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사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념정보 | {{개념정보 | ||
|사진=민족기록화 개념 사방사업 산지사방디오라마01.jpg | |사진=민족기록화 개념 사방사업 산지사방디오라마01.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산지사방 | |대표명칭=산지사방 | ||
|한자표기=山地砂防 | |한자표기=山地砂防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임지의 표면침식(表面浸蝕)·붕락(崩落) 및 산사태 등에 의한 산림 황폐의 예방과 복구를 위하여 실시하는 | + | 임지의 표면침식(表面浸蝕)·붕락(崩落) 및 산사태 등에 의한 산림 황폐의 예방과 복구를 위하여 실시하는 공사를 말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9276 산지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내용'''== | =='''내용'''== | ||
− | 자연 황폐지, 산사태 발생지 등에 토사 유출 또는 사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공작물을 설치하고, 식생 조성을 위해 풀씨를 뿌리고 나무를 심는 사업이다. | + | 자연 황폐지, 산사태 발생지 등에 토사 유출 또는 사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공작물을 설치하고, 식생 조성을 위해 풀씨를 뿌리고 나무를 심는 사업이다. 이미 황폐해졌거나 혹은 황폐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산지에서 산림식생을 복구, 보전하는 [[사방사업|사방공사]]로서 [[산복공사]](山腹工事)와 [[계간공사]](溪間工事)로 구분된다.<ref>경상북도 포항시, "사방기념공원" 안내판.</ref><br/> |
− | [[산복공사]]는 산복의 붕결궤(崩決潰) 및 표토의 이동 방지와 식생도입(植生導入) 및 정착을 위하여 | + | [[산복공사]]는 산복의 붕결궤(崩決潰) 및 표토의 이동 방지와 식생도입(植生導入) 및 정착을 위하여 산허리에 실시하는 공사로서 묻기(埋設工事)·흙매기(留土工事)·산얽기(山腹編柵工事)·산복수로공사(山腹水路工事)·줄떼공사(線芝工事)·돌쌓기(山腹築石工事)·떼입히기(張芝工事)·배수공사(排水工事)·뭉개기(整度工事)·파식공사(播植工事) 등이 있다.<br/> |
[[계간공사]]는 산각고정(山脚固定)·계상침식(溪床浸蝕)방지·토사유출 및 유수량 조절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공사로서 보매기(堰堤工事)·골매기(保谷工事)·바닥매기(保床工事)·기슭매기(保岸工事)·계간수로공사 등을 들 수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9276 산지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계간공사]]는 산각고정(山脚固定)·계상침식(溪床浸蝕)방지·토사유출 및 유수량 조절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공사로서 보매기(堰堤工事)·골매기(保谷工事)·바닥매기(保床工事)·기슭매기(保岸工事)·계간수로공사 등을 들 수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9276 산지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104/C104.htm "해안사방"(김원)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52번째 줄: | 53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사방사업 산지사방디오라마01.jpg|[[산지사방]] 조성 광경 모형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사방사업 산지사방디오라마01.jpg|[[산지사방]] 조성 광경 모형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산지사방 디오라마01.jpg|[[산지사방]] 조성 광경 모형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산지사방 디오라마01.jpg|[[산지사방]] 조성 광경 모형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산지사방 디오라마02.jpg|[[산지사방]] 조성 광경 모형 | + | 파일:민족기록화 개념 산지사방 디오라마02.jpg|[[산지사방]] 조성 광경 모형 |
</gallery> | </gallery> | ||
64번째 줄: | 65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우보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629 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우보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629 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9276 산지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9276 산지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sansatai.forest.go.kr/m/index.do 사방사업의 종류]",<html><online style="color:purple">『산사태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산림청. | #*"[http://sansatai.forest.go.kr/m/index.do 사방사업의 종류]",<html><online style="color:purple">『산사태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산림청.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2017년 12월 27일 (수) 00:36 기준 최신판
산지사방 (山地砂防) |
|
대표명칭 | 산지사방 |
---|---|
한자표기 | 山地砂防 |
영문명칭 | hillside erosion control |
관련개념 | 사방사업 |
정의
임지의 표면침식(表面浸蝕)·붕락(崩落) 및 산사태 등에 의한 산림 황폐의 예방과 복구를 위하여 실시하는 공사를 말한다.[1]
내용
자연 황폐지, 산사태 발생지 등에 토사 유출 또는 사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공작물을 설치하고, 식생 조성을 위해 풀씨를 뿌리고 나무를 심는 사업이다. 이미 황폐해졌거나 혹은 황폐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산지에서 산림식생을 복구, 보전하는 사방공사로서 산복공사(山腹工事)와 계간공사(溪間工事)로 구분된다.[2]
산복공사는 산복의 붕결궤(崩決潰) 및 표토의 이동 방지와 식생도입(植生導入) 및 정착을 위하여 산허리에 실시하는 공사로서 묻기(埋設工事)·흙매기(留土工事)·산얽기(山腹編柵工事)·산복수로공사(山腹水路工事)·줄떼공사(線芝工事)·돌쌓기(山腹築石工事)·떼입히기(張芝工事)·배수공사(排水工事)·뭉개기(整度工事)·파식공사(播植工事) 등이 있다.
계간공사는 산각고정(山脚固定)·계상침식(溪床浸蝕)방지·토사유출 및 유수량 조절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공사로서 보매기(堰堤工事)·골매기(保谷工事)·바닥매기(保床工事)·기슭매기(保岸工事)·계간수로공사 등을 들 수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방사업 | 산지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방사업 | 해안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방사업 | 야계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방사업 | 산림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제2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사업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