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두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내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사진=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족두리04 고궁박물관.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
|대표명칭= 족두리 | |대표명칭= 족두리 | ||
|한자표기= 簇頭里 | |한자표기= 簇頭里 | ||
|이칭별칭= 簇頭伊, 족두(足頭), 족관(簇冠), 죡도리 | |이칭별칭= 簇頭伊, 족두(足頭), 족관(簇冠), 죡도리 | ||
|구분= 수식 | |구분= 수식 | ||
− | |착용신분= 왕실, 궁중, | + | |착용신분= 왕실, 궁중, 평민 |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여성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후기의 | + | 조선후기의 [[가체]]를 대신하는 의례용 수식으로 제도화된 이후 왕실과 민간에 착용되었으며, 오늘날 전통 혼례에서도 착용하는 여성 예관(禮冠)이다. <ref>金知娟, 「朝鮮時代 女性 禮冠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94쪽.</ref> |
=='''내용'''== | =='''내용'''== | ||
− | + | 왕실과 궁중에서는 [[당의]]를 입을 때 착용하였고, 사대부와 일반 백성들은 [[혼례]]에 착용한 관이다. 조선시대 학자 [[이규경|이규경(李圭景)]]은 "원나라에서 왕비에게 하사한 ‘고고리’가 와전되어 ‘족두리’가 변했다."고 하였고,<ref>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人事篇, 服食類」, ‘東國婦女首飾辨證說’, “『高麗史』元賜王妃古古里, 卽冠名傳於世, 則今簇頭里, 無乃古古里之音近而訛者歟.”</ref> [[박규수|박규수(朴珪壽)]]는 "원나라 사람들이 말이 죽으면 불쌍하게 여겨 그 말굽 모양을 취해 머리에 쓰던 족두(足兜)의 남겨진 형상에서 유래했다."고 하였다.<ref>朴珪壽, 『居家雜服攷』, 「內服」, “按, 所謂娘子頭者, 旣在腦後, 則頂上空處, 乃有小戴, 非冠非帽, 正如脫取馬蹄而仰置之形, 俗名足兜, 未知創自何時, 或云, 亦是元俗也. 胡人本以鞍馬爲家馳逐爲生, 故馬死則憐之, 取其制而戴之, 足兜之形, 卽其遺象, 故因名足兜也.”</ref> 국문학계에서는 알타이어 계통의 순수 우리말인 족+두리의 합성어라고 밝히고 있다. | |
− | + | {{Blockquote|족두리는 ‘족’과 ‘두리’로 나눌 수 있다. 족두리는 머리에 쓰는 것이다. 따라서 머리에서 기원한 말일 것이다 ‘두리’는 머리의 본뜻을 지닌다고 하겠다. 어린이를 어를 때 ‘도리도리’ 하는데, 어근 ‘돌’이 머리(頭)의 뜻을 지닌다. tologai(頭), 어근 ‘tol’이 ‘돌(頭)’과 동원어가 된다고 하겠다. ‘족’은 졷>졸>즑>족 변화로서 ‘돋’에서 소급된다. “쪽을 지다, 쪽을 틀다”의 ‘쪽’도 동원어(同源語)일 것이다. | |
− | |||
− | |||
− | |||
− | 왕실과 궁중에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문학계에서는 알타이어 계통의 순수 우리말인 족+두리의 합성어라고 밝히고 있다. | ||
− | {{Blockquote|족두리는 ‘족’과 ‘두리’로 나눌 수 있다. 족두리는 머리에 쓰는 것이다. 따라서 머리에서 기원한 말일 것이다 ‘두리’는 머리의 본뜻을 지닌다고 하겠다. 어린이를 어를 때 ‘도리도리’ 하는데, 어근 ‘돌’이 머리(頭)의 뜻을 지닌다. tologai(頭), 어근 ‘tol’이 ‘돌(頭)’과 동원어가 된다고 하겠다. ‘족’은 졷>졸>즑>족 변화로서 ‘돋’에서 소급된다. “쪽을 지다, 쪽을 틀다”의 ‘쪽’도 | ||
|출처= 서정범, 『국어어원사전』, 보고사, 2000.}} | |출처= 서정범, 『국어어원사전』, 보고사, 2000.}} | ||
+ | [[족두리]]의 형태는 조선 전기(14~16세기)에 앞이 낮고 뒤가 높으며, 옆면이 6~7쪽으로 나뉘고 정수리는 원형의 천 조각을 넓게 대어 편평한 형태이다. 17세기 문헌에 ‘족두리’ 명칭이 처음 등장하며 둥근 정수리가 앞으로 기울어져 위에서 아래로 좁아지는 모양으로 역대 시기별 형태 중 가장 크다. 18세기 이후에는 둘레는 줄어들었지만, 우뚝 솟은 형태로 중심이 뒤쪽으로 이동하였고, 크기도 작아졌다.<ref>金知娟, 「朝鮮時代 女性 禮冠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2~111쪽.</ref> | ||
+ | <br /> | ||
+ | <br /> | ||
