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시성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일러 삽입예정
 
 
 
{{사건정보
 
{{사건정보
|사진=
+
|사진=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사수대첩
+
|대표명칭=안시성전투
|한자표기=蛇水大捷
+
|한자표기=安市城戰鬪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이칭=
 
|유형=전투
 
|유형=전투
 
|시대=삼국
 
|시대=삼국
|날짜=662년
+
|날짜=645년 6월 20일 ~ 645년 9월 18일
|관련인물=[[연개소문]],[[방효태]]
+
|관련인물=[[양만춘]],[[연개소문]]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합장강|사수]]
+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안시성]]
 
}}
 
}}
  
 
=='''정의'''==
 
=='''정의'''==
662년 [[합장강|사수]] 유역에서 고구려와 당나라가 벌인 전투.<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645년([[고구려 보장왕]] 4), 고구려가 당나라 군대와 안시성에서 벌인 공방전을 가리킨다.<ref>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8 안시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배경===
+
===발단(643-644년)===
당나라는 태종(太宗) 때인 644년과 647년 두 차례에 걸쳐 고구려를 침공했으나 모두 크게 패했고, 649년 태종이 죽은 뒤에는 한동안 고구려를 침공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660년 신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다시 고구려를 침공했다.<br/>
+
643년 고구려와 백제를 정벌하라는 신라의 요청을 받은 당나라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차후 신라를 침범하지 말도록 권유하였다. 그러나 고구려가 이에 불응하자 [[연개소문]](淵蓋蘇文)[[고구려 영류왕|영류왕]](榮留王)살해하고 대신(大臣)들을 학살한 사건을 문책하겠다는 빌미로 644년 11월 [[당나라 태종|당 태종]]이 친솔(親率)한 10만 고구려 원정군을 일으켰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430 안시성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당나라 고종(高宗)은 660년(보장왕 19년) 11월에 이어 661년(보장왕 20년) 봄 4만4천여 명의 병사를 고구려에 추가 파병했다. 나아가 여름 4월에는 [[임아상]](任雅相)을 패강도행군총관, [[계필하력]]을 요동도행군총관, [[소정방]]을 평양도행군총관으로 삼아서, 35만의 병력을 이끌고 수륙으로 길을 나누어 동시에 고구려를 공격하게 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전개(645년)===
===전개===
+
645년 4월부터 [[개모성]](蓋牟城:瀋陽 동남쪽), [[비사성]](卑沙城), [[요양]](遼陽), [[백암성]](白巖城)을 차례로 점령한 당군은 6월에는 [[안시성]]을 공략하기 위해 진격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북부욕살(北部褥薩) [[고연수]](高延壽), 남부욕살 [[고혜진]](高惠眞)을 대장으로 한 15만의 군사를 [[안시성]]에 보냈다. 많은 군사에 [[당나라 태종|당 태종]]은 두려워하며 기만 전술을 펼쳤다. '당은 교전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왕을 시해한 신하를 문죄하는 것이므로 고구려가 신하의 예를 다하면 잃은 땅도 회복될 것'이라고 두 사람을 속였다. [[고연수]]가 이 말을 믿고 있다가 공격해 온 당나라 군에 대패하여 3만여 명이 전사하고 [[고연수]]와 [[고혜진]]은 항복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430 안시성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br/>
[[소정방]]이 이끈 평양도행군의 병력은 661년 가을 8월에 [[대동강|패강]](浿江)에서 고구려군에 승리를 거두어 [[마읍산]](馬邑山)을 점령하고 [[평양성]]을 포위했다. 당나라 군대가 요동 방면으로도 침공해오자 9월에 [[연개소문]]은 아들인 [[연남생]](淵男生)을 보내 [[압록강]]을 경계로 당나라 군대를 막게 했다. [[연남생]]당나라 군대의 도하를 저지하였으나, 겨울이 되어 강이 얼자 계필하력이 이끈 당나라 군대는 얼음 위로 강을 건너 공격해왔다. 고구려군은 패했고 3만여 명의 병사를 잃었으나, [[계필하력]]이 이끈 요동도행군 병력은 곧 물러났다.<br/>
+
이에 고무된 [[당나라 태종|당 태종]]은 [[이세적]](李世勣)을 시켜 [[안시성]]에 대한 총공격을 개시하였다. 그 휘하 장수 [[도종]](道宗)은 먼저 많은 군사를 동원하여 [[안시성]] 남쪽에 토산(土山)을 쌓아올려 점점 성높이와 같게 하였으나 성 안에서도 이에 따라 성을 높여 막았다. 당군이 하루에 6∼7차례 [[충거]](衝車 :큰 나무로 성에 충격을 주는 攻城器), [[포거]](抛車:돌을 날리는 공성기) 등을 동원, 성을 파괴하면 성 안에서는 곧 목책을 세워 이를 보완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430 안시성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br/>
그러자 [[연개소문]]이 이끈 고구려 군대는 662년 봄 정월에 [[합장강|사수]] 유역에 주둔하던 당나라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전멸했으며, [[방효태]]도 그의 열세 명의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이에 [[도종]]은 연인원 50만을 동원하여 60일에 걸쳐 [[안시성]]보다 훨씬 높은 토산을 쌓는 데 성공하였다. 당군은 [[부복애]](傅伏愛)를 대장으로 하는 부대에게 토산의 정상에 올라 수비하게 했다. 그런데 갑자기 토산이 무너지며 성에서 고구려군이 쏟아져 나와 토산을 탈취하였다. 당군은 토산을 탈환하려고 3일 동안 공격을 계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9월에 이르러 날씨가 추워지고 병마(兵馬)양식도 떨어져  [[당나라 태종|당 태종]]은 할 수 없이 철군하기로 결정하였다. 야사(野史)에는 당시 [[안시성]] 성주의 이름이 [[양만춘]](楊萬春 또는 梁萬春)이라고 전하나 정사(正史)에는 수록되지 않았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430 안시성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결과===
 
