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7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 | | + | {{작가정보 |
− | | | + | |사진= 오승우.jpg |
− | | | + | |사진출처= "[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00&nPage=1&tot_srchquery=srch_col=0;srch_nm=%BF%C0%BD%C2%BF%EC 오승우]", 회원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예술원』<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대표명칭 = 오승우 |
− | |출생지 = 전남 화순 | + | |한자표기 = 吳承雨 |
+ | |영문명칭 = Oh Seung-woo | ||
+ | |본명 = | ||
+ | |호 = | ||
+ | |생년 = 1930년 6월 19일 | ||
+ | |몰년 = | ||
+ | |출생지 = 전남 화순 | ||
|국적 =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
|분야 = 서양화가 | |분야 = 서양화가 | ||
− | | | + | |필드수 = |
− | |||
− | |||
}} | }} | ||
+ | =='''정의'''== | ||
+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 ||
− | ==''' | + | =='''내용'''== |
− | + | 1930년 전남 화순에서 화가 [[오지호]]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57년 [[조선대학교]]를 졸업한 후 4년 연속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특선하며 화단에 진출했다. [[오지호|선친]]의 뒤를 이은 서정적 [[자연주의]] 풍경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사실주의|사실적 표현]]보다 [[인상주의|인상주의]] 화풍을 바탕으로 대상에 대한 주관적이고 정서적인 해석을 담은 자유로운 화풍을 전개하였다. | |
− | |||
− | == | + | ===작품 세계=== |
− | + | 그의 작업은 대체로 시기에 따라 하나의 주제를 지속적으로 파고드는 연작 형식을 띠고 있다. 불교와 관련된 소재에 집중했던 초기를 거쳐, 꽃과 소녀를 소재로 현실 너머의 환상적인 분위기를 담은 1960년대, 그리고 다시 현실 세계 속의 대상에 주목했던 70년대를 거쳐 1980년대에는 전국의 명산 100곳을 오르내리며 연작을 완성하였다. 1990년대에는 동양 각국을 여행하며 그곳의 전통과 정신이 담신 고건축물들을 강렬하고 분방한 색채와 필치로 담아냈다.<br/> | |
− | + | 그러한 점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자연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의 근거인 자연과 그 속에서 일구어진 인간의 문화와 정신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때로는 밝고 화사한, 때로는 무겁고 둔중한 색채와 필치로 한국의 자연과 전통, 그리고 정신성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작품은 우리나라 근현대미술에 이룬 [[오지호|선친]]의 성과를 잇고자하는 노력이라 할 것이다. | |
− | == | + | ===학력=== |
− | *1957 | + | * 1957 [[조선대학교]] 예술과 |
− | + | * 2000 [[원광대학교]] 명예철학박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0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력=== |
− | +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초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
− | + | * [[목우회]] 회장, [[한국미술협회]] 고문 | |
− | + |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예술원 미술분과 회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시=== |
− | * | + | *1957-61 제6-9회 국전 특선 |
− | *1990 | + | *1970 월남전 기록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 | * | + | *1985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 | * | + | *1990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 예술의전당 미술관 |
− | * | + | *1996 오승우의 100산, 광주시립미술관 |
− | * | + | *1999 한국미술 - 인간, 자연, 사물 |
− | * | + | *2001 동양의 원형, 예술의전당 미술관 |
− | *2011 | + | *2004 오승우작품관 작품기증 기념전, 목포 자연사박물관 |
+ | *2005 한·중 현대미술전, 심천 하향이미술관 | ||
+ | *2010 서울시립미술관 기증작품전 | ||
+ | *2011 무안 오승우미술관 개관전 | ||
− | == | + | ===수상=== |
+ | *1972 5.16 민족상 서양화 부문 작품상 | ||
+ | *1990 서울시 문화상 | ||
+ | *1992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 | ||
+ | *1995 대한민국 예술원상 | ||
+ | *1997 성옥문화대상 | ||
+ | *1998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수상 | ||
+ | *2006 5.16민족상 | ||
+ | *2011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계백장군의 황산싸움"(오승우) 지식관계망] | |
− | + | <html>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html>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9/C009.htm "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오승우)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1/C031.htm "행주대첩"(오승우)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1/C071.htm "포항종합제철"(오승우) 지식관계망] | |
− | == | + | ===관계정보===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오승우-황산싸움]]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오승우-행주대첩]]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오승우]]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목우회]] || [[오승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한국미술협회]] || [[오승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대한민국예술원]] || [[오승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오승우]] || [[오지호]] || A는 B의 아들이다 || A ekc:hasFather B | ||
+ | |- | ||
+ | | [[오승우]] || [[오승윤]] || A는 B와 형제이다 || A ekc:hasBrother B | ||
+ | |- | ||
+ | | [[오승우]]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오승우]] || [[자연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오승우]] || [[인상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오승우]] || [[구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오승우-법당내부.jpg| 법당내부, 1957, 캔버스에 유채, 191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07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오승우_팔상전.jpg |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1959, 캔버스에 유채, 161x112.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7523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오승우_설악추경.jpg | 설악추경(1078m 강원 인제 속초 고성 양양), 1991, 캔버스에 유채, 259x194.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7529 설악추경]",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오승우-황산싸움]] | ||
