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최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열공파(文烈公派)) |
(→문충공파(文忠公派))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문성공파|문성공파(文成公派)]]==== | ====[[문성공파|문성공파(文成公派)]]==== | ||
− | 시조 최아(崔阿)는 완산부개국백(完山府開國伯) [[최순작]]의 7세손으로 충숙왕(忠肅王)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라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A3%BC_%EC%B5%9C%EC%94%A8 전주 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문성공파]]에서는 문성공의 막내아들인 중랑장공파에서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는데, 그중 공민왕 때 공조참의를 역임했던 월당공 [[최담]]이 유명하다. 그는 세상이 혼탁함을 비관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지냈으나 아들 4형제가 모두 큰 벼슬을 하였다. 첫째인 [[최광지|최광지(崔匡之)]]는 조선 태종 때 [[집현전]] 제학을 역임했고, 그의 아우 [[최직지|최직지(崔直之)]]는 나주판관과 순창도사를, 셋째 [[최득지|최득지(崔得之)]]는 사헌부 감찰을, 막내 [[최덕지|최덕지(崔德之)]]는 남원부사를 | + | 시조 최아(崔阿)는 완산부개국백(完山府開國伯) [[최순작]]의 7세손으로 충숙왕(忠肅王)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라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A3%BC_%EC%B5%9C%EC%94%A8 전주 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문성공파]]에서는 문성공의 막내아들인 중랑장공파에서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는데, 그중 공민왕 때 공조참의를 역임했던 월당공 [[최담]]이 유명하다. 그는 세상이 혼탁함을 비관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지냈으나 아들 4형제가 모두 큰 벼슬을 하였다. 첫째인 [[최광지|최광지(崔匡之)]]는 조선 태종 때 [[집현전]] 제학을 역임했고, 그의 아우 [[최직지|최직지(崔直之)]]는 나주판관과 순창도사를, 셋째 [[최득지|최득지(崔得之)]]는 사헌부 감찰을, 막내 [[최덕지|최덕지(崔德之)]]는 남원부사를 역임하였다. 그 외에도 ‘[[동국통감]]’ 편찬에 관여했던 [[최명손]], 세조 때 호조참판과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한 [[최한경]], 충청감사와 형조참판을 지낸 [[최응룡]], 청백리에 녹선된 [[최여림]] 등이 유명하다. 또 [[최운철]]의 아들 [[최균]]과 [[최강]]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전공을 세웠으며, [[최기필]]은 [[진주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하여 창렬사에 제향되었다. 또 영조 때 [[최광벽]]은 돈령부 도정과 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ref>김성희, "[http://www.segye.com/newsView/20120724022627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 |
</ref> | </ref> | ||
====[[사도공파|사도공파(司徒公派)]]==== | ====[[사도공파|사도공파(司徒公派)]]==== | ||
− | 시조 [[최균|최균(崔均)]]은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한 후 명종 4년(1174년) 동북로 도지휘사(東北路 道指揮使)로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에 순절하여 완산군(完山君)에 추봉되었다. 복야공계(僕射公系)라고도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A3%BC_%EC%B5%9C%EC%94%A8 전주 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전주 최씨]] 가운데에서 [[최균]]의 후손인 [[사도공파]]가 가장 숫자가 많고 인물도 많이 배출했다. 시조 [[최균]]의 아들이[[ 최보순| 최보순(崔甫淳)]]이다. 그는 참지정사와 형부상서를 지내고 수태사 판이부사에 이르렀다. 그의 아우 [[최보연|최보연(崔甫延)]]은 형부상서를 지냈다. 또 조선시대에 들어와 [[최문도|최문도(崔文度)]]는 전법판서와 첨의참리를 지냈으며, | + | 시조 [[최균|최균(崔均)]]은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한 후 명종 4년(1174년) 동북로 도지휘사(東北路 道指揮使)로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에 순절하여 완산군(完山君)에 추봉되었다. 복야공계(僕射公系)라고도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A3%BC_%EC%B5%9C%EC%94%A8 전주 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전주 최씨]] 가운데에서 [[최균]]의 후손인 [[사도공파]]가 가장 숫자가 많고 인물도 많이 배출했다. 시조 [[최균]]의 아들이[[ 최보순| 최보순(崔甫淳)]]이다. 그는 참지정사와 형부상서를 지내고 수태사 판이부사에 이르렀다. 그의 아우 [[최보연|최보연(崔甫延)]]은 형부상서를 지냈다. 또 조선시대에 들어와 [[최문도|최문도(崔文度)]]는 전법판서와 첨의참리를 지냈으며, [[최부|최부(崔府)]]는 세종 때 경기도 관찰사를 지내고, 명나라에 다녀온 후 대사헌과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최현|최현(崔晛)]]은 병조참지와 대사성을 거쳐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다. 대사헌에 증직된 [[최명룡|최명룡(崔命龍)]]은 역학과 음양은 물론 불교경전에도 정통해서 전주의 인산서원과 부안의 옹정서원에 배향되었다.<ref>김성희, "[http://www.segye.com/newsView/20120724022627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ref> |
