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문인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내용==
 
==내용==
1552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는 것을 포기하고 학문과 수양에만 전념했다. [[이황]]의 제자로서 경전연구에 주력하였다. 또 [[이황]]이 [[안동 도산서당]]을 짓는 데 함께하였으며, [[퇴계집]]간행하고, 같은 [[이황]]의 문인인 [[류성룡]] 등과 교유하였다.<ref>김도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751 조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안동 현사사]]와 [[안동 광흥사]]에서 독서를 즐겼고, 월천집, 곤지잡록 등을 저술하였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안동 정산서원]], [[안동 도산서원]], [[봉화 문암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688&cid=40942&categoryId=33383 조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가계===
 +
경상도 예안 출신으로 본관은 횡성(橫城)이고 자는 사경(士敬)이며 호는 월천(月川)이다. 아버지는 참판 대춘(大春)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수익(受益)의 딸이다.<ref>김도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751 조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생애===
 +
1552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는 것을 포기하고 학문과 수양에만 전념했다. [[이황]]의 제자로서 경전연구에 주력하였다. 또 [[이황]]이 [[안동 도산서당]]을 짓는 데 함께 하였으며, [[퇴계집]]』을 간행하고, 같은 [[이황]]의 문인인 [[류성룡]] 등과 교유하였다.<ref>김도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751 조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안동 현사사]]와 [[안동 광흥사]]에서 독서를 즐겼고, 『월천집』, 『곤지잡록』 등을 저술하였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예천 정산서원]], [[안동 도산서원]], [[봉화 문암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688&cid=40942&categoryId=33383 조목]",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2번째 줄: 46번째 줄: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2/E05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2/E05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E058/E058.htm 류성룡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48번째 줄: 53번째 줄:
 
| [[조목]] || [[이황]]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조목]] || [[이황]]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
| [[조목]] || [[안동 정산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조목]] || [[예천 정산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조목]] || [[안동 도산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조목]] || [[안동 도산서원]]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82번째 줄: 87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분류:인물]]
 
[[분류:인물]]
 
+
[[분류:교열완료]]
[[분류:이혜영]]
 

2018년 1월 4일 (목) 10:39 기준 최신판

조목(趙穆)
Joseon yangban mid.png
대표명칭 조목
한자표기 趙穆
생몰년 1524년-1606년
본관 횡성(橫城)
월천(月川)
사경(士敬)
조대춘
조대춘 처 안동 권씨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내용

가계

경상도 예안 출신으로 본관은 횡성(橫城)이고 자는 사경(士敬)이며 호는 월천(月川)이다. 아버지는 참판 대춘(大春)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수익(受益)의 딸이다.[1]

생애

1552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는 것을 포기하고 학문과 수양에만 전념했다. 이황의 제자로서 경전연구에 주력하였다. 또 이황안동 도산서당을 짓는 데 함께 하였으며, 『퇴계집』을 간행하고, 같은 이황의 문인인 류성룡 등과 교유하였다.[2] 안동 현사사안동 광흥사에서 독서를 즐겼고, 『월천집』, 『곤지잡록』 등을 저술하였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예천 정산서원, 안동 도산서원, 봉화 문암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3]

지식 관계망

  • 이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목 이황 A는 B의 제자이다 A ekc:hasMaster B
조목 예천 정산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목 안동 도산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목 봉화 문암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목 안동 현사사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목 안동 광흥사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안동 도산서당 조목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퇴계집 조목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조목 류성룡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주석

  1. 김도기, "조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도기, "조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조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도기, "조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황만기, "조목",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권오영, 「월천 조목의 언행과 학문성향」, 『국학연구』20, 한국국학진흥원, 2015.
  • 정우락, 「월천 조목의 국토 기행과 그 시적 형상」, 『민족문화연구』6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 이종호, 『월천 조목의 삶과 생각 그리고 문학』, 한국국학진흥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