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덕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작가문맥기사 받으면 다시 수정할 예정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작가정보
 
{{작가정보
17번째 줄: 16번째 줄:
 
}}
 
}}
 
=='''정의'''==
 
=='''정의'''==
대한민국 [[동양화|동양화가]]
+
대한민국의 [[동양화|동양화가]]이다.
  
 
=='''내용'''==
 
=='''내용'''==
충청남도 홍성에서 출생하여 홍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휘문중학교에서 수학했다. 휘문중학교 시절 장발의 영향으로 그림에 뜻을 품고 일본 [[데이고쿠 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 서양화과에서 미술공부를 하였다.  
+
1922년 충청남도 홍성에서 출생하여 홍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휘문중학교에서 수학했다. 휘문중학교 시절 미술교사였던 장발(張勃)의 영향으로 그림에 뜻을 품고 일본 [[데이고쿠 미술학교|데이고쿠 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 서양화과에서 미술공부를 하였다.  
  
 
===[[광복군]] 활동===
 
===[[광복군]] 활동===
1944년 일본군에 징집당해 중국 전선에 투입되었다가 탈출하여 1945년 [[광복군|한국광복군]]에 참가, 중국 후난성(湖南省)에서 임시정부 [[광복군]] 상위(上尉)로 항일전투에 참가했다. 해방 후 미술교사로 재직하던 그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군에 입대하였다.
+
1944년 일본군에 징집당해 만주 전선에 투입되었다가 탈출하여 1945년 [[광복군|한국광복군]]에 참가, 중국 후난성(湖南省)에서 임시정부 [[광복군]] 상위(上尉)로 항일전투에 참가했다. 해방 후 미술교사로 재직하던 그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군에 입대하였다.
  
 
===작품 세계===
 
===작품 세계===
전쟁중에도 개인전을 지속했던 그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수차례 특선하였으며,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그의 초기 화풍은 풍경을 소재로 한 구상적인 그림이었으나 사실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비구상적인 표현방식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대상을 단순화한 과감한 구도와 필치, 자유로우면서도 감각적인 색채에 의한 대상의 재해석을 통해 독자적인 화풍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그의 그림은 대상에 대한 순수한 시선을 바탕으로 화폭 위에 조화롭고 아름답게 재구성한 자율적이고 사색적인 공간이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
전쟁 중에도 군인 신분으로 개인전을 계속 열었던 그는 ‘군인화백’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전후에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수차례 특선하였으며,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그의 초기 화풍은 풍경을 소재로 한 구상적인 그림이었으나 사실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비구상적인 표현방식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대상을 단순화한 과감한 구도와 필치, 자유로우면서도 감각적인 색채에 의한 대상의 재해석을 통해 독자적인 화풍을 전개하였다. 한 예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남산에서 보이는 서울 풍경」은 한 장소를 10년 이상 찾아가서 관찰한 끝에 그렸다. 단순화와 재해석 과정에 있어 그가 들이는 노력을 가늠하게 해주는 일화이다. 이러한 그의 그림은 대상에 대한 순수한 시선을 바탕으로 화폭 위에 조화롭고 아름답게 재구성한 자율적이고 사색적인 공간이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미술교육 활동===
 
===미술교육 활동===
한편으로 그는 미술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미술교사로부터 여러 대학에 재직하면서 많은 후학들을 가르치는 한편으로, [[미술교육연구회]]를 조직(1954)하여 미술교사를 교육하였으며, [[국제미술교육협회|국제미술교육협회 한국위원회]]의 창립(1966)적극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
한편으로 그는 미술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미술교사에서 시작하여 여러 대학에 재직하면서 많은 후학들을 가르치는 한편으로, [[미술교육연구회]]를 조직(1954)하여 미술교사를 교육하였다.  [[국제미술교육협회|국제미술교육협회 한국위원회]]의 창립(1966)에도 적극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학력===
 
===학력===
*1943 일본 [[데이고쿠 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 졸업
+
*1943 [[데이고쿠 미술학교]] 졸업
  
 
===경력===
 
===경력===
80번째 줄: 79번째 줄:
 
|-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최덕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최덕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대한민국미술대전]] ||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
 
| [[최덕휴]] || [[동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덕휴]] || [[광복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최덕휴]] || [[광복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91번째 줄: 86번째 줄:
 
| [[미술교육연구회]] || [[최덕휴]]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미술교육연구회]] || [[최덕휴]]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국제미술교육협회|국제미술교육협회 한국위원회]] || [[최덕휴]]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국제미술교육협회]] || [[최덕휴]]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최덕휴]] || [[동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136번째 줄: 133번째 줄:
 
