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
도갑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영암 출신 수미왕사의 활동과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520000,36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 비는 1633년에 전라남도 영암에 세워진 도갑사묘각화상비(道岬寺妙覺和尙碑)이다.
 
묘각화상의 이름은 수미(守眉) 이고, 속성은 최씨이니 옛 낭주 출신이다. 어머니의 꿈에 이상한 사람으로부터 구슬을 전해받는 태몽을 꾸고 잉태하여 태어날 때에는 특이한 향기가 방 안에 가득하였다는 일화가 비문에 보인다.
 
조선시대의 불교사를 잘 알 수 있는 자료라고 하겠다.[금석문]
 
  
도갑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영암 출신 수미왕사의 활동과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 수미는 조선시대 승려로 13세에 출가하였고, 불교를 숭상했던 세조 임금이 그 스승(왕사)으로 모셨던 인물이다.
+
전체 높이 334㎝, 비몸 높이 200㎝, 너비 108㎝, 두께 21㎝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어있다. [[귀부|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이수(螭首)]]가 모두 갖추어진 비이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는 거북모양의 받침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일반적인 모습이다. 형식적으로 조각된 거북받침은 머리가 용의 머리처럼 바뀌었으나, 목이 짧다. 앞발과 뒷발의 발톱이 다섯개씩이다. 거북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이 매우 두껍게 조각되어 있다. 비몸 위에 놓인 머릿돌에는 섬세하게 조각된 구름 위로 중간과 양 모서리에 다투듯 뒤엉킨 두마리의 용을 새겨놓았다.
+
[[귀부]]의 머리는 용두화되었고 목이 짧으며, 입에는 여의주 없이 위 아래로 이빨을 맞대고 있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앞발과 뒷발의 발톱이 다섯 개씩 있으며, 거북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이 매우 두껍게 조각되어 있다. 비신 위에 놓인 [[이수]]에는 섬세하게 조각된 구름 위로 중간과 양 모서리에 뒤엉킨 두 마리의 용을 새겨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520000,36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선조 14년(1581)에 비가 넘어져 새로 세운 것으로, 인조 7년(1629)에 시작하여 인조 11년(1633)에 완성하였다. 전체적으로 조각의 솜씨와 비문의 필치가 섬세하고 우수한 작품으로, 17세기 초에 세운 석비로서는 특이하게도 고려시대 유행하였던 양식과 수법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눈길을 끈다. [문재]
 
  
 +
비의 앞면 상단에 ‘月出山道岬寺王師妙覺和尙碑銘(월출산도갑사왕사묘각화상비명)’을 [[전서|전서(篆書)]]로 썼고, 비문은 19행의 [[해서|해서체]]이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문의 끝에 ‘崇禎己巳二月日始癸酉六月日立(숭정기사2월일시계유6월일립)’이라 하여 이 비가 1629년([[조선 인조|인조]] 7) 2월에 시작하여 4년 후인 1633년([[조선 인조|인조]] 11) 6월에 세워졌음을 밝히고 있다. 비문은 [[성총|백암 성총(栢庵 性聰)]]이 짓고 썼다. 비신 뒷면에는 비 건립에 참여하였던 지방인사와 승려 등의 시주자들이 새겨져 있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
 
===비문===
 
 
{{비문정보
 
{{비문정보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viewer/viewer03.jsp 도갑사묘각화상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viewer/viewer03.jsp 도갑사묘각화상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46번째 줄: 42번째 줄:
 
|비문3=
 
|비문3=
 
}}
 
}}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묘각화상 수미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8/monk_su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60번째 줄: 63번째 줄: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가상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주석'''==
 
=='''주석'''==
65번째 줄: 7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조선총독부,『조선금석총람』하, 일한인쇄소, 1919.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726 도갑사묘각화상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742 금산사소요당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520000,36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7 도갑사수미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2017년 12월 21일 (목) 14:27 기준 최신판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靈巖 道岬寺 守眉王師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한자 靈巖 道岬寺 守眉王師碑
이칭 도갑사묘각화상비(道岬寺妙覺和尙碑)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6
문화재 지정번호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52호
문화재 지정일 1987년 06월 01일
찬자 성총(性聰)
서자 성총(性聰)
서체 해서(楷書)
승려 수미(守眉)
건립연대 1633년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道岬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려 묘각화상 수미(妙覺和尙 守眉)탑비.

내용

개요

도갑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영암 출신 수미왕사의 활동과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1]

전체 높이 334㎝, 비몸 높이 200㎝, 너비 108㎝, 두께 21㎝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어있다. 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螭首)가 모두 갖추어진 비이다.[2]

귀부의 머리는 용두화되었고 목이 짧으며, 입에는 여의주 없이 위 아래로 이빨을 맞대고 있다.[3] 앞발과 뒷발의 발톱이 다섯 개씩 있으며, 거북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이 매우 두껍게 조각되어 있다. 비신 위에 놓인 이수에는 섬세하게 조각된 구름 위로 중간과 양 모서리에 뒤엉킨 두 마리의 용을 새겨놓았다.[4]

비의 앞면 상단에 ‘月出山道岬寺王師妙覺和尙碑銘(월출산도갑사왕사묘각화상비명)’을 전서(篆書)로 썼고, 비문은 19행의 해서체이다.[5]

비문의 끝에 ‘崇禎己巳二月日始癸酉六月日立(숭정기사2월일시계유6월일립)’이라 하여 이 비가 1629년(인조 7) 2월에 시작하여 4년 후인 1633년(인조 11) 6월에 세워졌음을 밝히고 있다. 비문은 백암 성총(栢庵 性聰)이 짓고 썼다. 비신 뒷면에는 비 건립에 참여하였던 지방인사와 승려 등의 시주자들이 새겨져 있다.[6]

비문

비문 보러가기
"도갑사묘각화상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 관계망

  • 묘각화상 수미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수미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성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성총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주석

  1.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도갑사수미왕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최인선, "도갑사수미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