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불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갤러리) |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물유적정보 | {{유물유적정보 | ||
− | |사진=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 + | |사진=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김영자,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413&brdType=R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대표명칭=경주 불국사 | |대표명칭=경주 불국사 | ||
|한자표기=慶州 佛國寺 | |한자표기=慶州 佛國寺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서쪽 중턱에 있는 신라시대의 | +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서쪽 중턱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이다. |
=='''내용'''== | =='''내용'''== | ||
===창건에 관한 설 === | ===창건에 관한 설 === | ||
− | 불국사의 창건에 관한 내용은 [[불국사역대고금기]](佛國寺歷代古今記) | + | 불국사의 창건에 관한 내용은 『[[불국사역대고금기]]』(佛國寺歷代古今記), 『[[신라국동토함산화엄종불국사사적]]』(佛國寺事蹟) 및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에 기록이 남아있는데 각기 약간씩 차이가 있다.<br/> |
+ | 751년([[신라 경덕왕]] 10)에 [[김대성|김대성(700~774, 金大城)]]의 발원으로 창건했으며 재상의 자리에 오른 [[김대성]]이 전세의 부모를 위하여 [[경주 석굴암|석불사(石佛寺)]]를 지었고 현세의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를 건립하였다고도 하며 [[신라 법흥왕|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과 왕비인 기윤 부인이 창건하고 비구니가 되었다고도 전해진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2&cp_code=cp0528&index_id=cp05280213&content_id=cp052802130001&search_left_menu=6 불국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중창과 중수=== | ===중창과 중수=== | ||
− | 불국사는 임진왜란 전까지 9차례의 중창 및 중수를 거쳤으나, [[임진왜란]] 중인 1593년 지장전(地藏殿)에 감추어진 무기를 발견한 왜군들이 불을 지르면서 극히 일부 건물을 제외한 2천여 칸의 건물들이 불타버렸다. 이후 1604년부터 한 세기 동안 차츰차츰 중건하여 1700년대에 비로소 가람의 형태를 다시 갖추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19&cid=42665&categoryId=42668 불국사]" ,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불국사는 임진왜란 전까지 9차례의 중창 및 중수를 거쳤으나, [[임진왜란]] 중인 1593년 지장전(地藏殿)에 감추어진 무기를 발견한 왜군들이 불을 지르면서 극히 일부 건물을 제외한 2천여 칸의 건물들이 불타버렸다. 이후 1604년부터 한 세기 동안 차츰차츰 중건하여 1700년대에 비로소 가람의 형태를 다시 갖추었다.<ref>김봉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19&cid=42665&categoryId=42668 불국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 |
− | 근대기에는 1973년에 대대적인 복원 공사가 이루어졌는데, 대웅전(大雄殿), 극락전(極樂殿), 자하문(紫霞門), 안양문(安養門) 등을 중수하고, 범영루(泛影樓), 무설전(無說殿), 비로전(毘盧殿), 관음전(觀音殿) 등을 옛터에 새로이 복원하였다. 회랑과 나머지 문들은 아예 없어진 것들을 재건하였고, 석축과 계단은 대대적인 수리를 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19&cid=42665&categoryId=42668 불국사]" ,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근대기에는 1973년에 대대적인 복원 공사가 이루어졌는데, 대웅전(大雄殿), 극락전(極樂殿), 자하문(紫霞門), 안양문(安養門) 등을 중수하고, 범영루(泛影樓), 무설전(無說殿), 비로전(毘盧殿), 관음전(觀音殿) 등을 옛터에 새로이 복원하였다. 회랑과 나머지 문들은 아예 없어진 것들을 재건하였고, 석축과 계단은 대대적인 수리를 하였다.<ref>김봉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19&cid=42665&categoryId=42668 불국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가람배치=== | ===가람배치=== | ||
− | 불국사는 신라인이 그린 불국토(佛國土), 즉 이상적 피안(彼岸)의 세계를 투영하고 있다. 이 | + | 불국사는 신라인이 그린 [[불국토]](佛國土), 즉 이상적 피안(彼岸)의 세계를 투영하고 있다. 이 이상향을 향한 염원은 대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법화경]]』에 근거한 [[석가여래]]의 사바세계(娑婆世界) 불국이고, 다른 하나는 『[[무량수경]]』, 『[[아미타경]]』에 근거한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불국이며, 또 하나는 『[[화엄경]]』에 근거한 [[비로자나불]]의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불국이다. 이 셋은 각각 [[불국사 대웅전|대웅전]]을 중심으로 하는 일곽(一廓)과 [[불국사 극락전|극락전]]을 중심으로 하는 일곽, [[불국사 비로전|비로전]] 등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특징들을 나타낸다.<ref>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639 불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경내 문화재=== | ===경내 문화재=== | ||
− | 불국사 경내에는 국보 제20호 다보탑과, 국보 제 21호 삼층석탑, 국보 제22호 연화교·칠보교, 국보 제23호 청운교·백운교, 국보 제 26호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7호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국보 제126호 불국사 삼층석탑 내 발견유물 ,보물 제61호 불국사사리탑 등 많은 문화재가 | + | 불국사 경내에는 국보 제20호 다보탑과, 국보 제 21호 삼층석탑, 국보 제22호 연화교·칠보교, 국보 제23호 청운교·백운교, 국보 제 26호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7호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국보 제126호 불국사 삼층석탑 내 발견유물 ,보물 제61호 불국사사리탑 등 많은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2&cp_code=cp0528&index_id=cp05280213&content_id=cp052802130001&search_left_menu=6 불국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83번째 줄: | 84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106/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html> | + | </html><br/>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106/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jpg | 불국사 청운교백운교<ref>김영자,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413&brdType=R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다보탑.jpg | 불국사 다보탑<ref>하호숙,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398&brdType=R 경주 불국사 다보탑]",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다보탑.jpg | 불국사 다보탑<ref>하호숙,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398&brdType=R 경주 불국사 다보탑]",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가구식석축.jpg | 불국사 가구식 석축<ref>장남진,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8463&brdType=R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jpg |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ref>강명운,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8728&brdType=R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 | </ | + | </gallery> |
