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세병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위도=34.847736 | |위도=34.847736 | ||
|수량= | |수량= | ||
− | |관련인물=[[이순신]],[[ | + | |관련인물=[[이순신]],[[이경준]]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관련유물유적=[[삼도수군통제영]] |
}} | }} | ||
=='''정의'''== | =='''정의'''== | ||
− |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 + |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이다. |
=='''내용'''== | =='''내용'''== | ||
− | 통영 | + | [[이경준]] 제6대 [[수군통제사]]가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을 이 고장 두룡포에 옮겨온 이듬해인 1605년(선조 38) 7월 14일에 준공한 통제영의 객사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239&cid=42856&categoryId=42856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html>『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963년 세병관을 해체 수리할 때 종도리의 홈 속에서 세병관중수상량문이 발견되었는데. 을사년(서기 1605년) 1월에 짓기 시작하여 그해 가을 7월14일에 상량했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치긴 했지만 아직도 멀리 남해를 바라보며 당시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050000,38&flag=Y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장방형 평면으로 | + | 장방형 평면으로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通間)으로 개방하였다. 다만, 우물마루로 된 평면바닥의 중앙 일부를 한 단 올림으로써 위계성(位階性)을 주었다. |
− | 다듬은 돌로 바른층쌓기한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기둥 윗몸은 | + | 다듬은 돌로 바른층쌓기한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기둥 윗몸은 가로 방향으로 창방(昌枋)을 써서 결구(結構)하였다.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만 짜 올린 주심포식(柱心包式)이지만, 수법상 익공식(翼工式) 수법과 다포식(多包式) 수법이 많이 보인다.<ref>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803 통영 세병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이삼과 이순신과 이창운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38번째 줄: | 43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통영 세병관]] || [[수군통제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통영 세병관]] || [[여수 진남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통영 세병관]] || [[삼도수군통제영]]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45번째 줄: | 53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3/S002/S002.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3/S002/S002.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갤러리=== | ||
55번째 줄: | 6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239&cid=42856&categoryId=42856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html>『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050000,38&flag=Y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803 통영 세병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 |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화유산]]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화유산]] | ||
+ | [[분류:문화유산]] |
2018년 1월 4일 (목) 18:57 기준 최신판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 |
|
대표명칭 | 통영 세병관 |
---|---|
한자표기 | 統營 洗兵館 |
유형 | 유적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국보 제305호 |
지정일 | 2002년 10월 14일 |
소장처 | 경상남도 통영시 세병로 27(문화동) |
관련인물 | 이순신,이경준 |
관련유물유적 | 삼도수군통제영 |
|
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이다.
내용
이경준 제6대 수군통제사가 통제영을 이 고장 두룡포에 옮겨온 이듬해인 1605년(선조 38) 7월 14일에 준공한 통제영의 객사이다.[1] 1963년 세병관을 해체 수리할 때 종도리의 홈 속에서 세병관중수상량문이 발견되었는데. 을사년(서기 1605년) 1월에 짓기 시작하여 그해 가을 7월14일에 상량했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치긴 했지만 아직도 멀리 남해를 바라보며 당시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2]
장방형 평면으로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通間)으로 개방하였다. 다만, 우물마루로 된 평면바닥의 중앙 일부를 한 단 올림으로써 위계성(位階性)을 주었다. 다듬은 돌로 바른층쌓기한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기둥 윗몸은 가로 방향으로 창방(昌枋)을 써서 결구(結構)하였다.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만 짜 올린 주심포식(柱心包式)이지만, 수법상 익공식(翼工式) 수법과 다포식(多包式) 수법이 많이 보인다.[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통영 세병관 | 수군통제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통영 세병관 | 여수 진남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통영 세병관 | 삼도수군통제영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주남철, "통영 세병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주남철, "통영 세병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