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종용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참고문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사진= 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사진출처=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사진출처=  
 
|대표명칭= 금산 종용사
 
|대표명칭= 금산 종용사
 
|한자표기= 錦山 從容祠
 
|한자표기= 錦山 從容祠
21번째 줄: 21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 [[임진왜란]] 때 순절한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  
+
조선 [[임진왜란]] 때 순절한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내용'''==
 
=='''내용'''==
1647년([[조선 인조|인조]] 25)에 종용사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1663년([[조선 현종|현종]] 4)에 '從容祠'라는 사액(賜額)과 4결(結)의 토지를 내려 춘추제향에 쓰게 하였다. 그 뒤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는 일본인들이 진화사(進化社)를 만들어 종용사를 허물었고, 제토(祭土)를 강제로 팔아버렸다. 광복 후 1952년에 군민이 성금을 모아 [[금산 칠백의총]]과 종용사를 재건하였다. 1970년 국가에서는 경역을 2만2800평으로 확장하고 종용사를 새로이 지어 사적으로 지정하였다.<ref>김진봉,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건립 경위===
 +
1647년([[조선 인조]] 25)에 종용사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1663년([[조선 현종|현종]] 4)에 '從容祠'라는 사액(賜額)과 4결(結)의 토지를 내려 춘추제향에 쓰게 하였다. 그 뒤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 일본은 종용사를 허물어 진화사(進化社)를 만들고, 제토(祭土)를 강제로 팔아버렸다. 광복 후 1952년에 군민이 성금을 모아 [[금산 칠백의총]]과 종용사를 재건하였다. 1970년 국가에서는 경역을 2만2800평으로 확장하고 종용사를 새로 지었다. 1963년 사적 제 105호로 지정되었다.<ref>김진봉,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사당에 모셔진 선열들===
 
===사당에 모셔진 선열들===
종용사에는 우선 연곤평 싸움에서 순절한 칠백 의사가 제향되고 있다.
+
종용사에는 [[조헌]], [[영규]], [[조헌]]의 아들인 [[조완기]] 등 [[2차 금산전투]](연곤평 싸움)에서 순절한 칠백 의사가 제향되고 있을 뿐 아니라, [[1차 금산전투]](눈벌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인후]], [[고경명]]의 의병들도 모시고 있다.
칠백 의사는 조헌, 영규대사, 이광륜, 조완기(조헌의 아들), 임정식, 곽자방, 김절, 이려, 박사진, 김선복, 복응길, 신경일, 서응시, 윤여익, 김성원, 조경남, 박혼, 전충남, 고명원, 강몽조, 변계온, 양응춘, 김헌, 강충서, 강인서, 박봉서, 김희철, 정원복, 이인현, 김인남, 이양립, 황삼양, 박춘년, 한기, 박찬, 한응성, 길안수(길재의 5대손으로 아들 서춘과 함께 순절), 김형진, 박사현, 박중립, 그리고 조선생 사졸(조헌 의병장의 이름 모를 사졸들), 승장 사졸(영규대사 휘하의 이름 모를 승병들)들이다 .
 
 
 
그런데 이곳 전체의 이름이 칠백의총이라고 해서 연곤평 싸움 순절 700 의사만 종용사에 모셔져 있는 것은 아니다. 조헌 의병군이 연곤평에서 전몰하기 이전 눈벌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 의병군도 모시고 있다.
 
고경명, 고인후(고경명의 아들), 한순, 류팽로, 안영, 고선생 막좌(高先生幕佐, 고경명 선생과 함께 순절하신 이름 모를 참모들), 고선생 사졸(高先生士卒, 고경명 선생을 따라 순절하신 이름 모를 의병들)이 바로 그 분들이다.
 
 
 
또 횡당촌 싸움에서 전몰한 변응정, 그리고 무명의사(無名義士, 변응정 장군과 함께 돌아가신 이름 모를 분들)도 모시고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42번째 줄: 37번째 줄: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금산 종용사]]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조헌]]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조헌]]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조헌]] || [[조완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조완기]]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영규]]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영규]]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고경명]] || [[고인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고인후]]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금산 종용사]]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금산 종용사]]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70번째 줄: 76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영상===
 
===영상===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257호-칠백의총 순의 제향(게시일: 2016년 12월 8일)'''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257호-칠백의총 순의 제향(게시일: 2016년 12월 8일)'''
82번째 줄: 94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 1647년 세워져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 1647년 세워져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2.jpg| 종용사 내부<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2.jpg| 종용사 내부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_현판.jpg | 종용사 현판<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_현판.jpg | 종용사 현판  
 
</gallery>
 
</gallery>
  
94번째 줄: 106번째 줄:
 
# 웹 자원
 
# 웹 자원
 
#* 김진봉,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진봉,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만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34863 죽으면 그만이지 구차하게 살 수는 없다]", 『오마이뉴스』, 작성일: 2016년 8월 16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2017년 12월 27일 (수) 00:07 기준 최신판

금산 종용사
(錦山 從容祠)
민족기록화 문화유산 금산 칠백의총 종용사.jpg
대표명칭 금산 종용사
한자표기 錦山 從容祠
시대 조선
관련인물 조헌, 영규
관련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관련유물유적 금산 칠백의총


정의

조선 임진왜란 때 순절한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내용

건립 경위

1647년(조선 인조 25)에 종용사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1663년(현종 4)에 '從容祠'라는 사액(賜額)과 4결(結)의 토지를 내려 춘추제향에 쓰게 하였다. 그 뒤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 일본은 종용사를 허물어 진화사(進化社)를 만들고, 제토(祭土)를 강제로 팔아버렸다. 광복 후 1952년에 군민이 성금을 모아 금산 칠백의총과 종용사를 재건하였다. 1970년 국가에서는 경역을 2만2800평으로 확장하고 종용사를 새로 지었다. 1963년 사적 제 105호로 지정되었다.[1]

사당에 모셔진 선열들

종용사에는 조헌, 영규, 조헌의 아들인 조완기2차 금산전투(연곤평 싸움)에서 순절한 칠백 의사가 제향되고 있을 뿐 아니라, 1차 금산전투(눈벌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인후, 고경명의 의병들도 모시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금산 종용사 금산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금산 종용사 금산 칠백의총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금산 종용사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조헌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헌 조완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완기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영규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고경명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고경명 고인후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고인후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금산 종용사 금산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금산전투 1차 금산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금산전투 2차 금산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헌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고경명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257호-칠백의총 순의 제향(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301호-칠백의총 다례(게시일: 2016년 12월 8일)

갤러리

주석

  1. 김진봉, "금산 칠백의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