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 반구대 암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가상현실) |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물유적정보 | {{유물유적정보 | ||
|사진=민족_일러_반구대암각화.png | |사진=민족_일러_반구대암각화.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울주 반구대 암각화 | |대표명칭=울주 반구대 암각화 | ||
|한자표기=蔚州盤龜臺岩刻畵 | |한자표기=蔚州盤龜臺岩刻畵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태화강]] 상류 | + |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곡리 [[태화강]] 상류 건너각단에 새겨진 선사시대의 암각화(岩刻畵)이다.<ref>황용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63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 | 1971년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ref>황용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63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65년 근처에 | + | 1971년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ref>황용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63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65년 근처에 [[사연댐]]이 축조된 후 [[울주 반구대 암각화 수몰|평상시에는 수면 밑에 있다가]] 물이 마르면 그 모습을 보인다.<br/> |
− | 그림이 있는 부분은 가로 약 8미터, 세로 약 | + | 그림이 있는 부분은 가로 약 8미터, 세로 약 2미터의 건너각단이라는 바위벽이다. 크게 평면그림과 선그림으로 나눌 수 있고, 새긴 방법으로는 선파내기·모두파기·덧새김 등이 있다.<br/> |
+ |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바느질된 옷을 입고 다듬어진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등 구석기시대를 지난 시대일 것으로 추측된다. 또 탈을 쓴 무당과 줄을 걸어놓은 신목(神木)이 보이는 등 신석기 시대로 추정할 수 있는 요소들이 보인다. 그러나 표현 양식과 그림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그림 모두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신앙행위의 장소로 계속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선사인들이 원활한 사냥 활동과 사냥감이 풍성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바위에 새긴 것으로 보는 것이다. 암각화의 제작 연대는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를 거쳐 초기 철기시대까지 걸쳐 있다고 추정한다. | ||
+ | 1995년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다. | ||
===암각화(바위그림) 내용=== | ===암각화(바위그림) 내용=== | ||
− | 바위에는 육지동물과 바다고기, 사냥하는 장면 등 총 200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육지동물은 호랑이, 멧돼지, 사슴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호랑이는 함정에 | + | 바위에는 육지동물과 바다고기, 사냥하는 장면 등 총 200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육지동물은 호랑이, 멧돼지, 사슴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호랑이는 함정에 빠지거나 새끼를 밴 모습 등으로 그려져 있다. 멧돼지는 교미하는 모습을, 사슴은 새끼를 거느리거나 밴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바다고기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의 모습 등으로 그렸다. 특히 마치 고래도감처럼 다양한 고래 종류가 그려진 점이 흥미롭다.<br/>사냥하는 장면에서는 탈을 쓴 무당, 짐승을 사냥하는 사냥꾼, 배를 타고 고래를 잡는 어부 등이 묘사되어 있다. 그물이나 배의 모습도 표현하였다. 선사인들은 이런 모습들을 바위에 새기면서 사냥감이 풍성해지고, 사냥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원하였을 것이다.<ref>"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환국문화재재단.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3879&cid=42927&categoryId=42927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 |
− | 또한 그림에는 모두 3척의 배가 보이는데, 가야시대와 신라시대의 배 모양 | + | 또한 그림에는 모두 3척의 배가 보이는데, 가야시대와 신라시대의 제사용 토기였던 배 모양 토용(土甬)과 모양이 비슷하다. 특히 배의 앞과 뒤가 높이 솟아오른 것이 고대 이집트·페니키아·페르시아·인도 등지의 고대 선박과도 유사하다.<ref>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35&cid=42955&categoryId=42955 울산대곡리 반구대암각화 배그림]",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 |
− | 전체적으로 수렵과 어로 등 일상적인 모습을 담고 있어 당시 주민의 생활상을 | + | 전체적으로 수렵과 어로 등 일상적인 모습을 담고 있어 당시 주민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1/C001.htm "울주 반구대 암각도"(김창락)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42번째 줄: | 45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울주 반구대 암각화]]||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 |- | ||
+ |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태화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 | ||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태화강]]||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수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수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53번째 줄: | 62번째 줄: |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사연댐]]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사연댐]]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74번째 줄: | 83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01/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01/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 | </html> | + | </html><br/>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01/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81번째 줄: | 91번째 줄: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울주 반구대 암각화 전경01.jpg | 울주 반구대 암각화 모습.<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FP&photo_PhotoID=0&detl_PhotoDTL=1386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울주 반구대 암각화 전경01.jpg | 울주 반구대 암각화 모습.