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출처표기 수정요망 : <nowiki>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363&cid=42958&categoryId=42958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nowiki>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
|사진= 민족_일러_경제개발5개년계획.png
|사진출처=
+
|사진출처=  
 
|대표명칭=경제개발 5개년계획
 
|대표명칭=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자표기=經濟開發五個年計劃
 
|한자표기=經濟開發五個年計劃
13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국민경제발전을 목적으로 5년 단위로 짜여져 추진되었던 경제계획.<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363&cid=42958&categoryId=42958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국민경제발전을 목적으로 5년 단위로 기획하여 추진한 경제계획이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363&cid=42958&categoryId=42958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
 
=='''내용'''==
외국자본의 적극적 도입을 통한 공업화가 '자립경제'와 '조국근대화'로 귀결된다는 서구 근대화론에 바탕을 두고, 정부주도하에 외자도입 및 수출, 저임금·저곡가정책에 의존하여 추진되었다. [[5.16군사정변|5.16]] 직후 군사정부가 민주당정권이 짜놓았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토대로 1961년 7월 종합 경제재건 5개년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62년 1월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됨에 따라 '한강의 기적'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우리 경제는 고도성장을 이룩했으나, 경제의 대외의존이 심화되고 빈부격차 등 사회모순이 격화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363&cid=42958&categoryId=42958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외국자본의 적극적 도입을 통한 공업화가 '자립경제'와 '조국근대화'로 귀결된다는 서구 근대화론에 바탕을 두었다. 계획 방안으로는 정부주도하에서 외자도입 및 수출, 저임금·저곡가정책에 의존하여 추진되었다. [[5.16군사정변|5.16]] 직후 들어선 군사정부는 민주당정권이 짜놓았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토대로 1961년 7월 종합 경제재건 5개년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어, 1962년 1월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됨에 따라 '한강의 기적'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우리 경제는 고도성장을 이룩했으나, 경제의 대외의존이 심화되고 빈부격차 등 사회모순이 격화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하였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363&cid=42958&categoryId=42958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62년 ~ 1966년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62년 ~ 1966년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67년 ~ 1971년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67년 ~ 1971년
24번째 줄: 22번째 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89/C089.htm "소양강댐"(박광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89/C08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8/C058.htm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장두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90/C090.htm "소양강댐"(김숙진)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92/C092.htm "호남정유"(이의주)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4/C074.htm "한양화학공업"(박항섭)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7/C057.htm "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이인영)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1/C061.htm "감귤"(이마동)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8/C068.htm "원양어업"(김창락)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94/C094.htm "서울부산간고속도로"(김서봉)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3/C073.htm "석유화학공업단지"(임직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8/C078.htm "금성사"(박창돈)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97/C097.htm "산업선전철"(박각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101/C101.htm "수출선박"(박서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박정희]]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5.16군사정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5.16군사정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원양어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농어촌 라디오 보내기 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구미국가산업단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41번째 줄: 65번째 줄: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제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제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새마을운동]]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경지정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닉슨 쇼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제2차 석유파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69번째 줄: 88번째 줄: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 김일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782 경제개발계획]",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일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782 경제개발계획]",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6048&cid=57618&categoryId=58172 제1,2,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제1,2,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국가기록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6048&cid=57618&categoryId=58172 제1,2,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6049&cid=57618&categoryId=58172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국가기록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6049&cid=57618&categoryId=58172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6050&cid=57618&categoryId=58172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국가기록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6050&cid=57618&categoryId=58172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6533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6533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78599&cid=42085&categoryId=42085 경제개발 5개년계획(한국)]", 경제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박은태,『경제학사전』, 경연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78599&cid=42085&categoryId=42085 경제개발 5개년계획(한국)]", 경제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분류:누/수정요망]]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2017년 12월 27일 (수) 00:34 기준 최신판

경제개발 5개년계획
(經濟開發五個年計劃)
민족 일러 경제개발5개년계획.png
대표명칭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자표기 經濟開發五個年計劃
이칭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관련개념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제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정의

국민경제발전을 목적으로 5년 단위로 기획하여 추진한 경제계획이다.[1]

내용

외국자본의 적극적 도입을 통한 공업화가 '자립경제'와 '조국근대화'로 귀결된다는 서구 근대화론에 바탕을 두었다. 계획 방안으로는 정부주도하에서 외자도입 및 수출, 저임금·저곡가정책에 의존하여 추진되었다. 5.16 직후 들어선 군사정부는 민주당정권이 짜놓았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토대로 1961년 7월 종합 경제재건 5개년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어, 1962년 1월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됨에 따라 '한강의 기적'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우리 경제는 고도성장을 이룩했으나, 경제의 대외의존이 심화되고 빈부격차 등 사회모순이 격화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하였다.[2]

  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62년 ~ 1966년
  2.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67년 ~ 1971년
  3.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72년 ~ 1976년
  4.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77년 ~ 1981년
  5. 제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1982년 ~ 1986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정희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5.16군사정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원양어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농어촌 라디오 보내기 운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구미국가산업단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제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경제개발 5개년계획",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유용한 정보

  1. 김일경, "경제개발계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제1,2,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국가기록원. 온라인 참조: "제1,2,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국가기록원. 온라인 참조: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국가기록원. 온라인 참조: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국가기록원 - 노래로 배우는 한국현대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doopedia』online, 두산백과.
  6. 박은태,『경제학사전』, 경연사, 2011. 온라인 참조: "경제개발 5개년계획(한국)", 경제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