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부복궐상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념정보
 +
|사진= 민족팀_일러_지부복궐상소.png
 +
|사진출처= 
 +
|대표명칭= 지부복궐상소
 +
|한자표기= 持斧伏闕上疏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
|관련개념=
 +
}}
 
=='''정의'''==
 
=='''정의'''==
글자의 의미 그대로 풀이하자면 '도끼()'를 '지니고()' 임금이 계신 '대궐(闕)'에 꿇어 '엎드려()' '상소(上疏)'를 올린다는 뜻으로,<br/>
+
'도끼[]'를 '지니고[]' 임금이 계신 '대궐(闕)'에 꿇어 '엎드려[]' '상소(上疏)'를 올린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도끼로 머리를 쳐 달라는 각오로 목숨을 걸고 임금에게 올리는 상소를 말한다.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도끼로 머리를 쳐 달라는 각오로 목숨을 걸고 임금에게 올리는 상소를 의미한다.
 
  
=='''설명'''==
+
=='''내용'''==
 
유교적 가치관이 중심 이데올로기로 자리하였던 전근대기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군신유의(君臣有義)'라는 말에서도 드러나듯이 매우 특별한 것이었다.<br/>
 
유교적 가치관이 중심 이데올로기로 자리하였던 전근대기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군신유의(君臣有義)'라는 말에서도 드러나듯이 매우 특별한 것이었다.<br/>
조정에 나아가 군주의 신하가 될 경우, 신하의 예를 다하여 군주를 섬긴다. 이때 신하의 예를 다한다는 것은 군주 개인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br/>
+
조정에 나아가 군주의 신하가 될 경우, 신하의 예를 다하여 군주를 섬긴다. 이때 신하의 예를 다한다는 것이 군주 개인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br/>
예를 들어, 신하로서 군주를 어떻게 섬겨야 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맹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br/>
+
신하로서 군주를 어떻게 섬겨야 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맹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br/>
 +
{{Blockquote|
 +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주를 섬기는 신하가 있기는 있다. 군주를 섬긴다는 것은 군주의 비위를 맞춰서 군주를 기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인은 신하의 예를 갖춘다고 하더라도 그의 행동은 도와 의에 의거한다. 그들은 자신을 바르게 함으로써 이 세상을 바르게 하고자 하는 사람이다."<br/>
 +
孟子曰, "有事君人者,事是君則爲容悅者也. 有安社稷臣者,以安社稷爲悅者也. 有天民者,達可行於天下而後行之者也. 有大人者,正己而物正者也.
 +
|출처=  맹자(孟子) - 진심상(盡心上) 19}}
 +
이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지만, 군주와 신하 사이에 요구되었던 '올바름(義)'의 가치는, 군주와 신하 상호 모두에게 있어서 중요한 덕목으로 작용하였다.<br/>
 +
'지부복궐상소'는 바로 그러한 맥락에서 신하된 자가 임금에게 간언하여 올바름의 가치를 펴고자 했던 마음이 가장 지극하게 표현한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
===고려시대, 우탁의 지부복궐상소===
 +
1308년([[고려 충선왕]] 즉위년) 감찰규정 [[우탁]]은 [[고려 충선왕|충선왕]]이 부왕인 [[고려 충렬왕|충렬왕]]의 후궁 숙창원비(淑昌院妃)와 통간하자 흰 옷 차림에 도끼를 들고 거적자리를 짊어진 채 대궐로 들어가 극간을 하였다.
 +
{{Blockquote|
 +
...측근의 신하가 상소문을 펴들고 감히 읽지 못하니, [[우탁]]이 매서운 소리로,<br/>
 +
"경은 가까이 모시는 신하이면서도 주상의 잘못을 바로잡지 못하고 이렇게까지 추악한 일을 저지르게 했으니 자신의 죄를 아는가?"
 +
라고 꾸짖었다. 이에 주변의 사람들이 두려워서 벌벌 떨었고 왕도 부끄러운 기색을 나타내었다.
 +
|출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828&cid=49632&categoryId=49632 우탁(禹倬)]", 국역 고려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주를 섬기는 신하가 있기는 있다. 군주를 섬긴다는 것은 군주의 비위를 맞춰서 군주를 기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인은 신하의 예를 갖춘다고 하더라도 그의 행동은 도와 의에 의거한다. 그들은 자신을 바르게 함으로써 이 세상을 바르게 하고자 하는 사람이다(孟子曰, "有事君人者,事是君則爲容悅者也. 有安社稷臣者,以安社稷爲悅者也. 有天民者,達可行於天下而後行之者也. 有大人者,正己而物正者也.)"-맹자 진심상 19
+
===조선시대 중기, 조헌의 지부복궐상소===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right"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국방강화상소도.jpg|[[금산 칠백의총 기념관]]에 소장된 국방강화상소도
 +
</gallery>
 +
1591년([[조선 선조]] 24년)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겐소(玄蘇)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명으로 가는 길을 빌려 달라<ref>정명가도(征明假道)</ref>고 요구하였다. [[조헌]]은 충청도 옥천에서 상경하여 지부상소로 대궐문 밖에서 3일간 일본사신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군주와 신하 사이에 요구되었던 '올바름()'가치는, 군주와 신하 상호 모두에게 있어서 중요한 덕목으로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br/>
+
===조선시대 후기,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
'지부복궐상소'는 바로 그러한 맥락에서 신하된 자가 임금에게 올바름의 가치를 펴고자 했던 마음이 가장 극도로 발현된 형태였다고 할 있다.
+
1876년([[조선 고종]] 13년) 2월 강화도에서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최익현]]은 도끼를 들고 [[광화문]] 앞에서 [[강화도조약]]을 강요한 일본 사신 [[구로다 교타카|구로다 교타카(黑田淸隆)]]목을 베라고 상소하였다. 그가 도끼를 들고 상소한 것은 [[조헌]]의 예를 따른 것이었다.<br/>
 
