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영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작가정보
 
{{작가정보
|국문명 = 최영림<ref>이미지 출처 : 박진홍,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1207000262 "한국화단 세 거장 '특별한 부산 나들이"], 『부산일보』, 2016년 12월 07일.  2017월 03월 24일 확인</ref>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한자명 = 崔榮林
+
|사진출처= 
|영문명 = Choi Young Rim
+
|대표명칭 = 최영림
|출생 - 사망 = 1916.01.28-1985.07.13
+
|한자표기 = 崔德休
|출생지 = 평안남도 평양
+
|영문명칭 = Choi Young Rim
 +
|본명 =
 +
|호 =
 +
|생년 = 1916년 1월 28일 
 +
|몰년 = 1985년 7월 13일
 +
|출생지 = 평안남도 평양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image = 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jpg
+
|필드수 =
 
}}
 
}}
 +
=='''정의'''==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작가소개'''==
+
=='''내용'''==
평양에서 부유한 한약국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에 재학중이던 1935년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에 유화로 첫 입선한 뒤 1943년까지 수차 입선을 거듭하여 화단에 진출하였다.<br/>
+
1916년 평양에서 출생한 최영림은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에 재학중이던 1935년 [[조선미술전람회|조선미술전람회(선전, 鮮展)]] 입선한 뒤 1943년까지 여러 차례 입선하며 화단에 등단하였다. 1938년 도쿄 [[다이헤이요 미술학교|다이헤이요 미술학교(太平洋美術學校)]]에서 수학하였으며, 일본 판화가에게서 목판화를 배우기도 했다. 평양에서 해방을 맞이하여 한국전쟁 때 남한으로 내려와 1955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출품하였으며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지냈다. [[창작미술협회]]와 [[구상전|구상전(具象展)]] 창립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38년에 동경(東京)에 가서 한때 태평양미술학교에서 수학하였고, 판화가 무나가타(棟方志功)에게 개인적으로 목판화 기법을 사사하기도 하였다.
 
평양에서 조국 광복을 맞이하여 공산치하에서 표현의 자유를 구속받다가 6·25전쟁 때 남한으로 탈출, 1955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國展)참가하여 추천작가·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을 지냈다.<br/>
 
1957년 창작미술협회 창립, 1967년 구상전(具象展) 창립에 참여하였다. 1960년부터는 대학에도 출강, 1981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
 
작품에서는 남하 직후의 고뇌어린 인물상으로부터 추상·반추상의 상징적 구성작업인 ‘흑색시대’(1950년대 후반)를 거쳐 황토색 주조에 흙모래까지 도입한 토속적인 화면 질감에 우리의 민담(民譚)·전설과 「심청전」·「장화홍련전」등의 이야기를 민족적 애정으로 연작한 ‘설화시대’로 이어졌다.<br/>
 
화면에 등장하는 여인과 어린이들의 해학적인 변용과 자유로운 형상 등은 특이한 창조적 내면이다. 1973년에 국전 초대작가상을 수상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474 "최영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03월 24일 확인</ref><br/>
 
  
 +
===작품 세계===
 +
1950년대 후반 추상과 반추상 형식으로 고뇌에 찬 인간의 모습을 표현한 실험적인 작품을 시도한 이른바 '흑색시대'를 거쳤다. 1960년대부터 한국적인 주제를 담아 황토색을 주조로 하여 토속적이고 해학적이면서 서정미를 담은 구상 작품을 제작하였다. 전래 민담이나 전설, [[심청전]]과 [[장화홍련전]] 등의 내용을 형상화한 '설화시대', 혹은 '황토색시대'라고 일컬어지는 시기이다.<br/>
 +
흑색시대에는 흑색과 백색의 대비, 그리고 대상의 단순화‧평면화에 의한 긴장감과 우울함, 비애감, 비극적인 환상 등이 깔린 무거운 분위기가 주조를 이루었다. 1960년대 이후의 작품들에서는 황토색을 주조로 흙과 모래를 발라 여인과 어린이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변용하고 자유로이 재구성한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친근하고 토속적인 인물들의 모습, 투박하고 거친 색채와 질감을 지닌 최영림의 회화는 한국적인 미감을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평가된다. 한편으로 [[한국판화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역시 토속적이고 설화적인 주제의 목판화작업을 병행하기도 하였다.
  
