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용 및 참조)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유물유적정보 |
− | |사진= 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2.jpg | + | |사진=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2.jpg |
− | |사진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사진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대표명칭=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 | |대표명칭=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 | |한자표기=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杅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 | + | |이칭= |
− | |지정번호= 보물 제1878호 | + | |유형=유물 |
− | |지정일= 2015년 09월 02일 | + | |시대=삼국 |
− | + | |지정번호=보물 제1878호 | |
− |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 | |지정일=2015년 09월 02일 |
+ | |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
|경도= 126.980470 | |경도= 126.980470 | ||
|위도= 37.524131 | |위도= 37.524131 | ||
− | | | + | |수량= |
− | | | + | |관련인물= |
− | | | + | |관련단체= |
− | | | + | |관련장소=[[호우총]] |
− | | | + | |관련물품=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 | 경주 노서동 호우총(140호 고분)에서 출토된 고구려의 청동 그릇이다. | |
=='''내용'''== | =='''내용'''== | ||
− | + | ===형태=== | |
− | 바닥에는 4행 4자씩 16자 '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이 명문으로 '3년전 승하한 광개토대왕을 추모하기 위해 을묘년 415년에 만든 열 번째 그릇' 임을 알 수 있다. 명문 상단에 보이는 ' | + | 몸체는 높이 10.3㎝, 입지름 22.9㎝, 바닥 지름 15㎝이며 몸체의 최대 지름은 23.8㎝이다. 뚜껑은 높이 9.1㎝, 입지름 22.8㎝, 꼭지 높이 3㎝로, 합(盒) 모양 청동 용기 중에서 비교적 큰 편에 속한다. 전체적으로는 옆으로 벌어진 납작한 모양이며 윗부분에서 안으로 약간 오므라든 형태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51208001517203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 | ||
− | + | ===명문=== | |
+ | 바닥에는 4행 4자씩 16자 '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이 명문으로 '3년전 승하한 광개토대왕을 추모하기 위해 을묘년 415년에 만든 열 번째 그릇' 임을 알 수 있다. 명문 상단에 보이는 '#'의 표시는 다른 고구려 유물에서 간혹 등장하는 기호로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 ||
+ | |||
+ | ===전래과정=== | ||
+ | [[호우총]]은 출토 토기로 보아 6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호우는 광개토대왕을 기념하는 의례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고구려에서 만든 것으로, 만들어진지 약 백년이 지난 어느 시점에 비로소 무덤 속에 부장된 것이다. 호우가 만들어질 때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었던 [[신라 내물왕]]의 왕자 복호(卜好)와 같은 인물이 가지고 들어 왔을 것으로 보고, [[호우총]]의 피장자를 복호나 그 후손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 ||
− | == | + | ===가치=== |
− | + | 명문을 통해 삼국시대 고구려와 신라의 대외 교류나 정치적 관계를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아 왔다. 또한 역사적 중요성과 함께 청동호우는 희소한 고구려 금속공예품이라는 점과 명문이 있어 정확한 제작연대를 유추할 수 있는 편년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2015년 9월 보물 제 1878호로 지정되었다.<br/>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2/C002.htm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이종상)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html>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2/C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련항목== |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고구려]] || | + |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고구려 장수왕]]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광개토대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호우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415년 || [[고구려]] | + | |415년 || [[고구려 장수왕]]이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를 제작하였다 |
|- | |- | ||
− | |1946년 || | + | |1946년 || [[호우총]]에서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가 발견되었다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524131 || 126.980470 || [[국립중앙박물관]]은 | + | |37.524131 || 126.980470 || [[국립중앙박물관]]은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를 소장하고 있다 |
|- | |- | ||
− | |35.840541 || 129.208748 || | + | |35.840541 || 129.208748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는 [[호우총]]에서 출토되었다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1.jpg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2.jpg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밑바닥<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물 광개토대왕명 호우 03.jpg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탁본<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
+ | ===영상=== | ||
+ | *suckmynoids, [https://www.youtube.com/watch?v=jcNPLYtyCdY 역사&추적 광개토대왕 호우 왜경주에 묻혔나], ''YouTube'', 작성일: 2017년 07월 11일.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jcNPLYtyCd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826 호우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51208001517203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51208001517203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8780000,11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8780000,11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1100012000000 호우총 청동그릇]",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 | #*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1100012000000 호우총 청동그릇]",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2017년 12월 27일 (수) 00:02 기준 최신판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杅) |
|
대표명칭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
한자표기 | 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杅 |
유형 | 유물 |
시대 | 삼국 |
지정번호 | 보물 제1878호 |
지정일 | 2015년 09월 02일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관련장소 | 호우총 |
|
목차
정의
경주 노서동 호우총(140호 고분)에서 출토된 고구려의 청동 그릇이다.
내용
형태
몸체는 높이 10.3㎝, 입지름 22.9㎝, 바닥 지름 15㎝이며 몸체의 최대 지름은 23.8㎝이다. 뚜껑은 높이 9.1㎝, 입지름 22.8㎝, 꼭지 높이 3㎝로, 합(盒) 모양 청동 용기 중에서 비교적 큰 편에 속한다. 전체적으로는 옆으로 벌어진 납작한 모양이며 윗부분에서 안으로 약간 오므라든 형태이다.[1]
명문
바닥에는 4행 4자씩 16자 '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이 명문으로 '3년전 승하한 광개토대왕을 추모하기 위해 을묘년 415년에 만든 열 번째 그릇' 임을 알 수 있다. 명문 상단에 보이는 '#'의 표시는 다른 고구려 유물에서 간혹 등장하는 기호로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전래과정
호우총은 출토 토기로 보아 6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호우는 광개토대왕을 기념하는 의례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고구려에서 만든 것으로, 만들어진지 약 백년이 지난 어느 시점에 비로소 무덤 속에 부장된 것이다. 호우가 만들어질 때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었던 신라 내물왕의 왕자 복호(卜好)와 같은 인물이 가지고 들어 왔을 것으로 보고, 호우총의 피장자를 복호나 그 후손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가치
명문을 통해 삼국시대 고구려와 신라의 대외 교류나 정치적 관계를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아 왔다. 또한 역사적 중요성과 함께 청동호우는 희소한 고구려 금속공예품이라는 점과 명문이 있어 정확한 제작연대를 유추할 수 있는 편년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2015년 9월 보물 제 1878호로 지정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고구려 장수왕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광개토대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호우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415년 | 고구려 장수왕이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를 제작하였다 |
1946년 | 호우총에서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가 발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24131 | 126.980470 | 국립중앙박물관은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를 소장하고 있다 |
35.840541 | 129.208748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는 호우총에서 출토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suckmynoids, 역사&추적 광개토대왕 호우 왜경주에 묻혔나, YouTube, 작성일: 2017년 07월 11일.
주석
-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호우총 청동그릇",
『e뮤지엄』online , 문화체육관광부.
- "호우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