+
[[최익현]]은 다섯 가지 이유를 들어 일본과 조약을 체결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br/>
===우탁의 지부복궐상소===
+
{{Blockquote|
*<span style="color: red; text-decoration: line-through;">내용 미정리</span>
+
첫째, 우리의 힘은 약하고 저들은 강하니 일방적으로 끊임없이 저들에게 필요한 것을 요구할 것이다.<br/>  
 
+
둘째, 통상 조약을 맺으면 생산의 한계가 있는 우리의 농산물과 무한하게 생산할 있는 저들의 공산품을 교역하게 될 것이니 우리 경제가 지탱할 길이 없다.<br/>
===조헌의 지부복궐상소===
+
셋째, 왜인은 이미 서양 오랑캐와 일체가 되어 있으니 이들을 통하여 사악한 서양 문화가 들어올 때 인륜이 무너져서 조선 백성은 금수(禽獸)가 될 것이다.<br/>  
*<span style="color: red; text-decoration: line-through;">내용 미정리</span>
+
넷째, 저들이 우리 땅을 자유 왕래하고 살면서 우리의 재물과 부녀자를 마음대로 약탈할 때 막을 수가 없다.<br/>
 
+
다섯째, 저들은 재물과 여색만 탐하는 금수이므로 우리와 화친하여 어울릴 수가 없다.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
+
|출처=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745&cid=42941&categoryId=42941 광화문 앞에서 도끼를 들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745&cid=42941&categoryId=42941 광화문 앞에서 도끼를 들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span style="color: red; text-decoration: line-through;">내용 미정리</span>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745&cid=42941&categoryId=42941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지식관계망]
*'''[[우탁]]'''은 고려시대 지부복궐상소를 올린 인물이다.
+
<html>
*'''[[조헌]]'''은 조선시대 중기 지부복궐상소를 올린 인물이다.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최익현]]'''은 조선시대 후기 지부복궐상소를 올린 인물이다.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시간정보===
+
</html>
===공간정보===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9/C049.htm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지부복궐상소]]|| [[우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지부복궐상소]]||  [[조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지부복궐상소]]|| [[최익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동영상===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big>'''*한설에 핀 매화_면암선생 서거 110주년 추모공연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2016.04.17)'''</big>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금산_칠백의총_기념관_국방강화상소도.jpg|[[금산 칠백의총 기념관]]에 소장된 국방강화상소도
 +
</gallery>
  
 +
===영상===
 +
*'''[송미경]한설에 핀 매화_면암선생 서거 110주년 추모공연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게시일: 2016년 4월 17일)'''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AgzvQxb42u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AgzvQxb42u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46번째 줄: 8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조 및 인용===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단행본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269145 신봉승, <문묘18현, 조선선비의 거울>, 청아출판사, 2010.]
+
#* 신봉승,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269145 『문묘18현, 조선선비의 거울』], 청아출판사, 2010.
 
+
# 웹 자원
 +
#*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우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828&cid=49632&categoryId=49632 우탁(禹倬)]", 국역 고려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745&cid=42941&categoryId=42941 광화문 앞에서 도끼를 들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9420&cid=46622&categoryId=46622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527&index_id=cp05270507&content_id=cp052705070001&search_left_menu= 도끼를 가지고 대궐 앞에 엎드려 상소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니당]]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2017년 12월 27일 (수) 00:18 기준 최신판

지부복궐상소
(持斧伏闕上疏)
민족팀 일러 지부복궐상소.png
대표명칭 지부복궐상소
한자표기 持斧伏闕上疏


정의

'도끼[斧]'를 '지니고[持]' 임금이 계신 '대궐(闕)'에 꿇어 '엎드려[伏]' '상소(上疏)'를 올린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도끼로 머리를 쳐 달라는 각오로 목숨을 걸고 임금에게 올리는 상소를 말한다.

