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신영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신영상
+
{{작가정보
|한자명 = 辛永常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영문명 = Shin Young Sang
+
|사진출처=
|출생 - 사망 = 1935년 9월 24일 -
+
|대표명칭 = 신영상
|출생지 = 충남 당진
+
|한자표기 = 辛永常  
 +
|영문명칭 = Shin Young-sang 
 +
|본명 =
 +
|호 =
 +
|생년 = 1935년 9월 24일  
 +
|몰년 = 
 +
|출생지 = 충남 당진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한국화
+
|분야 = 한국화 화가
|대표작품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九如(구여), 1990년, 개인소장]
+
|필드수 =
|이미지 출처 = 고운석,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1726308631249007 <예술혼 산책> 동양적 사유의 화가 신영상(辛永常)]", 『굿뉴스피플』, 2007년 2월 28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
 
|image = 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신영상.jpg
 
 
}}
 
}}
=='''작가소개'''==
+
=='''정의'''==
신영상은 1960년대 초에 묵림회에 참가한 이후 60년대 중반부터는 한국회화를 중심으로 전통회화의 현대화 작업을 실현해 왔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에 재직하면서 국전의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는 등 작가와 교육자 그리고 화단의 원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br/>
+
대한민국의 [[한국화]] 화가이다.
20대 중반인 1960년대에는 인물, 소, 말, 조류 등을 소재로 하는 전통적 동양화 범주에 속하는 작품을 제작하였지만 이미 이 시기의 작품에서도 이후 지속적으로 추구되는 수묵담채의 생략적 필치, 그리고 발묵기법을 사용하여 이루어내는 환상적이며 서정적인 공간의 표현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60년대의 표현기법상의 특징은 1970년대에 들어 한층 더 심화되면서 서서히 비구상의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자로 잰 듯한 추상적인 묵면, 구조주의적인 형식, 미니멀적인 발상, 이러한 모든 형식들이 동양회화의 현대화 과정에서 수용된 요소들이지만 끈질기게 남아있는 조형정신은 문인화 미학이라 할 수 있다. 아마도 신영상의 작품은 문인정신을 구심점으로 설정하고 동시에 파격을 시도한 한국 현대작가의 고뇌와 실험정신의 표상이라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최소한의 조형언어로 평면성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결국은 화면을 비물질화 시킴으로서 무한한 공간성을 획득하였다고 볼 수 있다.<ref>"[http://da-arts.knaa.or.kr/blog/shinyoungsang.do 신영상 블로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예술자료원.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학력'''==
+
=='''내용'''==
*1948년 순천초등학교 졸업
+
1935년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비롯해 여러 전람회에 출품하였다.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51년 면천중학교 졸업
 
*1954년 서산농림고등학교
 
*1962년 서울대학교 동양화 학사
 
  
=='''경력'''==
+
===1960~70년대 활동 : ''의 효과===
*1954년 서령초등학교 촉탁교사
+
신영상은 1960년대 초에 [[묵림회]]에 참가하면서 전통회화의 현대적 재확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실험적인 작업에 힘을 기울였다. 초기에는 인물과 동물 등을 소재를 수묵담채로 재구성하는 조형적 변주에서 출발하여 1970년대에 들면서는 그러한 조형적 실험을 한층 강화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그는 묵면(墨面)을 위주로 대상을 단순화하고, 전통회화의 발묵(潑墨)에 의한 먹의 효과가 두드러진 현대적인 추상회화 형식을 보여주었다.<br/>
*1962년-1963년 서울 한영고등학교 강사
 
*1964년-1969년 서울 사대부속중학교 교사
 
* 1969년-1981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 1973년-1981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1981년-2001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교수
 
* 1981년 초대작가, 심사위원
 
* 1981년 중앙미술대전, MBC미술대전, 한국미술대전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
 
* 1988년 문예진흥원미술회관 운영위원
 
* 1984년-1988년 제3회, 제7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 1989년 서울시 예술위원
 