사수 전투에서 [[방효태]]의 군대가 전멸되자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의 군대는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의 군량 지원을 받고 철수하였다.<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88%98_%EC%A0%84%ED%88%AC 사수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6월 28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5/C005.htm "연개소문의 사수싸움"(정영렬)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안시성싸움"(박창돈)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5/C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43번째 줄: 39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합장강|사수]]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안시성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양만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안시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양만춘]] || [[안시성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사수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도종]] || [[안시성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연개소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부복애]] || [[안시성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사수대첩]] || [[합장강|사수]]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도종]] || [[양만춘]]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연개소문]] || [[사수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부복애]] || [[양만춘]]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연개소문]]|| [[임아상]] ||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안시성전투]] || [[안시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연개소문]]|| [[방효태]]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포거]]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충거]]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65번째 줄: 69번째 줄:
  
 
===영상===
 
===영상===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05094&cid=51704&categoryId=51711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안시성 전투]'''
  
 
=='''주석'''==
 
=='''주석'''==
71번째 줄: 76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430 안시성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88%98_%EC%A0%84%ED%88%AC 사수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6월 28일.
+
#*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8 안시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72 연개소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323&content_id=cp020813230001&search_left_menu=4 안시성(安市城) 전투]",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3980 연개소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0076&content_id=cp020800760001&search_left_menu=7 안시성 전투]",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누/수정요망]]
 

2017년 12월 26일 (화) 23:18 기준 최신판

안시성전투(安市城戰鬪)
민족팀 일러 성전투.png
대표명칭 안시성전투
한자표기 安市城戰鬪
유형 전투
시대 삼국
날짜 645년 6월 20일 ~ 645년 9월 18일
관련인물 양만춘,연개소문
관련유물유적 안시성



정의

645년(고구려 보장왕 4), 고구려가 당나라 군대와 안시성에서 벌인 공방전을 가리킨다.[1]

내용

발단(643-644년)

643년 고구려와 백제를 정벌하라는 신라의 요청을 받은 당나라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차후 신라를 침범하지 말도록 권유하였다. 그러나 고구려가 이에 불응하자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榮留王)을 살해하고 대신(大臣)들을 학살한 사건을 문책하겠다는 빌미로 644년 11월 당 태종이 친솔(親率)한 10만 고구려 원정군을 일으켰다.[2]

전개(645년)

645년 4월부터 개모성(蓋牟城:瀋陽 동남쪽), 비사성(卑沙城), 요양(遼陽), 백암성(白巖城)을 차례로 점령한 당군은 6월에는 안시성을 공략하기 위해 진격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북부욕살(北部褥薩) 고연수(高延壽), 남부욕살 고혜진(高惠眞)을 대장으로 한 15만의 군사를 안시성에 보냈다. 많은 군사에 당 태종은 두려워하며 기만 전술을 펼쳤다. '당은 교전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왕을 시해한 신하를 문죄하는 것이므로 고구려가 신하의 예를 다하면 잃은 땅도 회복될 것'이라고 두 사람을 속였다. 고연수가 이 말을 믿고 있다가 공격해 온 당나라 군에 대패하여 3만여 명이 전사하고 고연수고혜진은 항복하였다.[3]
이에 고무된 당 태종이세적(李世勣)을 시켜 안시성에 대한 총공격을 개시하였다. 그 휘하 장수 도종(道宗)은 먼저 많은 군사를 동원하여 안시성 남쪽에 토산(土山)을 쌓아올려 점점 성높이와 같게 하였으나 성 안에서도 이에 따라 성을 높여 막았다. 당군이 하루에 6∼7차례 충거(衝車 :큰 나무로 성에 충격을 주는 攻城器), 포거(抛車:돌을 날리는 공성기) 등을 동원, 성을 파괴하면 성 안에서는 곧 목책을 세워 이를 보완하였다.[4]
이에 도종은 연인원 50만을 동원하여 60일에 걸쳐 안시성보다 훨씬 높은 토산을 쌓는 데 성공하였다. 당군은 부복애(傅伏愛)를 대장으로 하는 부대에게 토산의 정상에 올라 수비하게 했다. 그런데 갑자기 토산이 무너지며 성에서 고구려군이 쏟아져 나와 토산을 탈취하였다. 당군은 토산을 탈환하려고 3일 동안 공격을 계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9월에 이르러 날씨가 추워지고 병마(兵馬)의 양식도 떨어져 당 태종은 할 수 없이 철군하기로 결정하였다. 야사(野史)에는 당시 안시성 성주의 이름이 양만춘(楊萬春 또는 梁萬春)이라고 전하나 정사(正史)에는 수록되지 않았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창돈-안시성싸움 안시성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창돈-안시성싸움 양만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창돈-안시성싸움 안시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양만춘 안시성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도종 안시성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부복애 안시성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도종 양만춘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부복애 양만춘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안시성전투 안시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포거 안시성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충거 안시성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서영대, "안시성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안시성싸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안시성싸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안시성싸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안시성싸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안시성싸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서영대, "안시성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1. "안시성(安市城) 전투",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 "안시성 전투",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