내용

유교적 가치관이 중심 이데올로기로 자리하였던 전근대기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군신유의(君臣有義)'라는 말에서도 드러나듯이 매우 특별한 것이었다.
조정에 나아가 군주의 신하가 될 경우, 신하의 예를 다하여 군주를 섬긴다. 이때 신하의 예를 다한다는 것이 군주 개인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신하로서 군주를 어떻게 섬겨야 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맹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Quote-left.png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주를 섬기는 신하가 있기는 있다. 군주를 섬긴다는 것은 군주의 비위를 맞춰서 군주를 기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인은 신하의 예를 갖춘다고 하더라도 그의 행동은 도와 의에 의거한다. 그들은 자신을 바르게 함으로써 이 세상을 바르게 하고자 하는 사람이다."
孟子曰, "有事君人者,事是君則爲容悅者也. 有安社稷臣者,以安社稷爲悅者也. 有天民者,達可行於天下而後行之者也. 有大人者,正己而物正者也.

Quote-right.png
출처: 맹자(孟子) - 진심상(盡心上) 19


이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지만, 군주와 신하 사이에 요구되었던 '올바름(義)'의 가치는, 군주와 신하 상호 모두에게 있어서 중요한 덕목으로 작용하였다.
'지부복궐상소'는 바로 그러한 맥락에서 신하된 자가 임금에게 간언하여 올바름의 가치를 펴고자 했던 마음이 가장 지극하게 표현한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우탁의 지부복궐상소

1308년(고려 충선왕 즉위년) 감찰규정 우탁충선왕이 부왕인 충렬왕의 후궁 숙창원비(淑昌院妃)와 통간하자 흰 옷 차림에 도끼를 들고 거적자리를 짊어진 채 대궐로 들어가 극간을 하였다.

Quote-left.png

...측근의 신하가 상소문을 펴들고 감히 읽지 못하니, 우탁이 매서운 소리로,
"경은 가까이 모시는 신하이면서도 주상의 잘못을 바로잡지 못하고 이렇게까지 추악한 일을 저지르게 했으니 자신의 죄를 아는가?" 라고 꾸짖었다. 이에 주변의 사람들이 두려워서 벌벌 떨었고 왕도 부끄러운 기색을 나타내었다.

Quote-right.png
출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우탁(禹倬)", 국역 고려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조선시대 중기, 조헌의 지부복궐상소

1591년(조선 선조 24년)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겐소(玄蘇)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명으로 가는 길을 빌려 달라[1]고 요구하였다. 조헌은 충청도 옥천에서 상경하여 지부상소로 대궐문 밖에서 3일간 일본사신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조선시대 후기,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

1876년(조선 고종 13년) 2월 강화도에서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최익현은 도끼를 들고 광화문 앞에서 강화도조약을 강요한 일본 사신 구로다 교타카(黑田淸隆)의 목을 베라고 상소하였다. 그가 도끼를 들고 상소한 것은 조헌의 예를 따른 것이었다.
최익현은 다섯 가지 이유를 들어 일본과 조약을 체결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Quote-left.png

첫째, 우리의 힘은 약하고 저들은 강하니 일방적으로 끊임없이 저들에게 필요한 것을 요구할 것이다.
둘째, 통상 조약을 맺으면 생산의 한계가 있는 우리의 농산물과 무한하게 생산할 수 있는 저들의 공산품을 교역하게 될 것이니 우리 경제가 지탱할 길이 없다.
셋째, 왜인은 이미 서양 오랑캐와 일체가 되어 있으니 이들을 통하여 사악한 서양 문화가 들어올 때 인륜이 무너져서 조선 백성은 금수(禽獸)가 될 것이다.
넷째, 저들이 우리 땅을 자유 왕래하고 살면서 우리의 재물과 부녀자를 마음대로 약탈할 때 막을 수가 없다.
다섯째, 저들은 재물과 여색만 탐하는 금수이므로 우리와 화친하여 어울릴 수가 없다.

Quote-right.png
출처: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온라인 참조: "광화문 앞에서 도끼를 들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2]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지부복궐상소 우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부복궐상소 조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부복궐상소 최익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송미경]한설에 핀 매화_면암선생 서거 110주년 추모공연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게시일: 2016년 4월 17일)

주석

  1. 정명가도(征明假道)
  2.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온라인 참조: "광화문 앞에서 도끼를 들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2. 웹 자원
    • "우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우탁(禹倬)", 국역 고려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온라인 참조: "광화문 앞에서 도끼를 들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조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도끼를 가지고 대궐 앞에 엎드려 상소하다",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