* 1996년 5월 제15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장
 
* 199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 1999년 한국화회 회장
 
* 2002년 서울시 문화상 심사위원
 
  
=='''전시'''==
+
1960년 무렵부터는 ‘먹’이라는 전통적이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현대적 미감을 지닌 새로운 [[한국화]]를 추구했다. 이런 시도들은 서구 [[추상미술|추상회화]]의 본격적인 도입으로부터 70년대 서양화단에 주류를 이루었던 [[모노크롬 회화]]의 성행과 무관하지 않다. 먹은 [[동양화|동양회화]]의 핵심적인 요소이면서 전통적인 문인화에서 보듯 그 정신성을 상징하는 것이며, [[수묵화]] 자체가 이미 추상적인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에서 그 역시 당시의 추세에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신영상의 작업은 수묵이 갖는 문인정신을 기반으로 대상을 해체하고 평면화하는 조형방식을 통해 종이와 먹이 만나 깊은 공간성과 조형적 깊이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 1962년-1964년, 제6-8회 묵림회전, 중앙공보관, 서울
 
* 1963년, 한국미술협회전, 중앙공보관, 서울
 
* 1963년,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63년, 제2회 신인예술상전, 경복궁미술관
 
* 1963년-1981년, 제12-30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경복궁미술관
 
* 1965년, 한국미술협회전, 중앙공보관
 
* 1967년, 한국미술협회전, 중앙공보관
 
* 1968년, 한국미술협회전, 중앙공보관
 
* 1969-1978년, 한국화회전, 신세계화랑
 
* 1970년,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1년, 인디아트리엔날, 뉴델리
 
* 1971년, 오늘의 한국전, 명동화랑
 
* 1973년, 동양화칠인작가 초대전, 조선화랑
 
* 1974년, 아세아현대미술전, 동경
 
* 1974년, 한국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문헌화랑개관기념전, 문헌화랑
 
* 1975년, 한국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5년, 한국원로중진작가 초대전
 
* 1975년-1981년, 대한민국미술대전
 
* 1976년, 한국현대 동양화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6년,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임경업장군 저작(문화공보부), 전쟁기념관 소장
 
* 1977년, 한국미술대상 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77년, 한국동양화 30인 초대전, 동산방화랑
 
* 1977년, 제13회 아시아 현대미술전, 동경
 
* 1977년,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78년, 동양화 9인 초대전, 조선화랑
 
* 1978년, 신춘동양화 초대전, 신세계미술관
 
* 1978년, 국제교류전, 존마라니화랑
 
* 1978년, 국제교류전, 존마라니화랑
 
* 1979년, 아시아 현대서화명가연합전, 세종문화회관
 
* 1979년, 세종미술 초대전, 세종대왕기념관
 
* 1979년, 미술단체초대연립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년, 롯데화랑개관기념전, 롯데화랑
 
* 1984년, 1985년, `84, `85 현대미술 초대전, 현대미술관
 
* 1980년, 한국현대미술대전, 명성 컨트리클럽
 
* 1980년, 중앙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년, 드로잉81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년, 한국미술 81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년, KBS자선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년, 5인초대전, 고실당화랑
 
* 1981년, 현대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년-2002년, 한국화회전, 미술회관 외
 
* 1981년, 서울대미대 동양화동문전, 현대화랑
 
* 1982년, 이태리 현대미술전, 밀라노
 
* 1982년, 개관기념전, 동덕미술관
 
* 1983년, 한국현대미술전, 이태리
 
* 1983년, 수묵화대전, 여의도미술관
 
* 1983년, 한..독.불수교 100주년기념 순회전-새 한국화의 단면전, 미국, 일본
 
* 1984년, 수묵화 6잊넌, 춘추화랑
 
* 1984년, ‘84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년, 다화전, 다화랑
 
* 1985년, ‘85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년, 현대미술 40년전, 현대미술관
 
* 1985년, `85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86년, 동.서양회 소품전, 서울갤러리
 
* 1986년, 한국화 100년전, 호암갤러리
 
* 1986년, 한국현대미술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 아시아 현대채묵화전, 미술회관
 
* 1986년, `86 서울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 `86 서울아시아 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 ‘86 현대 한국미술 상황전, 아시안게임 경기장
 
* 1987년, 한국현대미술에있어서의 흑과백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년, `87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1987년, ‘87 서울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년, 현대작가초대전, 조선일보미술관
 
