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굉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정의) |
(→학문 및 업적)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본관=서흥(瑞興) | |본관=서흥(瑞興) | ||
|이칭= | |이칭= | ||
− | |시호= | + | |시호=문경(文敬) |
|호=사옹(簑翁), 한훤당(寒暄堂) | |호=사옹(簑翁), 한훤당(寒暄堂) | ||
|자=대유(大猷) | |자=대유(大猷)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초기의 문인이다. | |
==내용== | ==내용== | ||
===생애=== | ===생애=== | ||
− | 1480년(성종 11) 생원시에 | + | 1480년(성종 11) 생원시에 합격했으며, 1494년 이극균(李克均)에 의해 유일지사(遺逸之士)로 천거되어 남부참봉에 제수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496년 군자감주부에 제수되었으며, 곧 사헌부감찰을 거쳐 이듬해에는 형조좌랑이 되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문도로서 붕당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다가 2년 뒤 순천에 이배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무오 당인이라는 죄목으로 극형에 처해졌다.<ref>이병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739 김굉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김굉필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정몽주]]-[[길재]]-[[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조선 성리학의 전달자이다. 그는 특히 ‘소학동자(小學童子)’로 자처할 정도로 [[소학 | 『소학』]]에 | + | ===학문 및 업적=== |
+ | 김굉필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정몽주]]-[[길재]]-[[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조선 성리학의 전달자이다. 그는 특히 ‘소학동자(小學童子)’로 자처할 정도로 [[소학 | 『소학』]]에 심취했으며 이를 주축으로 하여 수기의 원리를 실천할 구체적 행동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을 비롯한 각종 성리학 서적을 탐구하여 절대적 선(善)인 리(理)의 보편성을 보장하는 독자적인 성리학적 세계관을 확립하였다.<ref>이민아,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12 김굉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러한 그의 학문은 문인인 [[조광조 | 조광조(趙光祖)]]에게로 이어져 조선 유학의 정맥 역할을 하였다. 이 때문에 김굉필은 이후 유림들 사이에서 도학의 종주로 추앙받으며 아산의 [[아산 인산서원 | 인산서원(仁山書院)]], 서흥의 [[서홍 화곡서원 | 화곡서원(花谷書院)]], 희천의 [[희천 상원서원 | 상현서원(象賢書院)]], 순천의 [[순천 옥선서원 | 옥천서원(玉川書院)]], 현풍의 [[현풍 도동서원 | 도동서원(道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경현록 | 『경현록(景賢錄)』]]·[[한훤당집 | 『한훤당집(寒暄堂集)』]]·[[가범 | 『가범(家範)』]] 등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ref>이병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739 김굉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손소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3/E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김종직]] || [[김굉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김굉필]] || [[조광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김종직]]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김굉필]]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김굉필]] || [[갑자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김굉필]] || [[소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김굉필]] || [[아산 인산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김굉필]] || [[서흥 화곡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김굉필]] || [[회천 상현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김굉필]] || [[순천 옥선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김굉필]] || [[현풍 도동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경현록]] || [[김굉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한훤당집]] || [[김굉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가범]] || [[김굉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우경섭, 「17세기 寒暄堂 金宏弼의 도통적 위상」, 『한국학연구』 Vol.43,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
+ | **김인규, 「한훤당 김굉필의 도학사상과 후학의 평가」, 『포은학연구』 Vol.18, 포은학회, 2016. | ||
+ | **장도규, 「한훤당 김굉필의 소학적 삶과 「한빙계」 일고」, 『漢文學論集』 Vol.17, 근역한문학회, 1999. | ||
+ | **조원래, 「사화기(士禍期) 호남사림의 학맥(學脈)과 김굉필(金宏弼)의 도학사상」, 『東洋學』 Vol.2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5. | ||
+ | **김훈식, 「한훤당(寒暄堂) 김굉필에 대한 조선시대의 평가와 그 의미」, 『동방학지』 Vol.1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6. | ||
+ | |||
+ | ===유용한 정보=== | ||
+ | *김성우,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1064&yy=2012 한훤당 김굉필의 도동서원]", 『매일신문』, 작성일:2012년 03월 26일. | ||
+ | |||
+ |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 ||
+ | [[분류:인물]] |
2018년 1월 8일 (월) 23:54 기준 최신판
김굉필(金宏弼) | |
대표명칭 | 김굉필 |
---|---|
한자표기 | 金宏弼 |
생몰년 | 1454-1504 |
본관 | 서흥(瑞興) |
시호 | 문경(文敬) |
호 | 사옹(簑翁), 한훤당(寒暄堂) |
자 | 대유(大猷) |
출생지 | 한성부 정릉동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부 | 김뉴(金紐) |
모 | 한승순(韓承舜)의 딸 청추 한씨 |
정의
조선 초기의 문인이다.
내용
생애
1480년(성종 11) 생원시에 합격했으며, 1494년 이극균(李克均)에 의해 유일지사(遺逸之士)로 천거되어 남부참봉에 제수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496년 군자감주부에 제수되었으며, 곧 사헌부감찰을 거쳐 이듬해에는 형조좌랑이 되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문도로서 붕당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다가 2년 뒤 순천에 이배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무오 당인이라는 죄목으로 극형에 처해졌다.[1]
학문 및 업적
김굉필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정몽주-길재-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조선 성리학의 전달자이다. 그는 특히 ‘소학동자(小學童子)’로 자처할 정도로 『소학』에 심취했으며 이를 주축으로 하여 수기의 원리를 실천할 구체적 행동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을 비롯한 각종 성리학 서적을 탐구하여 절대적 선(善)인 리(理)의 보편성을 보장하는 독자적인 성리학적 세계관을 확립하였다.[2] 이러한 그의 학문은 문인인 조광조(趙光祖)에게로 이어져 조선 유학의 정맥 역할을 하였다. 이 때문에 김굉필은 이후 유림들 사이에서 도학의 종주로 추앙받으며 아산의 인산서원(仁山書院), 서흥의 화곡서원(花谷書院), 희천의 상현서원(象賢書院), 순천의 옥천서원(玉川書院), 현풍의 도동서원(道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경현록(景賢錄)』· 『한훤당집(寒暄堂集)』· 『가범(家範)』 등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3]
지식 관계망
- 손소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종직 | 김굉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굉필 | 조광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종직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굉필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굉필 | 갑자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굉필 | 소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굉필 | 아산 인산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김굉필 | 서흥 화곡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김굉필 | 회천 상현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김굉필 | 순천 옥선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김굉필 | 현풍 도동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경현록 | 김굉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한훤당집 | 김굉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가범 | 김굉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주석
- ↑ 이병휴, "김굉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민아, "김굉필",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병휴, "김굉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우경섭, 「17세기 寒暄堂 金宏弼의 도통적 위상」, 『한국학연구』 Vol.43,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김인규, 「한훤당 김굉필의 도학사상과 후학의 평가」, 『포은학연구』 Vol.18, 포은학회, 2016.
- 장도규, 「한훤당 김굉필의 소학적 삶과 「한빙계」 일고」, 『漢文學論集』 Vol.17, 근역한문학회, 1999.
- 조원래, 「사화기(士禍期) 호남사림의 학맥(學脈)과 김굉필(金宏弼)의 도학사상」, 『東洋學』 Vol.2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5.
- 김훈식, 「한훤당(寒暄堂) 김굉필에 대한 조선시대의 평가와 그 의미」, 『동방학지』 Vol.1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6.
유용한 정보
- 김성우, "한훤당 김굉필의 도동서원", 『매일신문』, 작성일:2012년 03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