====[[문충공파|문충공파(文忠公派)]]==== | ====[[문충공파|문충공파(文忠公派)]]==== | ||
− | 시조 [[최군옥|최군옥(崔群玉)]]은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졌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A3%BC_%EC%B5%9C%EC%94%A8 전주 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문충공 [[최군옥]]은 [[동주 최씨|동주 최씨(철원 최씨)]]의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 + | 시조 [[최군옥|최군옥(崔群玉)]]은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졌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A3%BC_%EC%B5%9C%EC%94%A8 전주 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문충공 [[최군옥]]은 [[동주 최씨|동주 최씨(철원 최씨)]]의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동주 최씨]]는 [[경주 최씨]]의 시조 [[최치원]]의 윗대에서 갈라진 본관이다. 문충공파에서는 [[정몽주]]의 생질로 우왕 때 이부상서와 대제학을 역임했던 만육당 [[최양|최양(崔瀁)]]이 특히 유명하다. 그는 고려가 망하자 전주 봉강리에 은거하며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조선 태조|태조 이성계]]는 물론 [[조선 태종|태종]]이 친구의 예로 대하며 전답을 주었으나 받지 않았고, 끝까지 절개를 지켜 ‘최고집’이라는 별명이 생겨났다. 시호는 충익공이며 『[[두문동72현록|두문동72현록(杜門洞七十二賢錄)]]』에 기재되었다.<ref>김성희, "[http://www.segye.com/newsView/20120724022627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8년 1월 3일 (수) 16:27 기준 최신판
전주 최씨(全州 崔氏) | |
대표명칭 | 전주 최씨 |
---|---|
한자표기 | 全州 崔氏 |
유형 | 단체 |
창립자 | 최순작, 최아, 최균, 최군옥 |
창립시대 | 고려시대 |
목차
정의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내용
전주 최씨의 4대 계보
문열공파(文烈公派)
시조 최순작(崔純爵)은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숙종 때 병부상서(兵部尙書)와 신호위 상장군(神號衛 上將軍)을 지내고 완산부개국백(完山府開國伯)에 봉해졌다.[1] 문열공파는 다시 안렴사공파, 중랑장공파, 별장공파, 좌윤공파, 판윤공파, 양도공파, 경절공파, 검추공파, 감무공파 등으로 갈라진다. 그 후손으로는 고려 의종과 문종 때 공부상서와 수문전태학 겸 대장군을 역임한 최남부(崔南敷), 청백리 최유경과 그의 조부로 선부전서를 지낸 최득평이며, 아버지는 감찰대부를 지낸 문정공 최재(崔宰)가 있다. 그리고 최유경·최사강 부자의 직계 후손들은 인조반정 이후 크게 번성하였다. 청나라와 화해할 것을 주장하던 주화론의 대표주자인 문충공 최명길(영의정)이 최사강의 7대손이다. 또한 영의정을 지낸 최석정과 좌의정을 지낸 최석항은 최명길의 손자이다.[2]
문성공파(文成公派)
시조 최아(崔阿)는 완산부개국백(完山府開國伯) 최순작의 7세손으로 충숙왕(忠肅王)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라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3] 문성공파에서는 문성공의 막내아들인 중랑장공파에서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는데, 그중 공민왕 때 공조참의를 역임했던 월당공 최담이 유명하다. 그는 세상이 혼탁함을 비관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지냈으나 아들 4형제가 모두 큰 벼슬을 하였다. 첫째인 최광지(崔匡之)는 조선 태종 때 집현전 제학을 역임했고, 그의 아우 최직지(崔直之)는 나주판관과 순창도사를, 셋째 최득지(崔得之)는 사헌부 감찰을, 막내 최덕지(崔德之)는 남원부사를 역임하였다. 그 외에도 ‘동국통감’ 편찬에 관여했던 최명손, 세조 때 호조참판과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한 최한경, 충청감사와 형조참판을 지낸 최응룡, 청백리에 녹선된 최여림 등이 유명하다. 또 최운철의 아들 최균과 최강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전공을 세웠으며, 최기필은 진주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하여 창렬사에 제향되었다. 또 영조 때 최광벽은 돈령부 도정과 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4]
사도공파(司徒公派)
시조 최균(崔均)은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한 후 명종 4년(1174년) 동북로 도지휘사(東北路 道指揮使)로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에 순절하여 완산군(完山君)에 추봉되었다. 복야공계(僕射公系)라고도 한다.[5] 전주 최씨 가운데에서 최균의 후손인 사도공파가 가장 숫자가 많고 인물도 많이 배출했다. 시조 최균의 아들이 최보순(崔甫淳)이다. 그는 참지정사와 형부상서를 지내고 수태사 판이부사에 이르렀다. 그의 아우 최보연(崔甫延)은 형부상서를 지냈다. 또 조선시대에 들어와 최문도(崔文度)는 전법판서와 첨의참리를 지냈으며, 최부(崔府)는 세종 때 경기도 관찰사를 지내고, 명나라에 다녀온 후 대사헌과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최현(崔晛)은 병조참지와 대사성을 거쳐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다. 대사헌에 증직된 최명룡(崔命龍)은 역학과 음양은 물론 불교경전에도 정통해서 전주의 인산서원과 부안의 옹정서원에 배향되었다.[6]