* 1988년, `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년 7월 7일-7월 23일, 개인전, ≪Shin, Young Sang≫, 뉴욕 알파인 화랑
 
* 1989년, 표지작가 초대전, 경인미술관
 
* 1989년-1991년, `89, `91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2년, 한국현대미술의한국성모색 IV부전, 한원갤러리
 
* 1992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작가작품전, 대구, 강릉
 
* 1992년-1993년, `92, `93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2년, IAA서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3년, 한국현대미술 66인전, 대백프라자갤러리
 
* 1993년, 전통과 혁신-서울대학교 현대미술 반세기전, 서울대학교 박물관
 
* 1994년, 유현의 미학-수묵화의 재발견전, 공평아트센터
 
* 1994년, 한국현대미술전, 세미화랑
 
* 1994년,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94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5년, 한중미술교류전, 민족문화궁, 베이징
 
* 1995년, 서울대미대 발전기금조성 교수작품전, 서울대학교박물관
 
* 1995년, 서울대학교/시카고아트인스티튜트 교수작품교류전, 서울대학교박물관
 
* 1995년, 한.중미술전, 일민미술관
 
* 1995년- 1999년,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6년, 제9회성북미술전, 성북구청
 
* 1997년, 서울시립미술관 소장작품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7년 6월, 한국미술의 지평을 열면서, 갤러리우덕
 
* 1997년, 200인작가 1호전, 선화랑 
 
* 1997년, 한국미술의 지평을 열면서, 우덕화랑
 
* 1998년, `98 동경 베세토국제 서화전, 동경박물관
 
* 1998년, 교수작품 교류전, 멜버른 스토리홀
 
* 1998년, 대전공간확산전, 대전시립미술관
 
* 2001년 5월 24일-6월 6일, 개인전, ≪SHIN YOUNG-SANG≫, 예술의전당, 서울 예술의전당
 
* 2001년 8월 31일-9월 20일, 21세기 한국 현대미술의 여정, 세종문화회관
 
* 2001년 10월 17일-10월 31일, 한국화 표상전, 운보미술관
 
* 2001년 12월 11일-2002년 2월 8일, 수묵의 향기, 수묵의 조형전, 한.중.일 현대수묵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2002년 7월 16일-8월 14일, 한국현대미술초대전, 하나로갤러리
 
* 2002년 10월 12일-10월 21일, 단원미술제, 안산시 특별전시관
 
* 2002년 10월 5일-10월 24일, 2002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2년 12월 11일-12월 17일, 한국화회전, 세종문화회관
 
* 2003년 4월 9일-4월 16일, 서울시 원로중견작가전, 국립현대미술관
 
* 2003년 8월 6일-8월 12일, 한국화회전, 세종문화회관
 
* 2003년 10월 17일-11월 2일, ‘03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4년 5월 29일-6월 3일, 서미회전, 문화원관
 
* 2004년 6월 22일-7월 2일, 서울현대미술 로마전, Center of the assosiation of architects, Rome
 
* 2005년 3월 8일-3월 31일, 우암홀 개관기념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 2005년 3월 9일-3월 31일, ‘05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5년 5월 14일-23일, 한국화 비젼 2005, 예술의전당
 
* 2005년 8월 10일-9월 18일, 한. 현대수묵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5년 9월 13일-11월 13일, 청계천개통경축 서울시 원로중진작가 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분관
 
* 2005년 9월 23일-9월 29일, 인천아트페어, 인천문화예술회관
 
* 2005년12월 5일-12월 11일, 한국화회전, 한국일보갤러리
 
  
=='''수상'''==
+
===1980년대 활동===
*1961년, 제10회 ≪국전≫ 입선
+
1980년대 들어서는 창호지를 바른 문과 문살을 모티브로 깊이 있는 무한한 심상의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는 작업을 보여준 바 있다. 안과 밖, 소통과 단절, 정신과 물질, 주체와 객체와 같은 이원적인 요소들이 동양적 합일과 일치를 이루는 지점으로 삼은 것이다. 그는 이처럼 전통회화의 정신성을 근간으로 실험과 파격을 통해 현대 [[한국화]]의 형식을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작업을 추구해왔다.
*1962년, 제1회 신인예술상전, 입선
 