+ | 파일:오승우-매초성당군격퇴-1975s.jpg|[[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
+ | 파일:오승우-포항종합제철-1973s.jpg|[[오승우-포항종합제철]] | ||
+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 ||
+ | </gallery> | ||
− | ==''' | + | ===영상=== |
− | + | *'''[광주MBC] 오승우화백_#빛날_#광주MBC(게시일: 2016년 3월 7일)''' | |
− | + | <html> | |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FoGzt9LbxB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html> | |
− | |||
− | +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유용한 정보=== | ||
+ | # "[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00 오승우]", 회원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예술원』<sup>online</sup></online></html>. | ||
+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465#10 오승우]",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 | # 『[http://people.artmusee.com/ohsw 오승우]』<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오승우 개인 홈페이지. | ||
+ | # 『[http://museum.muan.go.kr/home/museum 무안군 오승우기념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무안군 오승우기념관.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 |
−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2017년 12월 29일 (금) 13:36 기준 최신판
오승우(吳承雨) | |
대표명칭 | 오승우 |
---|---|
한자표기 | 吳承雨 |
영문명칭 | Oh Seung-woo |
생몰년 | 1930년 6월 19일- |
출생지 | 전남 화순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서양화가 |
목차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30년 전남 화순에서 화가 오지호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57년 조선대학교를 졸업한 후 4년 연속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특선하며 화단에 진출했다. 선친의 뒤를 이은 서정적 자연주의 풍경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사실적 표현보다 인상주의 화풍을 바탕으로 대상에 대한 주관적이고 정서적인 해석을 담은 자유로운 화풍을 전개하였다.
작품 세계
그의 작업은 대체로 시기에 따라 하나의 주제를 지속적으로 파고드는 연작 형식을 띠고 있다. 불교와 관련된 소재에 집중했던 초기를 거쳐, 꽃과 소녀를 소재로 현실 너머의 환상적인 분위기를 담은 1960년대, 그리고 다시 현실 세계 속의 대상에 주목했던 70년대를 거쳐 1980년대에는 전국의 명산 100곳을 오르내리며 연작을 완성하였다. 1990년대에는 동양 각국을 여행하며 그곳의 전통과 정신이 담신 고건축물들을 강렬하고 분방한 색채와 필치로 담아냈다.
그러한 점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자연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의 근거인 자연과 그 속에서 일구어진 인간의 문화와 정신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때로는 밝고 화사한, 때로는 무겁고 둔중한 색채와 필치로 한국의 자연과 전통, 그리고 정신성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작품은 우리나라 근현대미술에 이룬 선친의 성과를 잇고자하는 노력이라 할 것이다.
학력
경력
-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초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목우회 회장, 한국미술협회 고문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예술원 미술분과 회장
전시
- 1957-61 제6-9회 국전 특선
- 1970 월남전 기록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 예술의전당 미술관
- 1996 오승우의 100산, 광주시립미술관
- 1999 한국미술 - 인간, 자연, 사물
- 2001 동양의 원형, 예술의전당 미술관
- 2004 오승우작품관 작품기증 기념전, 목포 자연사박물관
- 2005 한·중 현대미술전, 심천 하향이미술관
- 2010 서울시립미술관 기증작품전
- 2011 무안 오승우미술관 개관전
수상
- 1972 5.16 민족상 서양화 부문 작품상
- 1990 서울시 문화상
- 1992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
- 1995 대한민국 예술원상
- 1997 성옥문화대상
- 1998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수상
- 2006 5.16민족상
- 2011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오승우-황산싸움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오승우-행주대첩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오승우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목우회 | 오승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한국미술협회 | 오승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대한민국예술원 | 오승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오승우 | 오지호 | A는 B의 아들이다 | A ekc:hasFather B |
오승우 | 오승윤 | A는 B와 형제이다 | A ekc:hasBrother B |
오승우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승우 | 자연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승우 | 인상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승우 | 구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법당내부, 1957, 캔버스에 유채, 191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1959, 캔버스에 유채, 161x112.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
설악추경(1078m 강원 인제 속초 고성 양양), 1991, 캔버스에 유채, 259x194.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영상
- [광주MBC] 오승우화백_#빛날_#광주MBC(게시일: 2016년 3월 7일)
주석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설악추경",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오승우", 회원소개,
『대한민국예술원』online . - "오승우",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오승우』
online , 오승우 개인 홈페이지. - 『무안군 오승우기념관』
online , 무안군 오승우기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