문충공파(文忠公派)
시조 최군옥(崔群玉)은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졌다.[7] 문충공 최군옥은 동주 최씨(철원 최씨)의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동주 최씨는 경주 최씨의 시조 최치원의 윗대에서 갈라진 본관이다. 문충공파에서는 정몽주의 생질로 우왕 때 이부상서와 대제학을 역임했던 만육당 최양(崔瀁)이 특히 유명하다. 그는 고려가 망하자 전주 봉강리에 은거하며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태조 이성계는 물론 태종이 친구의 예로 대하며 전답을 주었으나 받지 않았고, 끝까지 절개를 지켜 ‘최고집’이라는 별명이 생겨났다. 시호는 충익공이며 『두문동72현록(杜門洞七十二賢錄)』에 기재되었다.[8]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전주 최씨 | 문열공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전주 최씨 | 문성공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전주 최씨 | 사도공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전주 최씨 | 문충공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문열공파 | 최순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문열공파 | 최사강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문열공파 | 최명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문열공파 | 최석항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최순작 | 최사강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최사강 | 최명길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최명길 | 최석항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최명길 | 병자호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문성공파 | 최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문성공파 | 최담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문성공파 | 최광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문성공파 | 최기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최아 | 최담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최담 | 최광지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최광지 | 최기필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최광지 | 집현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최기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진주성 | 최기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도공파 | 최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도공파 | 최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도공파 | 최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최균 | 최용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최용 | 최부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표해록 | 최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문충공파 | 최군옥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문충공파 | 최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최군옥 | 최양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1세기 | 전주 최씨 문열공파는 최순작을 시조로 하였다 |
12세기 | 전주 최씨 사도공파는 최균을 시조로 하였다 |
14세기 | 전주 최씨 문성공파는 최아를 시조로 하였다 |
14세기 | 전주 최씨 문충공파는 최군옥을 시조로 하였다 |
주석
- ↑ "전주 최씨",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김성희,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
- ↑ "전주 최씨",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김성희,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
- ↑ "전주 최씨",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김성희,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
- ↑ "전주 최씨",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김성희,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경옥, 「조선후기(朝鮮後期) 영암토족(靈岩土族)과 서원(書院)〈전주최씨가문(全州崔氏家門)의 성장(成長)과 록동서원(鹿洞書院)의 건립사례(建立事例)〉」, 『호남문화연구』, Vol-20, 1991, 17-54쪽.
- 웹자원
- "전주 최씨",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김성희,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2년 07월 25일.
- "전주 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