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조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유용한 정보) |
(→참고문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건정보 | {{사건정보 | ||
− | |사진= | + | |사진=민족_일러_을사조약.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을사조약 | |대표명칭=을사조약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 + |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이다.<ref>조항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958 을사조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대한제국(大韓帝國, 이하 한국)을 강압해 체결한 조약으로 공식명칭은 한일협상조약(韓日協商條約)이다. |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대한제국(大韓帝國, 이하 한국)을 강압해 체결한 조약으로 공식명칭은 한일협상조약(韓日協商條約)이다. | ||
===조약 내용=== | ===조약 내용=== | ||
− | 모두 5개조의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한국의 식민화를 위해 외교권을 | + | 모두 5개조의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한국의 식민화를 위해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統監府)와 [[이사청]](理事廳)을 두어 내정(內政)을 장악하는 데 있다. 조약의 체결로 대한제국은 명목상으로는 보호국이나 사실상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가 되었다. 을사조약을 기초로 개항장과 13개의 주요 도시에 이사청이, 11개의 도시에 지청(支廳)이 설치되어 일본의 식민지 지배의 기초가 마련되었으며, [[통감부]]는 병력 동원권과 시정 감독권 등을 보유한 최고 권력 기관으로 군림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603 을사조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ref> | </ref> | ||
===반대 투쟁=== | ===반대 투쟁=== | ||
− | 을사조약에 대한 반대투쟁도 각지에서 활발히 벌어졌다. [[이한응]](李漢應)은 제1차 한일협약 이후 강대국들이 일제의 이익을 대변하며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데 항의하다가 자결하여 애국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 + | 을사조약에 대한 반대투쟁도 각지에서 활발히 벌어졌다. [[이한응]](李漢應)은 제1차 한일협약 이후 강대국들이 일제의 이익을 대변하며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데 항의하다가 자결하여 애국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이어 [[민영환]](閉泳煥), [[조병세]](趙秉世), [[홍만식]](洪萬植), [[이상철]](李相哲), [[김봉학]](金奉學) 등이 을사조약 체결에 죽음으로 항거하였으며, [[민종식]](閔宗植), [[최익현]](崔益鉉), [[신돌석]](申乭石), [[유인석]](柳麟錫) 등은 일본에 저항하는 의병(義兵)을 일으켰다. [[헤이그]]에 [[헤이그 밀사|밀사]](密使)를 파견하는 등 을사조약이 강압에 의한 무효임을 알리는 외교 활동도 전개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603 을사조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ref> | </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9/C049.htm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이의주)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9/C049.htm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이의주) 지식관계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48번째 줄: | 35번째 줄: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9/C04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9/C04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5/C045.htm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손수광)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6/C046.htm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박영선)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1/C051.htm "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장리석)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2/C042.htm "홍주성수복"(장리석)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82번째 줄: | 68번째 줄: | ||
| [[을사조약]] || [[을사오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을사조약]] || [[을사오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105번째 줄: | 90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
− |
2017년 12월 26일 (화) 23:16 기준 최신판
을사조약(乙巳條約) | |
대표명칭 | 을사조약 |
---|---|
한자표기 | 乙巳條約 |
이칭 | 한일협상조약, 제2차한일협약, 을사5조약, 을사늑약 |
유형 | 조약 |
시대 | 근대 |
날짜 | 1905년 11월 17일 |
관련인물 | 최익현,민영환,이완용 |
목차
정의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이다.[1]
내용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대한제국(大韓帝國, 이하 한국)을 강압해 체결한 조약으로 공식명칭은 한일협상조약(韓日協商條約)이다.
조약 내용
모두 5개조의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한국의 식민화를 위해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統監府)와 이사청(理事廳)을 두어 내정(內政)을 장악하는 데 있다. 조약의 체결로 대한제국은 명목상으로는 보호국이나 사실상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가 되었다. 을사조약을 기초로 개항장과 13개의 주요 도시에 이사청이, 11개의 도시에 지청(支廳)이 설치되어 일본의 식민지 지배의 기초가 마련되었으며, 통감부는 병력 동원권과 시정 감독권 등을 보유한 최고 권력 기관으로 군림하였다.[2]
반대 투쟁
을사조약에 대한 반대투쟁도 각지에서 활발히 벌어졌다. 이한응(李漢應)은 제1차 한일협약 이후 강대국들이 일제의 이익을 대변하며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데 항의하다가 자결하여 애국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이어 민영환(閉泳煥), 조병세(趙秉世), 홍만식(洪萬植), 이상철(李相哲), 김봉학(金奉學) 등이 을사조약 체결에 죽음으로 항거하였으며, 민종식(閔宗植), 최익현(崔益鉉), 신돌석(申乭石), 유인석(柳麟錫) 등은 일본에 저항하는 의병(義兵)을 일으켰다. 헤이그에 밀사(密使)를 파견하는 등 을사조약이 강압에 의한 무효임을 알리는 외교 활동도 전개되었다.[3]
지식 관계망
-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손수광) 지식관계망
-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박영선) 지식관계망
- "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장리석) 지식관계망
- "홍주성수복"(장리석)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을사조약 | 최익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민영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조병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이한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홍만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이상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김봉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민종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신돌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유인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헤이그 밀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사조약 | 을사오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조항래, "을사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을사조약",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을사조약",
『doopedia』online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