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작가정보 | {{작가정보 | ||
|사진= 민족기록화 작가 박성환 대표사진 01.jpg | |사진= 민족기록화 작가 박성환 대표사진 01.jpg | ||
16번째 줄: | 17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 +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일본 [[가와바타 미술학교|가와바타화학교(川端畵學校)]] 양화부에서 수학하고 [[분카학원]](文化學院)을 졸업하였다. 1937년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에 | + |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일본 [[가와바타 미술학교|가와바타화학교(川端畵學校)]] 양화부에서 수학하고 [[분카학원]](文化學院)을 졸업하였다. 1937년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에 「계류(溪流)」로 입선하였고 1941년과 이듬해 일본의 [[이과전(二科展)]]에 입선한 후 초대작가로 참여하였다. 1947년 황해도에 [[해주미술학교]]를 설립하였으나 같은 해 월남하였다. [[6.25전쟁|한국전쟁]] 시에는 [[국방부 종군화가단]]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56년 [[서라벌 예술대학]] 창설교수로 취임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
+ | |||
===작품세계-농촌풍경, 서정성=== | ===작품세계-농촌풍경, 서정성=== | ||
− | 박성환은 농악을 비롯하여 | + | 박성환은 농악을 비롯하여 농촌 여인, 소 등 한국의 농촌풍경을 소재로 서정적인 분위기가 담긴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그의 그림들은 짙은 향토색과 더불어 형태를 단순화하고 구성을 자유롭게 하여 인물들의 역동성을 강조하였다. 과감한 나이프 사용과 두터운 물감에 의한 재질감 등 야수파나 표현주의적 특징을 그의 화면에서 볼 수 있다.<br/> |
− | + | 특히 1960년대 말경부터 즐겨 그린 농악, 농무 연작들 역시 세부 묘사가 생략된 보다 자유롭고 활달한 필치와 구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의 그림에서는 클로즈업된 시선으로 대상을 해석한 평면적 근경이 강조되었다. 그 결과 운동감과 율동감이 더욱 두드러졌다.<br/> | |
+ | 그는 검은 색을 거의 쓰지 않는 원색적인 색채감의 화가로도 알려져 있다. 박성환의 파렛트 위에는 크림슨레이크와 비리디안, 코발트, 레드, 옐로우, 화이트 이렇게 6가지 색만 있었다고 한다. 이 6가지 색을 바탕으로 그는 수많은 원색적 색채감을 구사했다. | ||
===학력=== | ===학력=== | ||
78번째 줄: | 81번째 줄: | ||
|- | |- | ||
| [[박성환]] ||[[목우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박성환]] ||[[목우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구상전]]|| [[박성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구상전]]|| [[박성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 | + | | [[해주미술학교]]|| [[박성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 + | | [[종군화가단]] || [[박성환]]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박성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박성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95번째 줄: | 96번째 줄: | ||
| [[박성환]] || [[분카학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박성환]] || [[분카학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박성환]] || [[ | + | | [[박성환]] || [[가와바타 미술학교]] ||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박성환]]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122번째 줄: | 126번째 줄: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84%B1%ED%99%98-4/ 박성환]", 인명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84%B1%ED%99%98-4/ 박성환]", 인명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xn--o39a10ah86bjvdg7bh30bmebe2a.com/artist_sub35.htm 박성환 미술관]", 작가소개, | + | #"[http://xn--o39a10ah86bjvdg7bh30bmebe2a.com/artist_sub35.htm 박성환 미술관]", 작가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Artist in Seoul Korea』<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심미술원. |
− | <html><online style="color:purple">『Artist in Seoul Korea』<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심미술원. | ||
#강은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76 박성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은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76 박성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art500.or.kr/da/detailArts.do?CONTENT_ID=XX&INDIV_MANAGE_ID=P0000173#pagepos 박성환]",『예술자료원 미술작가 500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http://www.art500.or.kr/da/detailArts.do?CONTENT_ID=XX&INDIV_MANAGE_ID=P0000173#pagepos 박성환]",『예술자료원 미술작가 500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
−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분류:인물]] |
2017년 12월 29일 (금) 13:31 기준 최신판
박성환(朴成煥) | |
대표명칭 | 박성환 |
---|---|
한자표기 | 朴成煥 |
영문명칭 | Park Soung-hwan |
생몰년 | 1919년 5월 11일-2001년 7월 30일 |
출생지 | 황해도 해주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서양화가 |
목차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개요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일본 가와바타화학교(川端畵學校) 양화부에서 수학하고 분카학원(文化學院)을 졸업하였다. 1937년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에 「계류(溪流)」로 입선하였고 1941년과 이듬해 일본의 이과전(二科展)에 입선한 후 초대작가로 참여하였다. 1947년 황해도에 해주미술학교를 설립하였으나 같은 해 월남하였다. 한국전쟁 시에는 국방부 종군화가단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56년 서라벌 예술대학 창설교수로 취임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작품세계-농촌풍경, 서정성
박성환은 농악을 비롯하여 농촌 여인, 소 등 한국의 농촌풍경을 소재로 서정적인 분위기가 담긴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그의 그림들은 짙은 향토색과 더불어 형태를 단순화하고 구성을 자유롭게 하여 인물들의 역동성을 강조하였다. 과감한 나이프 사용과 두터운 물감에 의한 재질감 등 야수파나 표현주의적 특징을 그의 화면에서 볼 수 있다.
특히 1960년대 말경부터 즐겨 그린 농악, 농무 연작들 역시 세부 묘사가 생략된 보다 자유롭고 활달한 필치와 구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의 그림에서는 클로즈업된 시선으로 대상을 해석한 평면적 근경이 강조되었다. 그 결과 운동감과 율동감이 더욱 두드러졌다.
그는 검은 색을 거의 쓰지 않는 원색적인 색채감의 화가로도 알려져 있다. 박성환의 파렛트 위에는 크림슨레이크와 비리디안, 코발트, 레드, 옐로우, 화이트 이렇게 6가지 색만 있었다고 한다. 이 6가지 색을 바탕으로 그는 수많은 원색적 색채감을 구사했다.
학력
경력
전시
- 1944 이과회 미술전, 동경
- 1959-74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전, 경복궁 미술관
- 1961 자유국제미술전, 동경
- 1968 제1회 동경국제미술전
- 1972 한국근대미술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국제현대미술전, 세종문화회관
- 1985 한국양화70년전, 호암갤러리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 갤러리
- 1992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풍경의 변천, 예술의전당
- 1999 한국미술: 인간, 자연, 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1936 제1회 전국학생미술전 특선, 최고상(조선일보사 주최)
- 1937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제1회 북조선미술전람회 1등 최고상
- 1941-43 일본 이과전(二科展) 입선
- 1954 6.25기념미술전 국방부장관상
- 1980 제5회 한국미술문화대상 대상
- 1996 일본문화진흥회 국제예술문화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성환-예성강도 | 박성환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박성환 | 서라벌 예술대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서라벌 예술대학 | 중앙대학교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박성환 | 목우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구상전 | 박성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해주미술학교 | 박성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종군화가단 | 박성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박성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박성환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대한민국미술대전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박성환 | 분카학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박성환 | 가와바타 미술학교 |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박성환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한강대교, 1954, 캔버스에 유채, 54x7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
망향, 1971, 캔버스에 유채, 240x16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
군무, 1976, 캔버스에 유채, 61x9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66 박성환, 금성출판사, 1977.
- 『박성환화집』, 국립현대미술관,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