=='''학력'''==
+
===학력===
*1940 일본 동경미술학교 중퇴
+
*1940 도쿄 [[다이헤이요 미술학교]] 중퇴
  
=='''경력'''==
+
===경력===
*1945 평양 숭의여자중학교 미술교사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1952 마산상업고등학교, 성지여자고등학교 미술교사
+
*[[창작미술협회]] 창립위원
*1956 광성중학교 미술교사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1957 창작미협 창설위원
+
*최영림 미술상 제정(1990)
*1958-1960 이화여자대학교 가정과, 미술과 강사
 
*1960-198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1961-1980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운영위원
 
*1963-1966 성신여자대학교, 수도여자사범대학교 미술과 강사
 
*1970 제1회 한국 미술대상전 심사위원
 
*1975 제1회 공간 미술대상전 심사위원
 
*1977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심사분과 위원장
 
*1978 중앙 미술대전 추천위원
 
*1990 최영림 미술상 제정
 
  
=='''전시'''==
+
===전시===
*1940-1944 주호회전
+
*1940-44 주호회전
*1940 일본판화협회전, 동경
+
*1957 제1회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1952 월남 미술인전, 부산
+
*1957-66  [[창작미술협회]]전
*1952 3.1 기념미술전, 마산
+
*1965 제8회 동경국제[[비엔날레]]
*1952 8.15 광복절 기념 미술전, 마산
+
*1967-85  [[구상전]]
*1953 문총마산지부 제1회 미술전, 마산
+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국립근대미술관
*1953 제5회 대한미술협회전
+
*1972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1954 개인전, 마산
+
*1976 한중현대미술교류전, 대만 대북 국립박물관
*1954 제6회 대한미술회전
+
*1979 한국현대미술 1950년대의 서양화전, 국립현대미술관
*1957 제1회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 미술관
+
*1985 유작전, 국립현대미술관
*1957 초대전, 뉴욕 월드하우스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1957-1966 창작미술협회전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1959 제8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경복궁 미술관
+
*1990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1962 사이공 마닐라 국제전, 마닐라
+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갤러리
*1965 제8회 동경 국제비엔날레, 동경
+
*1995 현대미술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1967-1985 구상전
+
*1997 한국근대미술: 유화 -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 국립 근대미술관
+
*2000  한국현대미술의 시원, 국립현대미술관
*1971 개인전, 명동 화랑
+
*1971 한국현대미술전, 네팔, 파리 등
+
===수상===
*1972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34, 40  일본판화협회전 입선
*1972 한국현대작가7인전, 샌프란시스코
+
*1935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1973 개인전, 서울 화랑
+
*1955-58  제5회-8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
*1973 개인전, 파리 베르카메 화랑
+
*1959  제8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문교부장관상
*1973 한국현역작가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60  제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1974 개인전, 양지 화랑
+
*1972  제2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1974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1975 초대전, 문헌 화랑
 
*1975 한-일 미술교류전, 지 화랑
 
*1976 개인전, 양지 화랑
 
*1976 한-중 현대미술교류전, 대만 대북 국립박물관
 
*1977 한국현대미술대전: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1977 현대작가10인 초대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977 흑백시대전, 문화 화랑
 
*1978 중앙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79 개인전, 갤러리 현대
 
*1979 한국 현대미술 1950년대의 서양화전, 국립현대미술관
 
*1980 중앙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1980 초대전, 뉴욕 한국문화원
 
*1980 한국서양화 6인전, 뉴욕 한국문화원
 
*1982 개관기념초대전, 여의도 미술관
 
*1982 한-중 현대 서화전, 국립현대미술관
 
*1983 MBC 초대 미술전, 문화방송
 
*1983 KBS 초대 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1983 국전 출신작가회전, 미술회관
 
