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내용'''==
 +
===가계===
 
[[최기남|최기남(崔起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최명길(崔鳴吉)]]이고, 아버지는 한성좌윤 완릉군(完陵君) [[최후량|최후량(崔後亮)]]이다. 어머니는 [[안헌징|안헌징(安獻徵)]]의 딸이다. 응교 [[최후상|최후상(崔後尙)]]에게 입양되었다.<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376 최석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최기남|최기남(崔起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최명길(崔鳴吉)]]이고, 아버지는 한성좌윤 완릉군(完陵君) [[최후량|최후량(崔後亮)]]이다. 어머니는 [[안헌징|안헌징(安獻徵)]]의 딸이다. 응교 [[최후상|최후상(崔後尙)]]에게 입양되었다.<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376 최석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생애===
 
[[남구만|남구만(南九萬)]], [[박세채|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1671년([[조선 현종|현종]] 1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였다. 1697년([[조선 숙종|숙종]] 23) 우의정이 되었으며, 1699년 좌의정과 홍문관 대제학(大提學)을 겸직하였다. 1701년([[조선 숙종|숙종]] 27) 영의정이 되었으며, [[장희빈|장희빈(張禧嬪)]]의 처형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났다. 소론(少論)의 영수로 많은 파란을 겪으면서도 8번이나 영의정을 지냈으며, 당시 배척받던 양명학(陽明學)을 발전시켰다. 글씨와 문장에도 뛰어났으며, 저서에 『[[경세정운도설|경세정운도설(經世正韻圖說)]]』,『[[명곡집|명곡집(明谷集)]]』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7349&cid=40942&categoryId=33383 최석정]",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ref>
 
[[남구만|남구만(南九萬)]], [[박세채|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1671년([[조선 현종|현종]] 1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였다. 1697년([[조선 숙종|숙종]] 23) 우의정이 되었으며, 1699년 좌의정과 홍문관 대제학(大提學)을 겸직하였다. 1701년([[조선 숙종|숙종]] 27) 영의정이 되었으며, [[장희빈|장희빈(張禧嬪)]]의 처형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났다. 소론(少論)의 영수로 많은 파란을 겪으면서도 8번이나 영의정을 지냈으며, 당시 배척받던 양명학(陽明學)을 발전시켰다. 글씨와 문장에도 뛰어났으며, 저서에 『[[경세정운도설|경세정운도설(經世正韻圖說)]]』,『[[명곡집|명곡집(明谷集)]]』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7349&cid=40942&categoryId=33383 최석정]",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ref>
  
42번째 줄: 44번째 줄:
  
 
===수학가로서의 면모===
 
===수학가로서의 면모===
최석정은 12세에 이미 『주역』에 통달했으며, 산수(算數)와 자학(字學)에 있어서도 매우 뛰어난 면모를 보였다. 역학과 수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구수략|구수략(九數略)]]』의 저술로 이어졌다. 그는 『[[구수략]]』을 통해 『주역』의 괘를 바탕으로 한 상수학적(象數學的) 이해, [[마방진|마방진(魔方陣)]] 연구, 무한대와 무한소의 개념을 선보이는 등 당대의 수학적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했다.<ref>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6678&cid=59015&categoryId=59015 최석정]", 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sup>online</sup></online></html>.</ref>
+
최석정은 12세에 이미 『주역』에 통달했으며, 산수(算數)와 자학(字學)에 있어서도 매우 뛰어난 면모를 보였다. 역학과 수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구수략|구수략(九數略)]]』을 저술하였다. 이를 통해 『주역』의 괘를 바탕으로 한 상수학적(象數學的) 이해, [[마방진|마방진(魔方陣)]] 연구, 무한대와 무한소의 개념을 선보이는 등 당대의 수학적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하였다.<ref>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6678&cid=59015&categoryId=59015 최석정]", 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81번째 줄: 83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분류:인물]]
 
[[분류:인물]]
 +
[[분류:교열완료]]

2018년 1월 4일 (목) 11:24 기준 최신판

최석정(崔錫鼎)
대표명칭 최석정
한자표기 崔錫鼎
생몰년 1646(인조 24)-1715(숙종 41)
본관 전주(全州)
이칭 최석만(崔錫萬)
시호 문정(文貞)
존와(存窩), 명곡(明谷)
여시(汝時), 여화(汝和)
시대 조선
최후량(崔後亮)
안헌징(安獻徵)의 딸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가계

최기남(崔起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이고, 아버지는 한성좌윤 완릉군(完陵君) 최후량(崔後亮)이다. 어머니는 안헌징(安獻徵)의 딸이다. 응교 최후상(崔後尙)에게 입양되었다.[1]

생애

남구만(南九萬),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1671년(현종 1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였다. 1697년(숙종 23) 우의정이 되었으며, 1699년 좌의정과 홍문관 대제학(大提學)을 겸직하였다. 1701년(숙종 27) 영의정이 되었으며, 장희빈(張禧嬪)의 처형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났다. 소론(少論)의 영수로 많은 파란을 겪으면서도 8번이나 영의정을 지냈으며, 당시 배척받던 양명학(陽明學)을 발전시켰다. 글씨와 문장에도 뛰어났으며, 저서에 『경세정운도설(經世正韻圖說)』,『명곡집(明谷集)』이 있다.[2]

남구만 초상 찬문의 찬자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남구만단령본 초상(보물 제1484호)의 우측 상단에는 '영의정치사약천남선생진 문인영의정최석정찬(領議政致仕藥泉南先生眞 文人領議政崔錫鼎贊)'이라고 쓰여진 최석정의 찬문이 있다.

수학가로서의 면모

최석정은 12세에 이미 『주역』에 통달했으며, 산수(算數)와 자학(字學)에 있어서도 매우 뛰어난 면모를 보였다. 역학과 수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구수략(九數略)』을 저술하였다. 이를 통해 『주역』의 괘를 바탕으로 한 상수학적(象數學的) 이해, 마방진(魔方陣) 연구, 무한대와 무한소의 개념을 선보이는 등 당대의 수학적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하였다.[3]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명길 최후량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최후량 최석정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최후상 최석정 A는 양자 B를 두었다 A ekc:hasAdoptedHeir B
남구만 최석정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박세채 최석정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최석정 최석정의 남구만 초상 찬문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남구만 초상 최석정의 남구만 초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구수략 최석정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구수략 마방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박광용, "최석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석정",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신병주, "최석정",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online.

참고문헌

  • 박광용, "최석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석정",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신병주, "최석정",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