝溫)]]·[[조위|조위(曺偉)]]·[[이맹전|이맹전(李孟專)]]·[[이종준|이종준(李宗準)]] 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특히 그의 도학을 정통으로 이은 [[김굉필]]이 [[조광조|조광조(趙光祖)]]와 같은 인물을 배출, 학통을 계승시킴으로써 조선시대 사림학자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1453년([[조선 단종|단종]] 1) 진사가 되었고, [[조선 세조|세조]]·[[조선 성종|성종]]대에 걸쳐 벼슬을 하면서 항상 정의와 의를 숭상하고 실천하는 데 힘썼다.<ref>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978&cid=42957&categoryId=42957 김종직]",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김종직은 1457년(조선 세조 3) 『[[조의제문|조의제문(弔義帝文)]]』을 지은 바 있었는데, 죽은 후인 1498년([[조선 연산군|연산군]] 4) 제자 [[김일손|김일손(金馹孫)]]이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이것을 사초(史草)에 적어 넣은 것이 원인이 되어 [[무오사화|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났다. 이로 말미암아 그는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고, 많은 문집이 소각되었으며 문인들이 모두 참화(慘禍)를 입었다. [[길재]] 및 아버지의 학통을 이어받아 학문 경향은 효제충신(孝悌忠信)을 주안으로 하는 실제적 방면에 치중한 것이었다. 총재관(總裁官)으로서 『[[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5권을 증수(增修)했으며, 서화(書畵)에도 뛰어났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8399&cid=43671&categoryId=43671 김종직]",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점필재집』, 『청구풍아(靑丘風雅)』, 『동문수(東文粹)』, 『당후일기』, 『유두유록(遊頭流錄)』, 『기행록(紀行錄)』 등을 남겼다.  아마도 더 많은 저서가 있었을 것이나 무오사화 때 거의 다 불타 없어졌으며 그의 인척이 숨겨둔 몇 권의 책만이 남아 전하는 것이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손소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3/E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71번째 줄: 80번째 줄:
 
|-
 
|-
 
|}
 
|}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80번째 줄: 90번째 줄: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8985&cid=41708&categoryId=41711 김종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8985&cid=41708&categoryId=41711 김종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논문
 
*논문
**김용헌,「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한국학논집 제45집, 한국학논집, 2011, 147-186쪽.
+
**김용헌, 「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한국학논집 제45집, 한국학논집, 2011, 147-186쪽.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
[[분류:인물]]

2018년 1월 9일 (화) 20:42 기준 최신판

김종직(金宗直)
대표명칭 김종직
한자표기 金宗直
생몰년 1431-1492
본관 선산(일선)
시호 문충
점필재(佔畢齋)
효관(孝盥)·계온(季昷),
출생지 경남 밀양
시대 조선
국적 조선
사예숙자(叔滋)
사재감정(司宰監正)홍신(弘信)의 딸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내용

본관은 선산이고 자는 계온(季昷)•효관(孝盥)이며 호는 점필재(佔畢齋)이다. 아버지는 성균사예(成均司藝)를 지낸 숙자(叔滋)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사재감정(司宰監正) 홍신(弘信)의 딸이다.

1459년(조선 세조 5) 문과에 급제, 성종 초에 경연관(經筵官)ㆍ함양 군수(咸陽郡守)ㆍ참교(參校)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거쳐 응교(應敎)가 되어 다시 경연에 나갔으며 도승지ㆍ이조 참판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ㆍ한성부윤ㆍ공조 참판ㆍ형조 판서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1]

고려 말 정몽주·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아버지에게서 수학했고, 그로부터 전수받은 도학사상(道學思想)은 그의 제자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김일손(金馹孫)·유호인(兪好仁)·남효온(南孝溫)·조위(曺偉)·이맹전(李孟專)·이종준(李宗準) 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특히 그의 도학을 정통으로 이은 김굉필조광조(趙光祖)와 같은 인물을 배출, 학통을 계승시킴으로써 조선시대 사림학자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1453년(단종 1) 진사가 되었고, 세조·성종대에 걸쳐 벼슬을 하면서 항상 정의와 의를 숭상하고 실천하는 데 힘썼다.[2]

김종직은 1457년(조선 세조 3)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지은 바 있었는데, 죽은 후인 1498년(연산군 4) 제자 김일손(金馹孫)이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이것을 사초(史草)에 적어 넣은 것이 원인이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났다. 이로 말미암아 그는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고, 많은 문집이 소각되었으며 문인들이 모두 참화(慘禍)를 입었다. 길재 및 아버지의 학통을 이어받아 학문 경향은 효제충신(孝悌忠信)을 주안으로 하는 실제적 방면에 치중한 것이었다. 총재관(總裁官)으로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5권을 증수(增修)했으며, 서화(書畵)에도 뛰어났다.[3]『점필재집』, 『청구풍아(靑丘風雅)』, 『동문수(東文粹)』, 『당후일기』, 『유두유록(遊頭流錄)』, 『기행록(紀行錄)』 등을 남겼다. 아마도 더 많은 저서가 있었을 것이나 무오사화 때 거의 다 불타 없어졌으며 그의 인척이 숨겨둔 몇 권의 책만이 남아 전하는 것이다.

지식 관계망

  • 손소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길재 김종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약용 김종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김굉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정여창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김일손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유호인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남효온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조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이맹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이종준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조의제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종직 무오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종직 갑자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김종직",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김종직",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김종직",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김종직", 『두산백과』online.
    • 오종일, "김종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김종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f>
  • 논문
    • 김용헌, 「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한국학논집 제45집, 한국학논집, 2011, 147-18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