*1962년, 제11회 ≪국전≫ 특선
 
*1963년, 제2회 신인예술상전 특선, 장려상
 
*1963년, 제12회 ≪국전≫ 무감사
 
*1964년, 제13회 ≪국전≫ 문교부 장관상, 문교부
 
*1965년, 제14회 ≪국전≫ 입선
 
*1966년, 제15회 ≪국전≫ 입선
 
*1967년, 제16회 ≪국전≫ 입선
 
*1968년, 제17회 ≪국전≫ 특선
 
*1969년, 제18회 ≪국전≫ 입선
 
*1970년, 제19회 ≪국전≫ 특선
 
*1971년, 제20회 ≪국전≫ 특선
 
*1972년, 제21회 ≪국전≫ 특선(추천)
 
*2001년, 황조 근정훈장 포상
 
  
=='''주요작품'''==
+
===학력===
<gallery>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九如(구여), 1990년, 개인소장.jpg|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九如(구여), 1990년, 개인소장]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午(오), 1980년, 개인소장.jpg|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午(오), 1980년, 개인소장]
+
===경력===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黎明(여명), 1977년, 개인소장.jpg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黎明(여명), 1977년, 개인소장]
+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gallery>
+
*[[한국화회]] 회장, 서울시 예술위원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
===전시===
 +
*1962-64  제6-8회 묵림회전, 서울 중앙공보관
 +
*1963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70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1  인도트리엔날, 뉴델리
 +
*1974  아세아현대미술전, 동경
 +
*1976  한국현대동양화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한국미술 81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이태리 현대미술전, 밀라노
 +
*1985  현대미술 40년전, 현대미술관
 +
*1986  한국화 100년전, 호암갤러리
 +
*1987  한국현대미술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  현대작가초대전, 조선일보미술관
 +
*1992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V, 한원갤러리
 +
*1994  유현의 미학-수묵화의 재발견, 공평아트센터
 +
*1995  한중미술교류전, 민족문화궁, 베이징
 +
*1998  98동경 베세토 국제서화전, 동경박물관
 +
*2005  한국화 비젼 2005, 예술의전당
  
=='''민족기록화'''==
+
===수상===
<gallery>
+
*1961-72  국전 입선 및 특선 제10회 ≪국전≫ 입선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1962, 63  신인예술상전 입선 및 특선
</gallery>
+
*1964  제13회 국전 문교부장관상
 +
*2001  황조근정훈장
  
=='''관련 항목'''==
+
=='''지식 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html>
!항목A||width="33%"|항목B||width="33%"|관계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7/C03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신영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최무선 표준영정]] || [[신영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신영상]]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신영상]]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신영상]] || [[수묵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신영상]] || [[한국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묵림회]]|| [[신영상]]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A는 B를 그렸다
+
| [[묵림회]] || [[한국화회]]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항목A !! 항목B !! 관계 !! 관계속성
 
 
|-
 
|-
|{{PAGENAME}}||[[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A는 B를 그렸다|| 1976년
+
| [[한국화회]]|| [[신영상]]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그래프'''==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午(오), 1980년, 개인소장.jpg| 오(午), 1980, 종이에 수묵<ref>"[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신영상]",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잔회.jpg| 殘懷(잔회), 1970, 종이에 수묵<ref>"[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1 신영상]",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조Ⅱ.jpg| 조Ⅱ, 1982, 화선지에 수묵, 181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1040 조Ⅱ]",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신영상_율.jpg| 율 9925, 2000, 옥양목에 수묵, 245.5x22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7069 율 9925]",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http://monthlyart.com/dicwho/%EC%8B%A0%EC%98%81%EC%83%81-2/ 신영상]",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03월 26일 확인.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80 신영상]",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예술자료원. 2017년 03월 26일 확인.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특집 16 신영상, 금성출판사, 1982.
 +
#*『신영상』, K.C. Communications, 2000.
 +
 
