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석)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
+
|한자= 榮州 毘盧寺 眞空大師 普法塔碑
 
|이칭=  
 
|이칭=  
|지정번호=  
+
|지정번호=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4호
|지정일=  
+
|지정일= 1972년 12월 29일
|주소=  
+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391
|위도=  
+
|위도= 36.939083
|경도=  
+
|경도= 128.499140
|찬자=
+
|찬자= [[최언위|최인연(崔仁渷)]]
|서자=  
+
|서자= [[이환추|이환추(李桓樞)]]
|각자=  
+
|각자= [[최환규|최환규(崔煥規)]]
|서체=  
+
|서체= [[해서|해서(楷書)]]
|승려=
+
|승려= [[진공]]
|건립연대=  
+
|건립연대= 939년
 
|승탑=
 
|승탑=
 
}}
 
}}
  
 
=='''정의'''==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보령 성주사지|성주사지(聖住寺址)]]에 있는 통일신라 말의 승려 [[무염|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 801-888)]]의 [[탑비]].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영주 비로사|비로사(毘盧寺)]]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승려 [[진공|진공대사(眞空大師, 855-937)]]의 [[탑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
이 비는 높이 173㎝, 너비 102㎝, 두께 22㎝이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호로 [[비로사|비로사(毘盧寺)]] 안에 있는 [[진공|진공대사(眞空大師)]]의 탑비이다. [[진공|진공대사]]는 가야산 [[선융|선융(善融)]]의 제자가 되어 소백산에 절을 짓고 주지로 있다가, 937년([[고려 태조|태조]] 20)에 입적하였다. [[고려 태조|태조]]는 시호를 ‘진공대사(眞空大師)’라 하고, ‘보법(普法)’이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040000,37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비의 형태는 [[귀부|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산(山)모양의 머릿돌을 얹은 모습인데, 비몸이 갈라져 일부가 파손되었다. [[귀부|거북받침]]은 새겨진 조각이 얕아 둔해 보이며 등 중앙에 비를 꽂는 네모난 홈을 마련해 두었다. [[이수|머릿돌]]은 구름과 용무늬를 새겨 놓았는데, 화려하긴 하나 깊이 새긴 것은 아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040000,37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비문===
+
939년([[고려 태조|태조]] 22)에 세운 비로, 비문은 [[최언위|최인연(崔仁渷)]]이 짓고, 글씨는 자경 2㎝의 구양순체(歐陽詢體)<ref>중국 당나라 초의 서예가 구양순의 서체.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8795 구양순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해서]]로 [[이환추|이환추(李桓樞)]]가 글씨를 썼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040000,37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비의 뒷면에는 [[진공]]의 유계(遺誡)를 새겼는데 역시 구양순체의 [[해서]]이다. [[이수|머릿돌]] 가운데의 ‘故眞空大師碑(고진공대사비)’라는 [[제액|전액(篆額)]]도 [[이환추]]가 썼다.<ref>김응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1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체·보수===
+
===비문===
 +
비문의 내용은 대사의 탄생과 출가 그리고 순례행과 [[고려 태조|태조]]를 만난 인연 등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특이하게 음기(陰記: 비석 뒷면의 글)에 대사의 유계(遺誡)를 상세하게 기술하여 후학들의 경계로 삼은 데서 고려초 선사들의 의식과 사제관계 및 교단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3 영월흥녕사징효대사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비문정보
 
{{비문정보
 
|비문1=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7#none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비문1=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7#none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2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7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비문3="[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2A_0050_010_0010_2011_001_XML 무염 화상 비명]", 고운집 제2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와 진공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53/monk_jingo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보령 성주사]]  || A는 B에 있었다 ||
+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영주 비로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보령 성주사지]] || [[보령 성주사]]  || A는 B의 터이다 ||
 
 
|-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신라 진성여왕]]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고려 태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무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진공]]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치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최언위|최인연]]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언위|최인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김범청]]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 [[최환규]]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사산비명]]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A는 B를 포함한다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
===가상현실===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gallery>
 
 
 
===영상===
 
* OPEN TV, "[https://www.youtube.com/watch?v=T9GJzAUCD1c (3D 입체영상)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YouTube, 게시일: 2016년 02월 08일.
 
 
<html>
 
<html>
<iframe width="500" height="300" src="https://www.youtube.com/embed/T9GJzAUCD1c?ecver=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9/Biro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9/Biro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주석'''==
 
=='''주석'''==
79번째 줄: 7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040000,37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3 영월흥녕사징효대사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응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1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85번째 줄: 86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탑비]]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2월 21일 (목) 14:01 기준 최신판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榮州 毘盧寺 眞空大師 普法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한자 榮州 毘盧寺 眞空大師 普法塔碑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391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4호
문화재 지정일 1972년 12월 29일
찬자 최인연(崔仁渷)
서자 이환추(李桓樞)
각자 최환규(崔煥規)
서체 해서(楷書)
승려 진공
건립연대 939년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비로사(毘盧寺)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승려 진공대사(眞空大師, 855-937)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높이 173㎝, 너비 102㎝, 두께 22㎝이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호로 비로사(毘盧寺) 안에 있는 진공대사(眞空大師)의 탑비이다. 진공대사는 가야산 선융(善融)의 제자가 되어 소백산에 절을 짓고 주지로 있다가, 937년(태조 20)에 입적하였다. 태조는 시호를 ‘진공대사(眞空大師)’라 하고, ‘보법(普法)’이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1]

비의 형태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산(山)모양의 머릿돌을 얹은 모습인데, 비몸이 갈라져 일부가 파손되었다. 거북받침은 새겨진 조각이 얕아 둔해 보이며 등 중앙에 비를 꽂는 네모난 홈을 마련해 두었다. 머릿돌은 구름과 용무늬를 새겨 놓았는데, 화려하긴 하나 깊이 새긴 것은 아니다.[2]

939년(태조 22)에 세운 비로, 비문은 최인연(崔仁渷)이 짓고, 글씨는 자경 2㎝의 구양순체(歐陽詢體)[3] 해서이환추(李桓樞)가 글씨를 썼다.[4]

비의 뒷면에는 진공의 유계(遺誡)를 새겼는데 역시 구양순체의 해서이다. 머릿돌 가운데의 ‘故眞空大師碑(고진공대사비)’라는 전액(篆額)이환추가 썼다.[5]

비문

비문의 내용은 대사의 탄생과 출가 그리고 순례행과 태조를 만난 인연 등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특이하게 음기(陰記: 비석 뒷면의 글)에 대사의 유계(遺誡)를 상세하게 기술하여 후학들의 경계로 삼은 데서 고려초 선사들의 의식과 사제관계 및 교단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6]


비문 보러가기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 관계망

  •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와 진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영주 비로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고려 태조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진공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최인연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이환추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최환규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주석

  1.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중국 당나라 초의 서예가 구양순의 서체. "구양순체", 『두산백과』online.
  4.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김응현 ,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영월흥녕사징효대사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