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시각자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8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탑비정보
 
{{탑비정보
|사진=Honsustele.jpg
+
|사진=BHST Cheongnyongsaji Bogak stele.jpg
 
|대표명칭=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대표명칭=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영문=Stele for State Preceptor Bogakat Cheongnyongsa Temple Site, Chungju
+
|영문=Stele for State Preceptor Bogak at Cheongnyongsa Temple Site, Chungju
 
|한자=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한자=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이칭=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靑龍寺普覺國師定慧圓融塔碑)
 
|이칭=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靑龍寺普覺國師定慧圓融塔碑)
 
|지정번호=보물 제658호
 
|지정번호=보물 제658호
|지정일=1979.05.22
+
|지정일=1979년 05월 22일
 
|주소=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2번지
 
|주소=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2번지
 
|위도=37.132310
 
|위도=37.132310
 
|경도=127.840063
 
|경도=127.840063
 
|찬자=[[권근|권근(權近)]]
 
|찬자=[[권근|권근(權近)]]
|서자=천택<ref>서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비문을 판독 번역한 이지관은 서자 이름 부분이 결락되어 알 수 없다고 하였으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1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580000,33&flag=Y# 문화재청 문화재검색]의 설명에는 승려 천택이라 기술하고 있다.</ref>
+
|서자=[[천택|천택(天澤)]]
 
|각자=미상
 
|각자=미상
 
|승려=[[혼수|혼수(混修)]]
 
|승려=[[혼수|혼수(混修)]]
 
|승탑=[[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승탑=[[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필드수=14
+
|서체=해서(楷書)
 +
|건립연대=1394년
 
}}
 
}}
[[분류:수정/사진]]
 
  
 
=='''정의'''==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곡성 태안사|청룡사지(靑龍寺址)]]에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고승 [[혼수|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의 탑비.
+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충주 청룡사지|청룡사지(靑龍寺址)]]에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혼수|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 1320-1392)]]의 [[탑비]].
  
=='''탑비'''==
+
=='''내용'''==
전체높이 265.4cm, 비신높이 232.2cm, 너비 115.5cm, 두께 19.6cm.<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75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忠州靑龍寺普覺國師幻庵定慧圓融塔碑)",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 문화재청.]</ref>
+
===개요===
 +
이 비는 전체 높이 265.4cm, 비신 높이 232.2cm, 너비 115.5cm, 두께 19.6cm 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75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1394년([[조선 태조]] 3) 문인선사 [[희진|희달(希達)]]<ref>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 탑비를 세운 문인 선사가 희진(希進)인지 희달(希達)인지에 대해서 이견이 있다. 비의 한자를 다르게 판독한 결과로 보인다. 『조선금석총람』에서는 進으로 판독 하였으나, <html><online style="color:purple"><a h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580000,33&flag=Y#">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a><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a h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75">『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a><sup>online</sup></online></html> 등의 문화재 설명에서는 達로 판독하고 있다.</ref>이 [[조선 태조]]의 명을 받아 세운 것으로, [[권근|권근(權近)]]이 비문을 짓고 [[천택|천택(天澤)]]<ref>서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비문을 판독 번역한 이지관은 서자 이름 부분이 결락되어 알 수 없다고 하였으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1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580000,33&flag=Y# 문화재청 문화재검색]의 설명에는 승려 천택이라 기술하고 있다.</ref>이 글씨를 썼으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580000,33&flag=Y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보각국사지비(普覺國師之碑)'라는 [[제액|제액(題額)]]이 새겨져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587&cid=40942&categoryId=33383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륭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는 1장의 돌로 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돌이 서 있는데, 위로 머릿돌을 따로 얹지 않고, 몸돌 양 귀퉁이를 접듯이 깎아 마무리해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580000,33&flag=Y#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문화재검색, 문화재청.]</ref>
+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받침돌은 아무런 문양 없이 윗면에 2단각형의 괴임을 만들어 탑신을 받치고 있는 간결한 양식이다. 덮개돌 없이 비의 윗면 좌우 양측을 잘라낸 귀접이<ref>물건의 귀를 깎아 버리거나 접어 붙이는 일</ref> 형태의 비로서 한국 전통 양식의 석비 틀에서 벗어난 극히 간결한 수법의 석비이다.<ref>서동형,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2004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
+
1979년 보물 제658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580000,33&flag=Y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Blockquote|문인들이 부도 옆에 탑비를 세우기를 계획하고 스님의 제자인 만우로 하여금 행장을 짓게 하고 소안이 이를 갖고 가서 왕에게 아뢰었다. 그리하여 왕이 신 근(권근)에게 명하여 비문을 지으라고 하였다. ... (중략) ... 갑술년 3월  에 문인 선사 희진은 비를 세우고 문인인 선사 □□는 글자를 새기다.}}
 
