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2
+
{{인물정보
|이미지 = KadhLogo2.gif
+
|사진= joseon_yangban_mid.png
|사진출처 =  
+
|사진출처=
|대표명 = 이시헌
+
|대표명칭= 이시헌
|한자명 = 李時憲
+
|한자표기= 李時憲
|이칭 = 자 숙도(叔度), 호 자이당(自怡堂), 매원(梅園)
+
|영문명칭=
|본관 =
+
|본관=
|생몰년 = 1803년~1860년
+
|이칭=
|출생지 =  
+
|시호=
|사망지 =  
+
|= 자이당(自怡堂), 매원(梅園)
|시대 = 조선  
+
|= 숙도(叔度)
|국적 =  
+
|생년= 1803년
|성격 =
+
|몰년= 1860년
|대표저서 =  
+
|출생지=
|대표직함 =  
+
|사망지=
|상훈 =  
+
|시대= 조선  
|관련사업기관 =  
+
|국적=
|유형 = 인물
+
|대표저서=
|필드수= 12
+
|대표직함=
 +
|배우자=
 +
|부= [[이덕휘]]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
 +
|유형=
 
}}
 
}}
 +
=='''정의'''==
 +
전라남도 강진에 위치한 [[백운동 별서정원]]의 5대 주인이다.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
=='''내용'''==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이덕휘_다산이차를요청한편지.jpg|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ref>김태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563335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ref><ref>기사에는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라고 잘못 나와있다</ref>
+
===[[백운동 별서정원]] 5대 동주===
</gallery>
+
이시헌은 [[백운동 별서정원]]의 4대 주인인 [[이덕휘]]의 아우 [[이석휘]]의 아들로,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던 [[이덕휘]]의 양아들이 되어 대를 이었다.<br/>
<br/><br/><br/><br/><br/><br/><br/><br/><br/><br/>
+
그는 [[백운동 별서정원]]의 중흥조라 할 만한 인물로, 선대의 문집과 행록을 펴내고, 집안에 전해오던 필묵들을 묶어 책자로 만듦으로써 [[백운동 별서정원]]의 역사를 오늘날 전하게 해주었다. 특히, 백운동에 전해온 각종 기록과 시문을 모아 이시헌이 엮은 『[[백운세수첩|백운세수첩(白雲世守帖)]]』에는 역대 명류들이 백운동 8영을 읊은 연작시가 다수 실려있고, 그의 문집 [[자이집|『자이집(自怡集)]]에는 백운동의 14경을 노래한 시를 비롯해 [[백운동 별서정원]]에서의 일상이 기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로, 자는 중부(仲孚), 호는 초의(草衣), 당호는 일지암(一枝庵), 법명은 의순(意恂)이다. 보통 초의선사라고 불린다.<br/>
 
전라남도 무안 출신으로, [[대흥사|대흥사(大興寺)]] 제13대 종사이며 [[다도(茶道)]]의 정립자이다. 그래서 초의를 다성(茶聖)이라 부른다.  
 
