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광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내용'''==
 
=='''내용'''==
직사각형으로 가슴에 한 번 두를 수 있는 길이로 만든다. 두껍게 접은 종이를 검은 빛의 우단이나 비단으로 싼 요대는 가슴에 둘러 조여줌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긴장을 늦추지 않도록 하였다. [[왕]]은 길상무늬를 다양한 색으로 수놓아 다른 신분의 [[요대]]와 구별하였다.<ref>이은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501&cid=58840&categoryId=58853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직사각형으로 가슴에 한 번 두를 수 있는 길이로 만든다. 두껍게 접은 종이를 검은 빛의 우단이나 비단으로 싸서 요대를 만든다. 이를 가슴에 둘러 조여줌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긴장을 늦추지 않도록 하였다. [[왕]]은 길상무늬를 다양한 색으로 수놓아 다른 신분의 [[요대]]와 구별하였다.<ref>이은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501&cid=58840&categoryId=58853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2월 18일 (월) 23:22 기준 최신판


광대
(廣帶)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광대
한자표기 廣帶
이칭별칭 요대(腰帶)
구분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 왕세자, 백관 등이 군복 위에 착용하는 허리띠이다.[1]

내용

직사각형으로 가슴에 한 번 두를 수 있는 길이로 만든다. 두껍게 접은 종이를 검은 빛의 우단이나 비단으로 싸서 요대를 만든다. 이를 가슴에 둘러 조여줌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긴장을 늦추지 않도록 하였다. 은 길상무늬를 다양한 색으로 수놓아 다른 신분의 요대와 구별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광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광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 광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군복 광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군복 광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광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광대 동다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광대 전복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이은주,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이은주,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3.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