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광업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갤러리) |
(→참고문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단체정보 | {{단체정보 | ||
− | |사진= | + | |사진=민족_일러_탄광.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도계광업소 |
|한자표기=大韓石炭公社 道溪鑛業所 | |한자표기=大韓石炭公社 道溪鑛業所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에 있는 무연탄 | +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에 있는 무연탄 광산이다. |
=='''내용'''== | =='''내용'''== | ||
===설립=== | ===설립=== | ||
− | [[삼척탄전]] 북동단의 도계읍을 중심으로 하는 도계지구에 속하는 무연탄 광산으로,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삼척개발주식회사가 개광한 [[삼척탄광]]을 모태로 한다. [[삼척탄광]]은 광복 후 1950년에 출범한 대한석탄공사에 이관되었으며,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되었다. 이후 도계광업소는 1987년 도계갱과 동덕갱, 흥전갱, 나한갱, 점리갱 등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다가 1989년 [[석탄산업 합리화정책]]이 시행된 뒤 1990년 2월 점리갱이 | + | [[삼척탄전]] 북동단의 도계읍을 중심으로 하는 도계지구에 속하는 무연탄 광산으로,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삼척개발주식회사가 개광한 [[삼척탄광]]을 모태로 한다. [[삼척탄광]]은 광복 후 1950년에 출범한 대한석탄공사에 이관되었으며,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되었다. 이후 도계광업소는 1987년 도계갱과 동덕갱, 흥전갱, 나한갱, 점리갱 등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다가 1989년 [[석탄산업 합리화정책]]이 시행된 뒤 1990년 2월 점리갱이 폐쇄되었다. 1994년부터는 흥전갱과 나한갱이 통합되어 도계생산부·동덕생산부·중앙생산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6867 도계광업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탄광의 변화=== | ===탄광의 변화=== | ||
− | 1950년대 이후 상장탄광, 흥국탄광(지금의 경동광업소) 등과 함께 강원도 내 석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중요한 석탄 산지가 | + | 1950년대 이후 도계광업소는 상장탄광, 흥국탄광(지금의 경동광업소) 등과 함께 강원도 내 석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중요한 석탄 산지가 되었다. 1975년까지 서독에 파견하는 광부들의 훈련소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탄광을 중심으로 광산 취락도 발달하여 1950~1960년 사이에 인구가 세 배 이상 급증하였으며, 1963년에는 도계리가 도계읍으로 승격하였다. 1978년에는 흥전리에 3층 연립의 희망아파트가 건립되었는데, 이는 탄광촌 아파트형 사택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석탄 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광업소의 규모도 축소되고 탄광촌에도 공동화 현상이 진행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6867 도계광업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매장량=== | ===매장량=== | ||
− | 개광 이래 2014년까지 총 | + | 개광 이래 2014년까지 총 4,126만 9,787 톤을 생산하였으며, 2015년에는 32만 톤을 생산하였다. 2014년을 기준으로 16개 광구(총 면적 52.81㎢, 갱도 길이 130㎞)가 있으며, 이 가운데 6개 광구에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4개 광구는 채굴이 종료되었고, 나머지 6개 광구는 채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무연탄의 총 매장량은 4,700만 톤이며, 이 가운데 기술적·경제적으로 캐낼 수 있는 가채매장량은 2,900만 톤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6867 도계광업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0/C070.htm "장성광업소"(최덕휴)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70/C07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9/C069.htm "강원탄광"(문학진)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43번째 줄: | 51번째 줄: | ||
|-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우리나라 대표적인 탄광'''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28/C028.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1.jpg | 도계광업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1.jpg | 갱내(坑內)로 들어가는 광부들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4&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2.jpg | 갱내(坑內)에서 캔 석탄을 밖으로 운반하는 광부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3&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3.jpg | 갱내(坑內)에서 채탄(採炭)작업하는 광부들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5&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도계광업소 04.jpg | 광업소 소속 광부의 모습 <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6405&dsid=000000000002&gubun=search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f> | ||
</gallery> | </gallery> | ||
64번째 줄: | 8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 #* "[https://www.kocoal.or.kr/ 대한석탄공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s://www.kocoal.or.kr/ 대한석탄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석탄공사』<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503 도계탄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홍경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503 도계탄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6867 도계광업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6867 도계광업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2017년 12월 25일 (월) 02:34 기준 최신판
도계광업소(大韓石炭公社 道溪鑛業所) | |
대표명칭 | 도계광업소 |
---|---|
한자표기 | 大韓石炭公社 道溪鑛業所 |
유형 | 정부투자기관 |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 255 |
창립일 | 1936년 |
주요업무 | 석탄업 |
웹사이트 | 대한석탄공사 |
목차
정의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에 있는 무연탄 광산이다.
내용
설립
삼척탄전 북동단의 도계읍을 중심으로 하는 도계지구에 속하는 무연탄 광산으로,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삼척개발주식회사가 개광한 삼척탄광을 모태로 한다. 삼척탄광은 광복 후 1950년에 출범한 대한석탄공사에 이관되었으며,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되었다. 이후 도계광업소는 1987년 도계갱과 동덕갱, 흥전갱, 나한갱, 점리갱 등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다가 1989년 석탄산업 합리화정책이 시행된 뒤 1990년 2월 점리갱이 폐쇄되었다. 1994년부터는 흥전갱과 나한갱이 통합되어 도계생산부·동덕생산부·중앙생산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1]
탄광의 변화
1950년대 이후 도계광업소는 상장탄광, 흥국탄광(지금의 경동광업소) 등과 함께 강원도 내 석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중요한 석탄 산지가 되었다. 1975년까지 서독에 파견하는 광부들의 훈련소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탄광을 중심으로 광산 취락도 발달하여 1950~1960년 사이에 인구가 세 배 이상 급증하였으며, 1963년에는 도계리가 도계읍으로 승격하였다. 1978년에는 흥전리에 3층 연립의 희망아파트가 건립되었는데, 이는 탄광촌 아파트형 사택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석탄 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광업소의 규모도 축소되고 탄광촌에도 공동화 현상이 진행되었다.[2]
매장량
개광 이래 2014년까지 총 4,126만 9,787 톤을 생산하였으며, 2015년에는 32만 톤을 생산하였다. 2014년을 기준으로 16개 광구(총 면적 52.81㎢, 갱도 길이 130㎞)가 있으며, 이 가운데 6개 광구에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4개 광구는 채굴이 종료되었고, 나머지 6개 광구는 채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무연탄의 총 매장량은 4,700만 톤이며, 이 가운데 기술적·경제적으로 캐낼 수 있는 가채매장량은 2,900만 톤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대한석탄공사 | 도계광업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삼척탄광 | 도계광업소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공간정보
- 우리나라 대표적인 탄광
시각자료
갤러리
갱내(坑內)로 들어가는 광부들 모습 [4]
갱내(坑內)에서 캔 석탄을 밖으로 운반하는 광부 모습 [5]
갱내(坑內)에서 채탄(採炭)작업하는 광부들 모습 [6]
광업소 소속 광부의 모습 [7]
영상
- 중앙일보 - 여기는 지하 557m, '세상의 막장' 탄광 속을 기자가 직접 내려가봤더니(게시일: 2016년 6월 18일)
주석
- ↑ "도계광업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도계광업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도계광업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