===영상=== | ===영상=== | ||
− | * | + | *Nell Lim, [https://www.youtube.com/embed/Nh_6Q0ggMsc 지식채널e 문화유산 시리즈 비례, 균형, 조화의 불국사], ''YouTube'', 작성일: 2017년 08월 20일. |
<html> | <html>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Nh_6Q0ggMsc"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Nh_6Q0ggMsc"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104번째 줄: | 10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이기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933 경주 불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기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933 경주 불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639 불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639 불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2&cp_code=cp0528&index_id=cp05280213&content_id=cp052802130001&search_left_menu=6 불국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2&cp_code=cp0528&index_id=cp05280213&content_id=cp052802130001&search_left_menu=6 불국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19&cid=42665&categoryId=42668 불국사]" ,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김봉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19&cid=42665&categoryId=42668 불국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2017년 12월 27일 (수) 00:13 기준 최신판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 |
|
대표명칭 | 경주 불국사 |
---|---|
한자표기 | 慶州 佛國寺 |
유형 | 사찰 |
시대 | 신라 |
지정번호 | 사적 제502호 |
지정일 | 2009년 12월 21일 |
소장처 |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
관련인물 | 김대성 |
관련유물유적 | 불국사 다보탑, 불국사 3층석탑, 불국사 연화교·칠보교,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서쪽 중턱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이다.
내용
창건에 관한 설
불국사의 창건에 관한 내용은 『불국사역대고금기』(佛國寺歷代古今記), 『신라국동토함산화엄종불국사사적』(佛國寺事蹟) 및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에 기록이 남아있는데 각기 약간씩 차이가 있다.
751년(신라 경덕왕 10)에 김대성(700~774, 金大城)의 발원으로 창건했으며 재상의 자리에 오른 김대성이 전세의 부모를 위하여 석불사(石佛寺)를 지었고 현세의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를 건립하였다고도 하며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과 왕비인 기윤 부인이 창건하고 비구니가 되었다고도 전해진다.[1]
중창과 중수
불국사는 임진왜란 전까지 9차례의 중창 및 중수를 거쳤으나, 임진왜란 중인 1593년 지장전(地藏殿)에 감추어진 무기를 발견한 왜군들이 불을 지르면서 극히 일부 건물을 제외한 2천여 칸의 건물들이 불타버렸다. 이후 1604년부터 한 세기 동안 차츰차츰 중건하여 1700년대에 비로소 가람의 형태를 다시 갖추었다.[2]
근대기에는 1973년에 대대적인 복원 공사가 이루어졌는데, 대웅전(大雄殿), 극락전(極樂殿), 자하문(紫霞門), 안양문(安養門) 등을 중수하고, 범영루(泛影樓), 무설전(無說殿), 비로전(毘盧殿), 관음전(觀音殿) 등을 옛터에 새로이 복원하였다. 회랑과 나머지 문들은 아예 없어진 것들을 재건하였고, 석축과 계단은 대대적인 수리를 하였다.[3]
가람배치
불국사는 신라인이 그린 불국토(佛國土), 즉 이상적 피안(彼岸)의 세계를 투영하고 있다. 이 이상향을 향한 염원은 대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법화경』에 근거한 석가여래의 사바세계(娑婆世界) 불국이고, 다른 하나는 『무량수경』, 『아미타경』에 근거한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불국이며, 또 하나는 『화엄경』에 근거한 비로자나불의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불국이다. 이 셋은 각각 대웅전을 중심으로 하는 일곽(一廓)과 극락전을 중심으로 하는 일곽, 비로전 등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특징들을 나타낸다.[4]
경내 문화재
불국사 경내에는 국보 제20호 다보탑과, 국보 제 21호 삼층석탑, 국보 제22호 연화교·칠보교, 국보 제23호 청운교·백운교, 국보 제 26호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7호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국보 제126호 불국사 삼층석탑 내 발견유물 ,보물 제61호 불국사사리탑 등 많은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경주 불국사 | 김대성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불국사고금창기 | 경주 불국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불국사사적 | 경주 불국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삼국유사 | 경주 불국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경주 불국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경주 불국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불국사 다보탑 | 경주 불국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불국사 사리탑 | 경주 불국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불국사 삼층석탑 | 경주 불국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불국사 연화교칠보교 | 경주 불국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 경주 불국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불국사 삼층석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불국사 | 불국사 복원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불국사 복원사업 | 박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Nell Lim, 지식채널e 문화유산 시리즈 비례, 균형, 조화의 불국사, YouTube, 작성일: 2017년 08월 20일.
주석
- ↑ "불국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봉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불국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봉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불국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불국사",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불국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영자,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하호숙, "경주 불국사 다보탑",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장남진,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강명운,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