  
==내용==
+
===스승 [[정약용]]과의 인연===
1786년 전라남도 무안에서 출생하였으며 5세 때에 강변에서 놀다가 급류에 떨어져 죽을 고비에 다다랐을 때 부근을 지나는 승려가 건져주어 살게 되었다. 그 승려가 출가할 것을 권하여 16세에 [[나주 운흥사|나주 운흥사(雲興寺)]]에서 [[민성|민성(敏聖)]]의 제자가 되었으며 승려가 되었다.<br/>
+
[[정약용]]은 제자 [[의순]], [[윤동]]과 함께 1806년에 이어 1812년 [[월출산]] 등정을 시도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백운동 별서정원]]을 찾게 되었는데, 그 인연으로 이시헌은 [[정약용|다산]] 문하 막내 제자로 합류하여 [[정약용]]과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되었다.<br/>
22세 때부터 전국의 선지식(善知識)들을 찾아가 삼장(三藏)을 배우고 유학·도교 등 여러 교학에 통달하였으며, 범서(梵書)에도 능통하였다.<br/>
+
이시헌은 [[정약용|다산]]이 해배된 후 [[정약용|다산]]의 부탁으로 백운동 운당원 대숲에서 자생하는 찻잎을 채취해 세 번 찌고 세 번 덖는 삼증삼쇄 떡차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이는 현재 [[백운동 별서정원]] 인근에 형성된 [[설록다원강진]]으로까지 이어졌다.<br/>
그는 [[정약용|정약용(丁若鏞)]], [[홍현주|홍현주(洪顯周)]], [[김정희|김정희(金正喜)]], [[신위|신위(申緯)]]등과 교유하였는데, 초의는 [[정약용]]에게서 유학(儒學)시문(詩文)뿐 아니라, 제다법을 배웠고, 스승의 명에따라 [[백운동도|「백운동도」]][[다산도|「다산도」]]를 그렸는데, [[정약용]]은 초의의 그림과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하여 [[백운첩|『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br/>
+
이후 27년이 지난 1857년까지도 차를 만들어 스승의 아들인 [[정학연]]에게 보내며 친분을 유지하였다. 이는 1857년 11월 22일 [[정학연]]이 쓴 <백운산관에 보내는 [[정학연]]의 답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초의는 수행생활과 함께 차(茶)에 대한 조예가 깊었는데, 차서(茶書) [[동다송|『동다송(東茶頌)』]]을 저술하여 차를 재배, 법제하는 방법 등 다도의 이론적인 면이나 실제적인 면에서 크게 정리하고 발전시켰다. 초의는 [[다도]]에 대하여
+
{{Blockquote| ...보내온 글에 서폭 가득 넘치는 것은 온통 지난날을 말하고 우의를 얘기하는 말뿐이어서 펼쳐 읽는 동안 마음이 뭉클하여 맑은 눈물이 눈에 어리기까지 하였소. 다만 안타깝기는 그대가 이쪽으로 올라오지 못하고 나는 여유가 없어 이생에서 서로 만나 손을 잡아보기는 마치 까마귀의 머리가 희어지고 황하의 물이 맑아지는 것과 같다 하겠소. 그러니 이를 어찌하오...
"따는 데 그 묘(妙)를 다하고 만드는 데 그 정(精)을 다하고 물은 진수(眞水)를 얻고 끓임에 있어서 중정(中正)을 얻으면 체(體)와 신(神)서로 어울려 건실함과 신령함이 어우러진다. 이에 이르면 [[다도]]는 다하였다고 할 것이다."
+
|출처=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148-149쪽.}}
고 하였다. 즉 그에 의하면 정성스럽게 잘 만들어진 차로 좋은 물을 얻어 알맞게 잘 우러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4273&cid=42752&categoryId=42754 다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차생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br/>
+
이후 [[성근묵|과재(果齋) 성근묵(成近默)]]의 문인이 되어 중앙 학계와도 소통하였다.
또한 그는 1828년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다신전|『다신전(茶神傳)』]]을 저술하였는데, [[다신전]]은 찻잎따기, 차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br/>
 
평범한 일생을 통하여 선(禪)과 교(敎)를 겸하여 수도하고 중생을 제도하였으며,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대흥사]]의 동쪽 계곡으로 들어가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40여 년 동안 홀로 지관(止觀)을 닦고, [[다선삼매|다선삼매(茶禪三昧)]]에 들기도 하였다.<br/>
 
1866년 나이 80세, 법랍 65세로 입적하였다.
 
  
==시각자료==
+
=='''지식 관계망'''==
===사진===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의순_선사의영정.jpg|의순의 영정<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
 
</gallery>
 
<br/><br/><br/><br/><br/><br/><br/><br/><br/><br/>
 
===영상===
 
*'''[MBC] 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게시일: 2016년 5월)'''
 
 
<html>
 
<html>
<iframe src="https://player.vimeo.com/video/168606390?byline=0&portrait=0" width="640" height="480" frameborder="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p><a href="https://vimeo.com/168606390">mbc프라임 불탄일 특집_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a> from <a href="https://vimeo.com/ibsop">Youngin Koo</a> on <a href="https://vimeo.com">Vimeo</a>.</p>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정약용]]||[[의순]]||A는 B의 스승이다 ||  
+
| [[이덕휘]] || [[이시헌]] || A는 양자 B를 두었다 || A ekc:hasAdoptedHeir B
 
|-  
 
|-  
| [[의순]] || [[백운동도]] || A는 B를 그렸다 || 1812년
+
| [[이덕휘]] || [[정약용]] || A는 B와 같은 혈족이다 || A ekc:isLineageKinOf B
 
|-
 
|-
| [[의순]] || [[다산도]] || A는 B를 그렸다 || 1812년
+
| [[정약용]] || [[이시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정약용]] || [[정학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의순]] || [[다신전]] || A는 B를 저술하였다 ||1828년
+
| [[이시헌]] || [[정학연]] || A는 B와 같은 혈족이다 || A ekc:isLineageKinOf B
 