# "[http://monthlyart.com/dicwho/%EC%B5%9C%EB%8D%95%ED%9C%B4-2/ 최덕규]",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http://monthlyart.com/dicwho/%EC%B5%9C%EB%8D%95%ED%9C%B4-2/ 최덕규]",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분류:지/수정요망]]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2017년 12월 27일 (수) 01:36 기준 최신판


최덕휴(崔德休)
서유리, "최덕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최덕휴
한자표기 崔德休
영문명칭 Choi Duk-hyu
생몰년 1922년 7월 4일-1998년 2월 21일
출생지 충청남도 홍성
국적 대한민국
분야 동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동양화가이다.

내용

1922년 충청남도 홍성에서 출생하여 홍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휘문중학교에서 수학했다. 휘문중학교 시절 미술교사였던 장발(張勃)의 영향으로 그림에 뜻을 품고 일본 데이고쿠 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 서양화과에서 미술공부를 하였다.

광복군 활동

1944년 일본군에 징집당해 만주 전선에 투입되었다가 탈출하여 1945년 한국광복군에 참가, 중국 후난성(湖南省)에서 임시정부 광복군 상위(上尉)로 항일전투에 참가했다. 해방 후 미술교사로 재직하던 그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군에 입대하였다.

작품 세계

전쟁 중에도 군인 신분으로 개인전을 계속 열었던 그는 ‘군인화백’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전후에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수차례 특선하였으며,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그의 초기 화풍은 풍경을 소재로 한 구상적인 그림이었으나 사실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비구상적인 표현방식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대상을 단순화한 과감한 구도와 필치, 자유로우면서도 감각적인 색채에 의한 대상의 재해석을 통해 독자적인 화풍을 전개하였다. 한 예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남산에서 보이는 서울 풍경」은 한 장소를 10년 이상 찾아가서 관찰한 끝에 그렸다. 단순화와 재해석 과정에 있어 그가 들이는 노력을 가늠하게 해주는 일화이다. 이러한 그의 그림은 대상에 대한 순수한 시선을 바탕으로 화폭 위에 조화롭고 아름답게 재구성한 자율적이고 사색적인 공간이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미술교육 활동

한편으로 그는 미술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미술교사에서 시작하여 여러 대학에 재직하면서 많은 후학들을 가르치는 한편으로, 미술교육연구회를 조직(1954)하여 미술교사를 교육하였다. 국제미술교육협회 한국위원회의 창립(1966)에도 적극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학력

경력

전시

  • 1961-81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외
  • 1973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한중현대서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2 원로작가 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8 다시 찾은 근대미술, 덕수궁 석조전
  • 1998 아름다운 성찬, 국립현대미술관
  • 2003 유작전, 세종문화회관

수상

  • 1951 화랑금성무공훈장
  • 1956, 58, 59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 1958, 59 신시내티 국제석판화전 입선
  • 1973 경희대학교 문화공로상
  • 1982 독립유공자 대통령표창
  • 1983 한국독립유공자 대통령표창
  • 1984 제33회 서울시문화상
  • 1987 국민훈장 모란장
  • 1991 건국훈장애국장, 3.1문화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덕휴-장성광업소 최덕휴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덕휴 데이고쿠 미술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최덕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덕휴 광복군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목우회 최덕휴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미술교육연구회 최덕휴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국제미술교육협회 최덕휴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최덕휴 동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Peter Kang]네 벌의 군복, 어느 예술가의 초상(게시일: 2014년 11월 12일)

  • [경희대학교 대학의 소리 방송국 V.O.U.

][VOU영상뉴스] 최덕휴 교수 특별전 : 소요유(게시일: 2012년 9월 26일)

주석

  1. "돌산",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원지동의 가을", 소장품, 『서울시립미술관』online.
  3. "불암산의 만추",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최덕휴 기념관.
  4.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5. "용화산경",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최덕휴 기념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도록
    • 『최덕휴화집』, 로얄프로세스 , 1991.
    • 『최덕휴전』, 서울시립미술관, 2011.
  2. 단행본
    • 최덕휴, 『현대미술』, 문화교육출판사, 1958.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56 최덕휴, 금성출판사, 1977.

유용한 정보

  1. 서유리, "최덕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CHOIDUKHYU MUSEUMonline, 최덕휴 기념관.
  3. "최덕규",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