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방조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장소정보 |사진=민족기록화 장소 남양방조제 전경01.jpg |사진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장소정보
 
{{장소정보
 
|사진=민족기록화 장소 남양방조제 전경01.jpg
 
|사진=민족기록화 장소 남양방조제 전경01.jpg
|사진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오건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2월 2일.
 
|대표명칭=남양방조제
 
|대표명칭=남양방조제
 
|한자표기=南陽防潮堤
 
|한자표기=南陽防潮堤
12번째 줄: 12번째 줄:
 
|관련인물=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아산방조제]]
+
|관련장소=[[아산방조제]],[[남양만]],[[남양호]]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관련유물유적=
18번째 줄: 18번째 줄:
  
 
=='''정의'''==
 
=='''정의'''==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화성시 우정읍 사이에 남양만 하구를 막은 방조제.<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화성시 우정읍 사이에 있는 남양만 하구를 막은 방조제이다.<ref>오건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2월 2일.</ref>  
  
 
=='''내용'''==
 
=='''내용'''==
농지확보를 목적으로 마련된 평택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에 따라 [[아산방조제]]와 함께 1971년 3월 23일 착공되어 1973년 12월 20일 끝막이 공사를 마치고 1974년 5월 22일 준공되었다.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한 토목공사는 1976년 11월 끝났다. 방조제와 함께 [[남양만|남양간척지]]와 [[남양호]]가 생겨났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50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농지확보를 목적으로 마련된 평택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에 따라 [[아산방조제]]와 함께 1971년 3월 23일 착공되어 1973년 12월 20일 끝막이 공사를 마치고 1974년 5월 22일 준공되었다.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토목공사는 1976년 11월에 끝났다. 방조제와 함께 [[남양만|남양간척지]]와 [[남양호]]가 생겨났다. 관리기관은 [[한국농어촌공사]]이다.<br/>
 +
농지확보를 위해 건설되어 식량증산에 이바지하였으나, 환경보호단체로부터 바다 생태계를 파괴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매립한 지역이 수많은 생물종을 보유한 갯벌이었고, 만입(灣入)이 많고 복잡한 해안선을 단순하게 만들어서 급격한 생태 변화를 초래하였기 때문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50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아산방조제===
 
===아산방조제===
[[아산방조제]]는 남양방조제와 함께 세계은행차관으로 우리 나라 최초로 조성된 또 하나의 방조제이다. 두 방조제는 서해안지역의 [[대단위농업개발사업]]의 효시가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아산방조제]]는 남양방조제와 함께 우리 나라 최초로 세계은행차관으로 조성된 방조제이다. 두 방조제는 서해안지역의 [[대단위농업개발사업]]의 효시가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100/C100.htm "아산방조제"(박광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100/C10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아산방조제]] || [[평택항]]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남양방조제]] || [[한국농어촌공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남양방조제]] || [[남양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아산방조제]] || [[남양방조제]]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남양방조제]] || [[남양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남양방조제]] || [[아산방조제]]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남양방조제]] || [[극동건설]] ||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 A dcterms:constructor B
 
|-
 
|-
 
| [[박광진-아산방조제]] ||[[아산방조제]]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박광진-아산방조제]] ||[[아산방조제]]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아산방조제]] || [[극동건설]] ||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 A dcterms:constructor B
 
 
|}
 
|}
  
46번째 줄: 58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Lda2TOIgrj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Lda2TOIgrj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대한뉴스 제 964호-아산만의 댐 건설(게시일: 2016년 12월 7일)'''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fFlKEDqXjL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58번째 줄: 66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웹 자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336 아산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건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336 아산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건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003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2월 2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0378 아산만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50 남양방조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2017년 12월 26일 (화) 23:42 기준 최신판

남양방조제(南陽防潮堤)
오건환, "남양방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2월 2일.
대표명칭 남양방조제
한자표기 南陽防潮堤
이칭 남양만방조제(南陽灣防潮堤)
주소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관련장소 아산방조제,남양만,남양호


정의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화성시 우정읍 사이에 있는 남양만 하구를 막은 방조제이다.[1]

내용

농지확보를 목적으로 마련된 평택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에 따라 아산방조제와 함께 1971년 3월 23일 착공되어 1973년 12월 20일 끝막이 공사를 마치고 1974년 5월 22일 준공되었다.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토목공사는 1976년 11월에 끝났다. 방조제와 함께 남양간척지남양호가 생겨났다. 관리기관은 한국농어촌공사이다.
농지확보를 위해 건설되어 식량증산에 이바지하였으나, 환경보호단체로부터 바다 생태계를 파괴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매립한 지역이 수많은 생물종을 보유한 갯벌이었고, 만입(灣入)이 많고 복잡한 해안선을 단순하게 만들어서 급격한 생태 변화를 초래하였기 때문이다.[2]

아산방조제

아산방조제는 남양방조제와 함께 우리 나라 최초로 세계은행차관으로 조성된 방조제이다. 두 방조제는 서해안지역의 대단위농업개발사업의 효시가 되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남양방조제 한국농어촌공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양방조제 남양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양방조제 남양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양방조제 아산방조제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남양방조제 극동건설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A dcterms:constructor B
박광진-아산방조제 아산방조제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984호-아산,남양 방조제 준공(게시일: 2016년 12월 7일)

주석

  1. 오건환, "남양방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2월 2일.
  2. "남양방조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남양방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오건환, "아산방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건환, "남양방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2월 2일.
    • "남양방조제",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