<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FP&photo_PhotoID=0&detl_PhotoDTL=1386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91번째 줄: | 9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 #*황용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63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황용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63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3879&cid=42927&categoryId=42927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환국문화재재단.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3879&cid=42927&categoryId=42927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35&cid=42955&categoryId=42955 울산대곡리 반구대암각화 배그림]",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35&cid=42955&categoryId=42955 울산대곡리 반구대암각화 배그림]",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100번째 줄: | 106번째 줄: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888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888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2017년 12월 26일 (화) 23:57 기준 최신판
울주 반구대 암각화 (蔚州盤龜臺岩刻畵) |
|
대표명칭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
한자표기 | 蔚州盤龜臺岩刻畵 |
이칭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지정번호 | 국보 제 285호 |
지정일 | 1995년 6월 23일 |
소장처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991 |
관련단체 |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 |
관련장소 | 태화강,사연댐 |
|
목차
정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곡리 태화강 상류 건너각단에 새겨진 선사시대의 암각화(岩刻畵)이다.[1]
내용
1971년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2] 1965년 근처에 사연댐이 축조된 후 평상시에는 수면 밑에 있다가 물이 마르면 그 모습을 보인다.
그림이 있는 부분은 가로 약 8미터, 세로 약 2미터의 건너각단이라는 바위벽이다. 크게 평면그림과 선그림으로 나눌 수 있고, 새긴 방법으로는 선파내기·모두파기·덧새김 등이 있다.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바느질된 옷을 입고 다듬어진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등 구석기시대를 지난 시대일 것으로 추측된다. 또 탈을 쓴 무당과 줄을 걸어놓은 신목(神木)이 보이는 등 신석기 시대로 추정할 수 있는 요소들이 보인다. 그러나 표현 양식과 그림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그림 모두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신앙행위의 장소로 계속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선사인들이 원활한 사냥 활동과 사냥감이 풍성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바위에 새긴 것으로 보는 것이다. 암각화의 제작 연대는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를 거쳐 초기 철기시대까지 걸쳐 있다고 추정한다.
1995년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다.
암각화(바위그림) 내용
바위에는 육지동물과 바다고기, 사냥하는 장면 등 총 200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육지동물은 호랑이, 멧돼지, 사슴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호랑이는 함정에 빠지거나 새끼를 밴 모습 등으로 그려져 있다. 멧돼지는 교미하는 모습을, 사슴은 새끼를 거느리거나 밴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바다고기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의 모습 등으로 그렸다. 특히 마치 고래도감처럼 다양한 고래 종류가 그려진 점이 흥미롭다.
사냥하는 장면에서는 탈을 쓴 무당, 짐승을 사냥하는 사냥꾼, 배를 타고 고래를 잡는 어부 등이 묘사되어 있다. 그물이나 배의 모습도 표현하였다. 선사인들은 이런 모습들을 바위에 새기면서 사냥감이 풍성해지고, 사냥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원하였을 것이다.[3]
또한 그림에는 모두 3척의 배가 보이는데, 가야시대와 신라시대의 제사용 토기였던 배 모양 토용(土甬)과 모양이 비슷하다. 특히 배의 앞과 뒤가 높이 솟아오른 것이 고대 이집트·페니키아·페르시아·인도 등지의 고대 선박과도 유사하다.[4]
전체적으로 수렵과 어로 등 일상적인 모습을 담고 있어 당시 주민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태화강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태화강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수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수몰 | 사연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태화강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사연댐 | 태화강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사연댐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65년 | 사연댐이 축조되어 울주 반구대 암각화가 침수되었다. |
1971년 |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이 울주 반구대 암각화를 발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607969 | 129.175584 | 울주 반구대 암각화는 태화강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울주 반구대 암각화 모습.[5]
주석
- ↑ 황용혼,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용혼,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환국문화재재단. 온라인 참조: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울산대곡리 반구대암각화 배그림",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황용혼,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환국문화재재단. 온라인 참조: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울산대곡리 반구대암각화 배그림",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황용혼,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유용한 정보
- 한주성, "사연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11월 18일.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한주성, "사연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