 +
===유용한 정보===
 +
# "[http://da-arts.knaa.or.kr/blog/shinyoungsang.do 신영상 블로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http://monthlyart.com/dicwho/%EC%8B%A0%EC%98%81%EC%83%81-2/ 신영상]",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고운석,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1726308631249007 〈예술혼 산책〉 동양적 사유의 화가 신영상(辛永常)]",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굿뉴스피플』<sup>online</sup></online></html>, 2007년 2월 28일.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2017년 12월 29일 (금) 13:34 기준 최신판


신영상(辛永常)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신영상
한자표기 辛永常
영문명칭 Shin Young-sang
생몰년 1935년 9월 24일-
출생지 충남 당진
국적 대한민국
분야 한국화 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한국화 화가이다.

내용

1935년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비롯해 여러 전람회에 출품하였다.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0~70년대 활동 : '먹'의 효과

신영상은 1960년대 초에 묵림회에 참가하면서 전통회화의 현대적 재확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실험적인 작업에 힘을 기울였다. 초기에는 인물과 동물 등을 소재를 수묵담채로 재구성하는 조형적 변주에서 출발하여 1970년대에 들면서는 그러한 조형적 실험을 한층 강화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그는 묵면(墨面)을 위주로 대상을 단순화하고, 전통회화의 발묵(潑墨)에 의한 먹의 효과가 두드러진 현대적인 추상회화 형식을 보여주었다.

1960년 무렵부터는 ‘먹’이라는 전통적이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현대적 미감을 지닌 새로운 한국화를 추구했다. 이런 시도들은 서구 추상회화의 본격적인 도입으로부터 70년대 서양화단에 주류를 이루었던 모노크롬 회화의 성행과 무관하지 않다. 먹은 동양회화의 핵심적인 요소이면서 전통적인 문인화에서 보듯 그 정신성을 상징하는 것이며, 수묵화 자체가 이미 추상적인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에서 그 역시 당시의 추세에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신영상의 작업은 수묵이 갖는 문인정신을 기반으로 대상을 해체하고 평면화하는 조형방식을 통해 종이와 먹이 만나 깊은 공간성과 조형적 깊이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1980년대 활동

1980년대 들어서는 창호지를 바른 문과 문살을 모티브로 깊이 있는 무한한 심상의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는 작업을 보여준 바 있다. 안과 밖, 소통과 단절, 정신과 물질, 주체와 객체와 같은 이원적인 요소들이 동양적 합일과 일치를 이루는 지점으로 삼은 것이다. 그는 이처럼 전통회화의 정신성을 근간으로 실험과 파격을 통해 현대 한국화의 형식을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작업을 추구해왔다.

학력

경력

전시

  • 1962-64 제6-8회 묵림회전, 서울 중앙공보관
  • 1963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70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1 인도트리엔날, 뉴델리
  • 1974 아세아현대미술전, 동경
  • 1976 한국현대동양화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한국미술 81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이태리 현대미술전, 밀라노
  • 1985 현대미술 40년전, 현대미술관
  • 1986 한국화 100년전, 호암갤러리
  • 1987 한국현대미술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 현대작가초대전, 조선일보미술관
  • 1992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V, 한원갤러리
  • 1994 유현의 미학-수묵화의 재발견, 공평아트센터
  • 1995 한중미술교류전, 민족문화궁, 베이징
  • 1998 98동경 베세토 국제서화전, 동경박물관
  • 2005 한국화 비젼 2005, 예술의전당

수상

  • 1961-72 국전 입선 및 특선 제10회 ≪국전≫ 입선
  • 1962, 63 신인예술상전 입선 및 특선
  • 1964 제13회 국전 문교부장관상
  • 2001 황조근정훈장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신영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무선 표준영정 신영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신영상 서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신영상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영상 수묵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영상 한국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묵림회 신영상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묵림회 한국화회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한국화회 신영상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2.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3. "조Ⅱ",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4. "율 9925",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특집 16 신영상, 금성출판사, 1982.
    • 『신영상』, K.C. Communications, 2000.

유용한 정보

  1. "신영상 블로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2. "신영상",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3. 고운석, "〈예술혼 산책〉 동양적 사유의 화가 신영상(辛永常)", 『굿뉴스피플』online, 2007년 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