|-
 
|-
| [[의순]] ||  [[동다송]]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이시헌]]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의순]] || [[다선삼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백운동 별서정원]]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의순]]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812년 || {{PAGENAME}}이 [[백운동도]]를 그렸다
+
| [[백운세수첩]]|| [[이시헌]]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1812년 || {{PAGENAME}}이 [[다산도]]를 그렸다
+
| [[자이집]]|| [[이시헌]]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1828년 || {{PAGENAME}}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
| [[성근묵]] || [[이시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가상현실===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3/loadPanoScene.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34.7406953 ||126.7047464|| [[설록다원강진]]은 {{PAGENAME}}과 관련이 있다
+
</html><br/>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3/loadPanoScene.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참고문헌==
+
===갤러리===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76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이덕휘_다산이차를요청한편지.jpg|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ref>김태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563335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ref><ref>기사에는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라고 잘못 나와있다</ref>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4273&cid=42752&categoryId=42754 다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차생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백운동 별서정원 01.jpg|[[백운동 별서정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6193&cid=42752&categoryId=42754 초의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차생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파일:민족기록화_공간_설록다원강진_차밭_01.jpg|[[설록다원강진]] 전경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
</gallery>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조선]]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2017년 12월 22일 (금) 14:58 기준 최신판

이시헌(李時憲)
Joseon yangban mid.png
대표명칭 이시헌
한자표기 李時憲
생몰년 1803년-1860년
자이당(自怡堂), 매원(梅園)
숙도(叔度)
시대 조선
이덕휘


정의

전라남도 강진에 위치한 백운동 별서정원의 5대 주인이다.

내용

백운동 별서정원 5대 동주

이시헌은 백운동 별서정원의 4대 주인인 이덕휘의 아우 이석휘의 아들로,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던 이덕휘의 양아들이 되어 대를 이었다.
그는 백운동 별서정원의 중흥조라 할 만한 인물로, 선대의 문집과 행록을 펴내고, 집안에 전해오던 필묵들을 묶어 책자로 만듦으로써 백운동 별서정원의 역사를 오늘날 전하게 해주었다. 특히, 백운동에 전해온 각종 기록과 시문을 모아 이시헌이 엮은 『백운세수첩(白雲世守帖)』에는 역대 명류들이 백운동 8영을 읊은 연작시가 다수 실려있고, 그의 문집 『자이집(自怡集)』에는 백운동의 14경을 노래한 시를 비롯해 백운동 별서정원에서의 일상이 기록되어 있다.

스승 정약용과의 인연

정약용은 제자 의순, 윤동과 함께 1806년에 이어 1812년 월출산 등정을 시도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백운동 별서정원을 찾게 되었는데, 그 인연으로 이시헌은 다산 문하 막내 제자로 합류하여 정약용과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되었다.
이시헌은 다산이 해배된 후 다산의 부탁으로 백운동 운당원 대숲에서 자생하는 찻잎을 채취해 세 번 찌고 세 번 덖는 삼증삼쇄 떡차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이는 현재 백운동 별서정원 인근에 형성된 설록다원강진으로까지 이어졌다.
이후 27년이 지난 1857년까지도 차를 만들어 스승의 아들인 정학연에게 보내며 친분을 유지하였다. 이는 1857년 11월 22일 정학연이 쓴 <백운산관에 보내는 정학연의 답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Quote-left.png ...보내온 글에 서폭 가득 넘치는 것은 온통 지난날을 말하고 우의를 얘기하는 말뿐이어서 펼쳐 읽는 동안 마음이 뭉클하여 맑은 눈물이 눈에 어리기까지 하였소. 다만 안타깝기는 그대가 이쪽으로 올라오지 못하고 나는 여유가 없어 이생에서 서로 만나 손을 잡아보기는 마치 까마귀의 머리가 희어지고 황하의 물이 맑아지는 것과 같다 하겠소. 그러니 이를 어찌하오... Quote-right.png
출처: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148-149쪽.


이후 과재(果齋) 성근묵(成近默)의 문인이 되어 중앙 학계와도 소통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덕휘 이시헌 A는 양자 B를 두었다 A ekc:hasAdoptedHeir B
이덕휘 정약용 A는 B와 같은 혈족이다 A ekc:isLineageKinOf B
정약용 이시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약용 정학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시헌 정학연 A는 B와 같은 혈족이다 A ekc:isLineageKinOf B
이시헌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백운동 별서정원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백운세수첩 이시헌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자이집 이시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성근묵 이시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김태식,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
  2. 기사에는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라고 잘못 나와있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