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수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정보
 
{{사건정보
|사진=
+
|사진=민족_일러_강전투1.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살수대첩
 
|대표명칭=살수대첩
17번째 줄: 17번째 줄:
  
 
=='''정의'''==
 
=='''정의'''==
612년(영양왕 23) 중국 수(隋)나라의 군대를 고구려가 [[살수]](薩水)에서 크게 격파한 싸움.<ref>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612년([[고구려 영양왕]] 23)에 침공해온 중국 수(隋)나라의 군대를 고구려가 평안도 [[청천강|살수]](薩水)에서 크게 격파한 싸움이다.<ref>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배경===
+
===전개===
수(隋)나라가 남북조(南北朝)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여 중국을 통일하고 있을 때, 고구려는 수나라가 동쪽으로 신장(伸長)해 올 것을 예견하여 그에 대비하고 있었다. [[고구려 영양왕]]은 598년 [[말갈족]](靺鞨族)을 거느리고 수나라의 요서(遼西)지방을 공격하였는데, 이것은 수나라의 침입에 대비하여 전략상의 요지를 선점(先占)하기 위한 작전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에 당시 수나라의 [[수나라 문제|문제]](文帝)는 대군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치려다가 갑작스러운 천변지이(天變地異)로 진군을 중지하였다. 문제의 뒤를 이은 [[수나라 양제|양제]] 때 고구려는 수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돌궐]](突厥)과 상통(相通)하고 있었는데, 이것이 수로 하여금 고구려를 공격하는 빌미가 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393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수나라 양제]]는 612년 1월 113만 3800명의 대군을 거느리고 고구려에 침입하였다. 공격하는 군사 중 수군(水軍)은 바다를 건너 [[대동강]](大同江)으로 쳐들어와 [[평양성]]을 공격하였으나 고구려군에게 대패(大敗)하였다. 한편 [[수나라 양제|수 양제]]가 친히 거느린 육군 1개 부대는 고구려의 [[요동성]](遼東城)을 포위공격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초조한 수군(隋軍)은 별동대(別動隊) 30만 5000명을 압록강 서쪽에 집결시켜 곧바로 [[평양성]]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그들의 계략을 눈치챈 고구려 [[을지문덕]](乙支文德)의 유도작전에 걸려들어 [[청천강|살수]](薩水), [[압록강]]을 건너 [[평양성]] 부근까지 깊숙이 쳐들어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393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경과===
 
[[수나라 양제]]는 612년 1월 113만 3800명의 대군을 거느리고 고구려에 침입하였다. 공격하는 군사 중 수군(水軍)은 바다를 건너 [[대동강]](大同江)으로 쳐들어와 [[평양성]]을 공격하였으나 고구려군에게 대패(大敗)하였다. 한편 [[수나라 양제|수 양제]]가 친히 거느린 육군의 1개 부대는 고구려의 [[요동성]](遼東城)을 포위공격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게 되자, 초조한 수군(隋軍)은 별동대(別動隊) 30만 5000명을 압록강 서쪽에 집결시켜 곧바로 [[평양성]]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으나, 그들의 계략을 눈치챈 고구려의 [[을지문덕]](乙支文德)의 유도작전에 걸려들어 [[청천강|살수]](薩水), [[압록강]]을 건너 [[평양성]] 부근까지 깊숙이 쳐들어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393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을지문덕의 활약===
 
===을지문덕의 활약===
이때 [[을지문덕]]은 수군에게 거짓 항복하여 적진(敵陣)에 들어가 그들의 허실(虛實)을 탐지하고 돌아온 뒤 그의 유도작전에 걸려들어 [[평양성]] 부근까지 침입한 수군의 대장인 [[우중문]](于仲文)에게 1편의 시(詩)를 지어 보내 그의 어리석음을 비꼬았다.  
+
이때 [[을지문덕]]은 수군에게 거짓 항복하여 적진(敵陣)에 들어가 그들의 허실(虛實)을 탐지하고 돌아온다. 그 후 [[을지문덕]]은 유도작전에 걸려들어 [[평양성]] 부근까지 침입한 수군의 대장인 [[우중문]](于仲文)에게 1편의 시(詩)를 지어 보내 그의 어리석음을 비꼬았다.  
 
{{Blockquote|귀신 같은 꾀는 천문을 구명하고 신묘한 셈은 지리에 통달했네. 전승의 공은 이미 높으니 만족함을 알았으면 그치기를 바라오<br/>神策究天文妙算窮地理戰勝功旣高知足願云止|출처="[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607 을지문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Blockquote|귀신 같은 꾀는 천문을 구명하고 신묘한 셈은 지리에 통달했네. 전승의 공은 이미 높으니 만족함을 알았으면 그치기를 바라오<br/>神策究天文妙算窮地理戰勝功旣高知足願云止|출처="[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607 을지문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수군은 고구려에게 속은 줄 알고 황급히 다시 북쪽으로 퇴각하기 시작하였으나, [[을지문덕]]은 수군이 살수를 반쯤 건널 때를 기다렸다가 공격을 감행하였다. 살수대첩에서 수군이 크게 패하여 살아 돌아간 자는 몇 천명에 불과할 정도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393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수군은 고구려에게 속은 줄 알고 황급히 다시 북쪽으로 퇴각하기 시작하였으나, 고구려군은 수군이 살수를 반쯤 건널 때를 기다렸다가 공격을 감행하였다. 살수대첩에서 살아 돌아간 수나라 병사는 몇 천명에 불과할 정도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393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의의와 평가===
 
