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작품 소재) |
(→참고문헌) |
||
165번째 줄: | 165번째 줄: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
2017년 12월 27일 (수) 01:01 판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
작가 | 손수광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1905년(대한제국 고종 42) 11월 30일, 충정공 민영환이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자결 순국한 장면을 그린 손수광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은 조선왕조 고종때의 문신으로,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될 때 의정 대신인 조병세(趙秉世)와 조약의 폐기를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국민과 각국 공사에게 고하는 세 통의 유서를 남기고 1905년 11월 30일 새벽에 홀로 자결하였다.
작품 속 ④⑤⑦⑧ 민영환은 훈장과 견장을 단 서구식 예복을 입고 있고, 왼손 근처에 ⑧ 작은 칼이 놓여 있다. 유서는 작품 왼쪽 아래 위치한 앉은뱅이 책상 위에 그려져 있는데, ⑦ 작은 명함에 쓰여진 유서 한 통이 국민에게 각성을 요망하는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訣告我大韓帝國二千萬同胞)>이고, ⑦ 두루마기에 쓰여진 유서 두 통이 미국 공사관에 있는 친지에게 보낸 유서로, 일본의 침략을 바로 보고 한국을 구해줄 것을 요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⑧ 또 다른 한 통의 유서는 고종 황제에게 올린 글이다.
작품 배경
작품에 묘사된 배경은 ② 승려와 마당의 석등[1] 등을 고려하였을 때 조계사 뒤편에 있던 민영환 자택으로 추정된다. 아직 유해가 수습되지 않고 자결할 당시의 상태 그대로 그려져 있다.
현재 이완식의 집터(종로구 공평동)는 민영환 자결터로서 추모 조형물이 세워져 있으며, 민영환의 자택이 위치했던 조계사 경내에는 민영환의 동상과 함께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손수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민영환 자결터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민영환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유서 | 민영환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민영환 | 민영환 집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 민영환 자결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 을사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집터 | 조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자결터 | 이완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 민겸호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민겸호 | 명성황후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민겸호 | 임오군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손수광이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그렸다. |
1905년 | 민영환이 이완식의 집에서 자결 순국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5557 | 127.0547403 |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였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280호-민 충정공 생신 100년제(게시일: 2016년 10월 14일)
- 대한뉴스 제 178호-민충정공 추념식(게시일: 2016년 10월 18일)
주석
- ↑ "현재까지의 유물조사에 의하면 석등은 주로 사찰·능묘, 그리고 그 유적지에 주로 남아 있으며, 궁궐이나 저택 등의 유적지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다." 정영호, "석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관람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관람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조정래,『아리랑 1: 조정래 대하소설』, 해냄, 2001, 325쪽.
- 윤병석,『한국독립운동의 해외사적 탐방기』, 지식산업사, 1994, 291쪽.
- 웹자원
- 신문
- 김태완, "항일(抗日)과 친일로 이어진 명성황후 후손들의 120년 영락",
『월간조선』online , 작성일: 2010년 10월 9일. - "민족기록화 대부분 사실과 달라",
『경향신문』online , 작성일: 1980년 2월 26일.
- 김태완, "항일(抗日)과 친일로 이어진 명성황후 후손들의 120년 영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