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룡사 장육존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물유적정보 | {{유물유적정보 | ||
− | |사진= | + | |사진=민족기록화_문화유산_황룡사지_금당터.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경주 황룡사 장육존상 | |대표명칭=경주 황룡사 장육존상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신라삼보(新羅三寶)의 하나로 [[경주 황룡사|황룡사]]에 모셔져 | + | 신라삼보(新羅三寶)의 하나로 [[경주 황룡사|황룡사]]에 모셔져 있었다고 전해지는 불상.<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1940 신라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내용'''== | =='''내용'''== | ||
− | + | 장육존상(丈六尊像)은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황룡사 구층목탑]], [[신라 진평왕|진평왕]]이 하늘로부터 받았다는 허리띠와 함께 [[신라삼보]](新羅三寶)로 칭해진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왕]]이 황금과 부처상 하나, 보살상 둘의 모형을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워 보내면서 인연 있는 나라에서 장륙존(丈六尊)의 모습을 이루기를 축원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주조된 장육존상의 무게는 35,007근으로 황금 10,198푼이 들어갔고, 두 보살에는 철 12,000근과 황금 10,136푼이 들어갔다.<ref>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626&cid=49616&categoryId=49616 황룡사의 장륙존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 | |
완성된 세 불상은 황룡사 금당 안에 모셔졌지만, 1238년 몽고군의 침입으로 절이 불탈 때 함께 소실되었고 현재는 금당터에 자연석 대좌만이 남아 있다. | 완성된 세 불상은 황룡사 금당 안에 모셔졌지만, 1238년 몽고군의 침입으로 절이 불탈 때 함께 소실되었고 현재는 금당터에 자연석 대좌만이 남아 있다. | ||
81번째 줄: | 81번째 줄: | ||
|35.837947 || 129.232168 || [[경주 황룡사|황룡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경주 황룡사지|황룡사지]]에 있었다. | |35.837947 || 129.232168 || [[경주 황룡사|황룡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경주 황룡사지|황룡사지]]에 있었다.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89번째 줄: | 86번째 줄: | ||
<html>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html><br/> |
+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황룡사지_금당터.JPG|경주 황룡사지 금당 터.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황룡사 황룡사모형.JPG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모형.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황룡사_황룡사복원도.JPG| 경주 황룡사 복원도. | ||
+ | </gallery> | ||
+ | |||
===영상=== | ===영상=== | ||
99번째 줄: | 103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1940 신라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1940 신라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626&cid=49616&categoryId=49616 황룡사의 장륙존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626&cid=49616&categoryId=49616 황룡사의 장륙존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106번째 줄: | 110번째 줄: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759 경주 황룡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759 경주 황룡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조유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31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유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31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6 황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6 황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2017년 12월 25일 (월) 02:13 기준 최신판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 (慶州 皇龍寺丈六尊像) |
|
대표명칭 |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 |
---|---|
한자표기 | 慶州 皇龍寺丈六尊像 |
유형 | 불상 |
시대 | 신라 |
관련인물 | 신라 진흥왕,아소카왕 |
관련유물유적 | 경주 황룡사,경주 황룡사지,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
목차
정의
신라삼보(新羅三寶)의 하나로 황룡사에 모셔져 있었다고 전해지는 불상.[1]
내용
장육존상(丈六尊像)은 황룡사 구층목탑, 진평왕이 하늘로부터 받았다는 허리띠와 함께 신라삼보(新羅三寶)로 칭해진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왕이 황금과 부처상 하나, 보살상 둘의 모형을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워 보내면서 인연 있는 나라에서 장륙존(丈六尊)의 모습을 이루기를 축원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주조된 장육존상의 무게는 35,007근으로 황금 10,198푼이 들어갔고, 두 보살에는 철 12,000근과 황금 10,136푼이 들어갔다.[2]
완성된 세 불상은 황룡사 금당 안에 모셔졌지만, 1238년 몽고군의 침입으로 절이 불탈 때 함께 소실되었고 현재는 금당터에 자연석 대좌만이 남아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룡사 장육존상 | 황룡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황룡사 장육존상 | 아소카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룡사 장육존상 | 삼국유사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황룡사 | 황룡사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룡사 구층목탑 | 황룡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황룡사 구층목탑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룡사 | 신라 진흥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룡사 | 아소카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태-황룡사의 조영 | 황룡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569년 | 신라 진흥왕이 황룡사를 건설하였다. |
574년 | 아소카왕이 삼존불상의 재료를 보냈다. |
645년 | 황룡사 구층목탑이 완공되었다. |
1238년 | 몽고의 침입으로 황룡사가 소실되었다. |
1976년 | 발굴조사가 시작되어 4만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837947 | 129.232168 | 황룡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신라삼보",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황룡사의 장륙존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경주 황룡사지",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조유전,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