*1983 한국 현대미술전, 밀라노
 
*1984 개인전, 매릴랜드 대학
 
*1985 유작전, 국제 화랑
 
*1985 유작전, 국립현대미술관
 
*1985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1987 유작전, 나 화랑
 
*1987 한국 인물화전, 호암갤러리
 
*1989 유작전, 현대갤러리
 
*1990 유작전, 호암갤러리
 
*1990 한국 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1991 한국 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 갤러리
 
*1995 유작전, 정송 갤러리
 
*1995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1986 최영림 화백 1주기전, 나 화랑
 
*1997 유작전, 뉴욕 갤러리코리아
 
*1997 유작전, 부산 금 화랑
 
*1997 한국 근대미술: 유화 -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1997 반향, 아트 선재센터
 
*1999 한국미술 50년: 1950-1999전, 갤러리 현대
 
*2000 한국의 미감(美感)전, 예 화랑
 
*2000 고려대 개교 95주년 기념 2000년에 보는 20세기 한국미술200선전, 고려대 박물관
 
*2000 한국 현대미술의 시원, 국립현대미술관
 
*2001 조선 화랑 개관 30주년- 70년대 회화정신전, 조선 화랑
 
*2001 70년대 회화정신전, 조선 화랑
 
*2002 유작전, 가나아트센터
 
*2005 유작전, 중앙 갤러리
 
  
=='''수상'''==
+
=='''지식 관계망'''==
*1934 일본판화협회전 입선
+
<html>
*1935 조선 미술전람회 입선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1940 일본판화가협회 입선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1955-1958 제5회-8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입선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84/C08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1959 제8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문교부장관상
+
</html>
*1960 제9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특선
+
===관계정보===
*1972 제2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주요작품'''==
+
|-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
|[[최영림-대동공업]] || [[최영림]]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무제 (남과여) 01.jpg|[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DP-04666 무제(남과 여), 제작 년도 미상,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원태 01.jpg|[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37 원태, 1969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 [[최영림]] || [[도쿄 미술학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경사날 01.jpg|[http://db.gamsung.org/hk_gamsungdb/sboard3/read.php?db=allnewdb&cateuid=1&page=2&uid=954 경사날, 1975년, 개인소장]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심청전에서 01.jpg|[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50 심청전에서, 1967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 [[최영림]] || [[다이헤이요 미술학교]] ||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gallery>
+
|-
 
+
| [[최영림]] || [[조선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민족기록화'''==
+
|-
<gallery>
+
|  [[최영림]]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파일:최영림-대동공업-1975s.jpg|[[최영림-대동공업]]
+
|-
</gallery>
+
| [[최영림]] || [[비엔날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관련항목'''==
+
| [[창작미술협회]]|| [[최영림]]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
|{{PAGENAME}} ||[[최영림-대동공업]] || A는 B를 그렸다
+
| [[구상전]]|| [[최영림]]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PAGENAME}} ||[[창작미술협회]] || A는 B를 창립하였다
+
| [[한국판화협회]] || [[최영림]]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PAGENAME}} ||[http://gusangjeon.com/ 구상전] || A는 B를 창립하였다
+
| [[최영림]]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구상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그래프'''==
+
=='''시각자료'''==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최영림.htm 임시]
+
===갤러리===
<html>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최영림.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무제 (남과여) 01.jpg| 무제(남과 여), 연도미상, 종이에 판화, 59x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DP-04666 무제(남과 여)]",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ml>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원태 01.jpg|원태, 1969, 캔버스에 유채․토분, 116x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37 원태]",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심청전에서 01.jpg|심청전에서, 1967, 캔버스에 유채․토분, 85x8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50 심청전에서]",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최영림 경사날 01.jpg|경사날, 1975, 캔버스에 유채, 75x170cm, 개인소장<ref>"[http://db.gamsung.org/hk_gamsungdb/sboard3/read.php?db=allnewdb&cateuid=1&page=2&uid=954 경사날]",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감성DB』<sup>online</sup></online></html>, 호남학연구원.</ref> 
 +
File:민족기록화_작가_최영림_모자.jpg|모자, 1976, 캔버스에 유채․토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516 모자]",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최영림-대동공업-1975s.jpg|[[최영림-대동공업]]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사이트
 