  
비문은 [[권근|권근(權近)]]이 짓고 글씨는 승려 천택(天澤)이 썼으며, 문인(門人)[[희진|희진(希進)]]이 세우고, 각자의 이름은 마멸되어 알 수 없다. 1394년(태조 3) 3월에 건립되었다.  
+
===비문===
 +
비문은 [[혼수|보각국사(普覺國師)]]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혼수|보각국사]]는 어머니의 권유로 출가하여 22세에 [[승과|승과(僧科)]]에 급제한 후 금강산 등의 여러 명산을 두루 돌아다니며 수도하였다. 1370년([[고려 공민옹|공민왕]] 19) [[공부선장|공부선장(工夫選長)]]에 뽑혔으나 거절하였고, 그 뒤 왕의 청으로 [[내불당|내불당(內佛堂)]]에서 왕에게 법을 가르쳤다. 1383년([[고려 우왕|우왕]] 9)에 [[국사|국사(國師)]]가 되었으며, 1392년 73세로 [[충주 청룡사|청룡사(靑龍寺)]]에서 입적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75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ref>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19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글씨는 북위의 묘지명과 왕희지(王羲之), 그리고 우세남(虞世南) 등의 서풍들을 잘 융합하여 썼는데 필력이 뛰어나고, 결체가 조밀하여 빈틈이 없다. 또한 고박(古朴: 옛 풍미가 있어 질박함)과 신운(神韻: 신비롭고 고상한 운치)이 함께 어우러진 것으로서, 중국의 어느 명품에도 뒤지지 않을 만한 서격(書格)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전 조선시대에 걸쳐서도 이 비에 필적할 만한 글씨가 없을 정도로 뛰어나다.<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19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靑龍寺址普覺國師塔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문정보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75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비문3=
 +
}}
  
=='''가상현실'''==
+
=='''지식관계망'''==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지식관계망'''
[[분류:수정/사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3/stele_honsu_cheongny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련항목===
=='''갤러리'''==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분류:수정/사진]]
+
|-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혼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그래프'''==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30%"|node!!width="40%"|relation!!width="30%"|node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는 -를 위한 비이다 ||[[혼수]]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충주 청룡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는 -의 승탑이다 ||[[혼수]]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충주 청룡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는 -에 위치한다 ||[[충주 청룡사지]]
+
| [[충주 청룡사지]] || [[충주 청룡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권근]]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권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는 -에 포함된다 ||보물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천택]]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태조]]|| 는 -의 이름을 지었다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조선 태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각주'''==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3/Cheongny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3/Cheongnyongsaji.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갤러리===
 +
 
 +
===영상===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 이지관, "충주 청룡사 보각국사 환암 정혜원융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30-63쪽.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580000,33&flag=Y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75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忠州靑龍寺普覺國師幻庵定慧圓融塔碑)"],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19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靑龍寺址普覺國師塔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서동형,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2004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탑비]]
[[분류:전라남도 곡성군]]
+
[[분류:충청북도 충주시]]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보물]]
 
[[분류:보물]]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2월 21일 (목) 14:29 기준 최신판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BHST Cheongnyongsaji Bogak stele.jpg
대표명칭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자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이칭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靑龍寺普覺國師定慧圓融塔碑)
주소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2번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658호
문화재 지정일 1979년 05월 22일
찬자 권근(權近)
서자 천택(天澤)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승려 혼수(混修)
건립연대 1394년
승탑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靑龍寺址)에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 1320-1392)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전체 높이 265.4cm, 비신 높이 232.2cm, 너비 115.5cm, 두께 19.6cm 이다.[1] 1394년(조선 태조 3) 문인선사 희달(希達)[2]조선 태조의 명을 받아 세운 것으로, 권근(權近)이 비문을 짓고 천택(天澤)[3]이 글씨를 썼으며,[4] '보각국사지비(普覺國師之碑)'라는 제액(題額)이 새겨져있다.[5]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받침돌은 아무런 문양 없이 윗면에 2단각형의 괴임을 만들어 탑신을 받치고 있는 간결한 양식이다. 덮개돌 없이 비의 윗면 좌우 양측을 잘라낸 귀접이[6] 형태의 비로서 한국 전통 양식의 석비 틀에서 벗어난 극히 간결한 수법의 석비이다.[7]

1979년 보물 제658호로 지정되었다.[8]

비문

비문은 보각국사(普覺國師)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보각국사는 어머니의 권유로 출가하여 22세에 승과(僧科)에 급제한 후 금강산 등의 여러 명산을 두루 돌아다니며 수도하였다. 1370년(공민왕 19) 공부선장(工夫選長)에 뽑혔으나 거절하였고, 그 뒤 왕의 청으로 내불당(內佛堂)에서 왕에게 법을 가르쳤다. 1383년(우왕 9)에 국사(國師)가 되었으며, 1392년 73세로 청룡사(靑龍寺)에서 입적하였다.[9][10]


비문 보러가기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혼수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충주 청룡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충주 청룡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충주 청룡사지 충주 청룡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권근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천택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조선 태조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2.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 탑비를 세운 문인 선사가 희진(希進)인지 희달(希達)인지에 대해서 이견이 있다. 비의 한자를 다르게 판독한 결과로 보인다. 『조선금석총람』에서는 進으로 판독 하였으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online,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등의 문화재 설명에서는 達로 판독하고 있다.
  3. 서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비문을 판독 번역한 이지관은 서자 이름 부분이 결락되어 알 수 없다고 하였으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문화재청 문화재검색의 설명에는 승려 천택이라 기술하고 있다.
  4.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문화재 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륭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물건의 귀를 깎아 버리거나 접어 붙이는 일
  7. 서동형,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문화재 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9.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0. 선주선,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