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암 도갑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상현실)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영암 도갑사는 신라 말기에 [[도선|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도갑사 자리에는 먼저 문수사라는 절이 있었고 어린 시절을 문수사에서 보낸 [[도선]]이 나중에 그 터에 절을 다시 지은 후 도갑사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고려 때 크게 번창하여 전성기를 누렸다고 하며, 1457년([[조선 세조|세조]] 3년) [[수미|수미대사(守眉大師)]]와 [[신미|신미대사(信眉大師)]]가 중건하였다. 1473년([[조선 성종|성종]] 4년)에 중수한 적이 있고 [[임진왜란]] 때 불탔으며 1776년([[조선 영조|영조]] 52년)에 다시 중수했다. 근래에도 [[한국전쟁]] 등으로 여러 차례 화재를 입었다. 현재의 [[영암 도갑사 대웅전|대웅전]]은 1980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49&cid=42840&categoryId=42849 도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영암 도갑사는 신라 말기에 [[도선|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도갑사 자리에는 먼저 문수사라는 절이 있었고 어린 시절을 문수사에서 보낸 [[도선]]이 나중에 그 터에 절을 다시 지은 후 도갑사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고려 때 크게 번창하여 전성기를 누렸다고 하며, 1457년([[조선 세조|세조]] 3년) [[수미|수미대사(守眉大師)]]와 [[신미|신미대사(信眉大師)]]가 중건하였다.  
  
도갑사는 966칸의 드넓은 사찰로 1,000여 명의 승려가 수도생활을 하고 부속 암자의 숫자만도 열두 곳에 이르는 대사찰이었다. 숭유억불 정책으로 대부분의 사찰이 승려 없는 빈 터만을 남기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상황이니 당시 이곳의 규모와 그 영향력을 실감하게 만드는 이야기다.<ref>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8339&cid=42865&categoryId=42865 도갑사]",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473년([[조선 성종|성종]] 4년)에 중수한 적이 있고 [[임진왜란]] 때 불탔으며 1776년([[조선 영조|영조]] 52년)에 다시 중수했다. 근래에도 [[한국전쟁]] 등으로 여러 차례 화재를 입었다. 현재의 [[영암 도갑사 대웅전|대웅전]]은 1980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49&cid=42840&categoryId=42849 도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전해지는 이야기===
+
조선시대에도 도갑사는 966칸의 드넓은 사찰로 1,000여 명의 승려가 수도생활을 하고 부속 암자의 숫자만도 열두 곳에 이르는 대사찰이었다. 숭유억불 정책으로 대부분의 사찰이 승려 없는 빈 터만을 남기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당시 이곳의 규모와 그 영향력을 실감할 수 있다.<ref>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8339&cid=42865&categoryId=42865 도갑사]",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 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79 도갑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관련이야기===
 +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 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79 도갑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8/stele_doseon-sumi_dogap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D018/monk_doseon.htm 선각국사 도선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D018/monk_sumi.htm 묘각화상 수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관련항목===
42번째 줄: 52번째 줄: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54번째 줄: 62번째 줄: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도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도선]],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수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이경석]], [[이수인]], [[정두경]]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정두경]]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시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도선]] || [[영암 도갑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도선]] || [[영암 도갑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영암 도갑사]] || [[수미]] || A는 B가 중창하였다 ||
 +
|-
 +
|[[영암 도갑사]] || [[신미]] || A는 B가 중창하였다 ||
 
|}
 
|}
  
84번째 줄: 103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800" height="5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6-10/site_01/site_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5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가상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영상===
 
===영상===

2017년 12월 21일 (목) 14:26 기준 최신판

영암 도갑사
(靈巖 道岬寺)
BHST Dogapsa.jpg
대표명칭 영암 도갑사
한자 靈巖 道岬寺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문화재 지정번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문화재 지정일 1984년 02월 29일
소유자 도갑사
관리자 도갑사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신라시대
창건자 도선
경내문화재 영암 도갑사 해탈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영암 도갑사 석조,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영암 도갑사 석장승,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月出山)에 있는 사찰로, 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의 말사.

내용

영암 도갑사는 신라 말기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도갑사 자리에는 먼저 문수사라는 절이 있었고 어린 시절을 문수사에서 보낸 도선이 나중에 그 터에 절을 다시 지은 후 도갑사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고려 때 크게 번창하여 전성기를 누렸다고 하며, 1457년(세조 3년) 수미대사(守眉大師)신미대사(信眉大師)가 중건하였다.

1473년(성종 4년)에 중수한 적이 있고 임진왜란 때 불탔으며 1776년(영조 52년)에 다시 중수했다. 근래에도 한국전쟁 등으로 여러 차례 화재를 입었다. 현재의 대웅전은 1980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1]

조선시대에도 도갑사는 966칸의 드넓은 사찰로 1,000여 명의 승려가 수도생활을 하고 부속 암자의 숫자만도 열두 곳에 이르는 대사찰이었다. 숭유억불 정책으로 대부분의 사찰이 승려 없는 빈 터만을 남기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당시 이곳의 규모와 그 영향력을 실감할 수 있다.[2]

관련이야기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 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3]

지식관계망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암 도갑사 해탈문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석조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석장승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영암 도갑사 A는 B에 있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도선 A는 B를 위한 비이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수미 A는 B를 위한 비이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이수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정두경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오준 A는 B가 비문을 썼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김시간 A는 B가 비문을 썼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김비 A는 B가 비문을 썼다
도선 영암 도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영암 도갑사 수미 A는 B가 중창하였다
영암 도갑사 신미 A는 B가 중창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80년 도선도갑사를 창건하였다.
1457년 수미도갑사를 중건하였다.
1653년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가 세워졌다.
1677년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가 세워졌다.
1984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주석

  1.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도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도갑사",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정병조, "도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최성렬, 「월출산 도갑사 사적비 건립의 제연기」, 『인문학 연구』32,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4, 265-290쪽.
  • 정병조, "도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도갑사",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도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