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충효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구조)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경상북도 안동시 | +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위치한 조선 중기 가옥이다. |
==내용== | ==내용== | ||
− |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유성룡(柳成龍)의 고택으로 | + |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유성룡(柳成龍)의 고택으로 원래의 모습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보물 제 414호로 지정되었다.<ref>주남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258 안동 하회 충효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설립=== | ===설립===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구조=== | ===구조=== | ||
− | 규모는 총 | + | 규모는 총 52칸이다. 행랑채에 달린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 대청 앞에 마주서게 되며 이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사랑채 온돌방 옆에 대문은 안채와 통하며 건물은 중정(中庭)을 둘러싸고 ‘口’자형의 평면으로 배열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내당은 대청과 방앞에 툇간(退間)을 두었으며 높은 원주를 세우고 그 위에는 2익공(二翼工) 계통의 공포(栱包)를 배치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4932 안동 하회 충효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사랑채 대청에 걸려 있는 ‘충효당(忠孝堂)’이라고 쓴 현판은 | + | 사랑채 대청에 걸려 있는 ‘충효당(忠孝堂)’이라고 쓴 현판은 당대의 명필가 [[허목 | 허목(1595∼1682)]]이 쓴 것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ull&VdkVgwKey=12,04140000,37&queryText=(V_GCODE=CA%3Cand%3EV_BCODE=01%3Cand%3EV_MCODE=02) 안동 하회 충효당]",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류성룡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8/E05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43번째 줄: | 50번째 줄: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53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화유산]]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화유산]] | ||
+ | [[분류:문화유산]] |
2018년 1월 4일 (목) 17:03 기준 최신판
안동 충효당 (安東 忠孝堂) |
|
대표명칭 | 안동 충효당 |
---|---|
한자표기 | 安東 忠孝堂 |
유형 | 유적건조물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보물 제414호 |
지정일 | 1964.11.14 |
관련인물 | 류성룡 |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위치한 조선 중기 가옥이다.
내용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유성룡(柳成龍)의 고택으로 원래의 모습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보물 제 414호로 지정되었다.[1]
설립
충효당은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랑채와 안채는 손자인 졸재 류원지(1598∼1674)가 짓고, 증손자인 눌재 류의하(1616∼1698)가 확장 수리한 것이다. 행랑채는 8대손 일우 류상조(1763∼1838)가 지은 건물로 대문과 방, 광으로 구성되어 있다.[2]
구조
규모는 총 52칸이다. 행랑채에 달린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 대청 앞에 마주서게 되며 이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사랑채 온돌방 옆에 대문은 안채와 통하며 건물은 중정(中庭)을 둘러싸고 ‘口’자형의 평면으로 배열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내당은 대청과 방앞에 툇간(退間)을 두었으며 높은 원주를 세우고 그 위에는 2익공(二翼工) 계통의 공포(栱包)를 배치하였다.[3]
사랑채 대청에 걸려 있는 ‘충효당(忠孝堂)’이라고 쓴 현판은 당대의 명필가 허목(1595∼1682)이 쓴 것이다.[4]
지식 관계망
- 류성룡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류성룡 | 안동 충효당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안동 충효당 | 허목 | A는 B가 편액을 썼다 | A dcterms:creator B |
주석
- ↑ 주남철, "안동 하회 충효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동 하회 충효당",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 ↑ "안동 하회 충효당",
『두산백과』online . - ↑ "안동 하회 충효당",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