===의의와 평가===
이 전쟁에서 수나라는 막대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겨우 고구려의 요하 서쪽 전진기지인 [[무려라]](武厲邏 : 지금의 新民 동북 遼濱塔)를 장악하는데 불과하였다. 이러한 참패를 만회하기 위해 613년과 614년에 거듭 고구려를 침공했지만 모두 실패했고, 오히려 이로 말미암아 수나라 내부의 동요가 일어나 종말을 재촉하고 말았다.<br/>
+
막대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이 전쟁에서 수나라가 거둔 전적은 겨우 고구려의 요하 서쪽 전진기지인 [[무려라]](武厲邏 : 지금의 新民 동북 遼濱塔)를 장악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참패를 만회하기 위해 수는 613년과 614년에 거듭 고구려를 침공했지만 모두 실패했고, 오히려 이로 말미암아 수나라 내부의 동요가 일어나 종말을 재촉하고 말았다.<br/>
한편, 고구려도 거듭되는 수나라의 침공을 격퇴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위치를 신장시켰으나, 많은 국력의 소모로 뒷날 멸망에 이르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었다. <ref>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한편, 고구려 역시 거듭되는 수나라의 침공을 격퇴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위치를 신장시켰으나, 많은 국력의 소모로 뒷날 멸망에 이르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었다. <ref>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62번째 줄: 60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파일:살수대첩.JPG|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그림<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파일:살수대첩2.JPG|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그림<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파일:청천강.jpg|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진<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781 청천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gallery>
 
===영상===
 
===영상===
 +
*[http://tv.naver.com/v/1493756 고구려의 기습!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인용 및 참조'''==
+
=='''참고문헌'''==
#웹자원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영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415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393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393 살수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2017년 12월 26일 (화) 23:15 기준 최신판

살수대첩(薩水大捷)
민족 일러 강전투1.png
대표명칭 살수대첩
한자표기 薩水大捷
유형 전투
시대 삼국
날짜 612년
관련인물 을지문덕,우중문,우문술
관련장소 청천강



정의

612년(고구려 영양왕 23)에 침공해온 중국 수(隋)나라의 군대를 고구려가 평안도 살수(薩水)에서 크게 격파한 싸움이다.[1]

내용

전개

수나라 양제는 612년 1월 113만 3800명의 대군을 거느리고 고구려에 침입하였다. 공격하는 군사 중 수군(水軍)은 바다를 건너 대동강(大同江)으로 쳐들어와 평양성을 공격하였으나 고구려군에게 대패(大敗)하였다. 한편 수 양제가 친히 거느린 육군 1개 부대는 고구려의 요동성(遼東城)을 포위공격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초조한 수군(隋軍)은 별동대(別動隊) 30만 5000명을 압록강 서쪽에 집결시켜 곧바로 평양성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그들의 계략을 눈치챈 고구려 을지문덕(乙支文德)의 유도작전에 걸려들어 살수(薩水), 압록강을 건너 평양성 부근까지 깊숙이 쳐들어왔다.[2]

을지문덕의 활약

이때 을지문덕은 수군에게 거짓 항복하여 적진(敵陣)에 들어가 그들의 허실(虛實)을 탐지하고 돌아온다. 그 후 을지문덕은 유도작전에 걸려들어 평양성 부근까지 침입한 수군의 대장인 우중문(于仲文)에게 1편의 시(詩)를 지어 보내 그의 어리석음을 비꼬았다.

Quote-left.png 귀신 같은 꾀는 천문을 구명하고 신묘한 셈은 지리에 통달했네. 전승의 공은 이미 높으니 만족함을 알았으면 그치기를 바라오
神策究天文妙算窮地理戰勝功旣高知足願云止
Quote-right.png
출처: "을지문덕",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수군은 고구려에게 속은 줄 알고 황급히 다시 북쪽으로 퇴각하기 시작하였으나, 고구려군은 수군이 살수를 반쯤 건널 때를 기다렸다가 공격을 감행하였다. 살수대첩에서 살아 돌아간 수나라 병사는 몇 천명에 불과할 정도였다.[3]

의의와 평가

막대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이 전쟁에서 수나라가 거둔 전적은 겨우 고구려의 요하 서쪽 전진기지인 무려라(武厲邏 : 지금의 新民 동북 遼濱塔)를 장악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참패를 만회하기 위해 수는 613년과 614년에 거듭 고구려를 침공했지만 모두 실패했고, 오히려 이로 말미암아 수나라 내부의 동요가 일어나 종말을 재촉하고 말았다.
한편, 고구려 역시 거듭되는 수나라의 침공을 격퇴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위치를 신장시켰으나, 많은 국력의 소모로 뒷날 멸망에 이르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었다. [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각순-살수대첩 을지문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각순-살수대첩 살수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각순-살수대첩 살수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살수대첩 을지문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을지문덕 우중문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을지문덕 우중술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살수대첩 살수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서영대,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살수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살수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서영대,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서영대,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살수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유용한 정보

  1. "을지문덕",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김용만,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도서출판 창해, 2001. 온라인 참조:"살수대첩의 영웅 을지문덕",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네이버 백과사전』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