**[http://monthlyart.com/dicwho/%EC%B5%9C%EC%98%81%EB%A6%BC-2/ "최영림"], 『월간미술 온라인 서비스』, 월간미술. 2017년 03월 24일 확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474 "최영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03월 24일 확인
 
**[https://www.mmca.go.kr/main.do 국립현대미술관]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도록
 +
#* 『최영림전』, 가나아트센터 , 2002.
 +
# 단행본
 +
#* 『최영림, 장욱진』, 금성출판사, 1990.
 +
#* 『무나카타 시코‧최영림』, 무나가타시코‧최영림전 실행위원회, 2007.
 +
 +
===유용한 정보===
 +
#이구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474 최영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monthlyart.com/dicwho/%EC%B5%9C%EC%98%81%EB%A6%BC-2/ 최영림]",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2017년 12월 27일 (수) 01:35 기준 최신판


최영림(崔德休)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최영림
한자표기 崔德休
영문명칭 Choi Young Rim
생몰년 1916년 1월 28일-1985년 7월 13일
출생지 평안남도 평양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16년 평양에서 출생한 최영림은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에 재학중이던 1935년 조선미술전람회(선전, 鮮展) 입선한 뒤 1943년까지 여러 차례 입선하며 화단에 등단하였다. 1938년 도쿄 다이헤이요 미술학교(太平洋美術學校)에서 수학하였으며, 일본 판화가에게서 목판화를 배우기도 했다. 평양에서 해방을 맞이하여 한국전쟁 때 남한으로 내려와 1955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출품하였으며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지냈다. 창작미술협회구상전(具象展) 창립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작품 세계

1950년대 후반 추상과 반추상 형식으로 고뇌에 찬 인간의 모습을 표현한 실험적인 작품을 시도한 이른바 '흑색시대'를 거쳤다. 1960년대부터 한국적인 주제를 담아 황토색을 주조로 하여 토속적이고 해학적이면서 서정미를 담은 구상 작품을 제작하였다. 전래 민담이나 전설, 심청전장화홍련전 등의 내용을 형상화한 '설화시대', 혹은 '황토색시대'라고 일컬어지는 시기이다.
흑색시대에는 흑색과 백색의 대비, 그리고 대상의 단순화‧평면화에 의한 긴장감과 우울함, 비애감, 비극적인 환상 등이 깔린 무거운 분위기가 주조를 이루었다. 1960년대 이후의 작품들에서는 황토색을 주조로 흙과 모래를 발라 여인과 어린이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변용하고 자유로이 재구성한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친근하고 토속적인 인물들의 모습, 투박하고 거친 색채와 질감을 지닌 최영림의 회화는 한국적인 미감을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평가된다. 한편으로 한국판화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역시 토속적이고 설화적인 주제의 목판화작업을 병행하기도 하였다.

학력

경력

전시

  • 1940-44 주호회전
  • 1957 제1회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57-66 창작미술협회
  • 1965 제8회 동경국제비엔날레
  • 1967-85 구상전
  •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국립근대미술관
  • 1972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6 한중현대미술교류전, 대만 대북 국립박물관
  • 1979 한국현대미술 1950년대의 서양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유작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90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갤러리
  • 1995 현대미술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7 한국근대미술: 유화 -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 2000 한국현대미술의 시원,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영림-대동공업 최영림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영림 도쿄 미술학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영림 다이헤이요 미술학교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영림 조선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영림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영림 비엔날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창작미술협회 최영림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구상전 최영림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한국판화협회 최영림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최영림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무제(남과 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원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심청전에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4. "경사날", 소장품 검색, 『감성DB』online, 호남학연구원.
  5. "모자",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도록
    • 『최영림전』, 가나아트센터 , 2002.
  2. 단행본
    • 『최영림, 장욱진』, 금성출판사, 1990.
    • 『무나카타 시코‧최영림』, 무나가타시코‧최영림전 실행위원회, 2007.

유용한 정보

  1. 이구열, "최영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영림",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