+ | 조선 후기 [[다리]]나 [[가체]] 등으로 부녀들의 머리 장식에 소용되는 비용이 커지고, 사치스러워지자 [[영조]]는 1756년(영조 32)에 처음으로 사족 부녀가 [[다리|다리[髢]]]를 사용하는 것을 금하고 [[족두리]]를 쓰게 하였다. 그 후 1758년(영조 34)에도 [[영조]]는 다시 [[다리|다리[髢髻]]]의 사용을 금지하고 궁중의 양식[宮樣]인 [[족두리]]를 사용하라고 명했지만 [[영조]]의 [[다리]] 금지령은 1763년(영조 39)에 철회되었다. [[다리]] 대신 [[족두리]]를 사용하게 했지만, [[족두리]]는 궁중의 양식인데다 [[족두리]]를 보석으로 장식함으로써 소요되는 비용이 [[다리]]와 맞먹었기 때문이었다. [[정조]]는 1788년(정조 12)에 또 다시 [[가체금지령]]을 내려고, [[쪽진 머리]]와 머리에 쓰는 관으로는 [[족두리]]를 권장하였다. 이 금지령은 [[가체신금사목|『가체신금사목(加髢申禁事目)』]]이라는 책자로 인쇄되어 전국에 배포되었다. 조선시대에 [[가체금지령]]으로 인해 [[족두리]]가 권장된 이후, 현재까지도 전통 [[혼례]]에 [[족두리]]가 사용되고 있다.<ref>김문식,「18세기 서울 여성의 머리장식」, 『문헌과 해석』42, 문헌과 해석사, 2006, 38쪽.</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왕비]] || | + | | [[왕비]]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 |- | ||
− | | [[왕세자빈]] || | + | | [[왕세자빈]]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 | [[내명부]]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 |- | ||
− | + | | [[외명부]]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 | |- | ||
+ | | 일반 백성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 | |} | ||
59번째 줄: | 42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시각자료== | + | =='''시각자료'''==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 | 파일: | +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세부명칭_족두리(단대).jpg|19세기 반가용(班家用) 족두리.<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33쪽.</ref> |
− | + | 파일:족두리2.jpg|19세기 반가용(班家用) 족두리.<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32쪽.</ref> | |
− | + | 파일:조반 부인 초상.jpg|족두리를 착용한 조반 부인초상.<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
− | 파일: | ||
− | 파일: |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 * [[오주연문장전산고『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
− | * [[『거가잡복고 | + | * [[거가잡복고|『거가잡복고(居家雜服攷)』]] |
− | * 고미연, 「한국여성의 두식에 관한 연구-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 | * 고미연, 「한국여성의 두식에 관한 연구-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 | * 金知娟,「족두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 | * 김문식, 「18세기 서울 여성의 머리장식」, 『문헌과 해석』 42, 문헌과 해석사, 2006. |
+ | * 金知娟, 「족두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
* 이연화, 「족두리(簇頭里)의 형태 및 제작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 이연화, 「족두리(簇頭里)의 형태 및 제작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
* 정영숙, 「조선시대 부인용 머리장신구 문양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 정영숙, 「조선시대 부인용 머리장신구 문양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2017년 12월 17일 (일) 21:40 기준 최신판
족두리 (簇頭里) |
|
대표명칭 | 족두리 |
---|---|
한자표기 | 簇頭里 |
이칭별칭 | 簇頭伊, 족두(足頭), 족관(簇冠), 죡도리 |
구분 | 수식 |
착용신분 | 왕실, 궁중, 평민 |
착용성별 | 여성 |
정의
조선후기의 가체를 대신하는 의례용 수식으로 제도화된 이후 왕실과 민간에 착용되었으며, 오늘날 전통 혼례에서도 착용하는 여성 예관(禮冠)이다. [1]
내용
왕실과 궁중에서는 당의를 입을 때 착용하였고, 사대부와 일반 백성들은 혼례에 착용한 관이다. 조선시대 학자 이규경(李圭景)은 "원나라에서 왕비에게 하사한 ‘고고리’가 와전되어 ‘족두리’가 변했다."고 하였고,[2] 박규수(朴珪壽)는 "원나라 사람들이 말이 죽으면 불쌍하게 여겨 그 말굽 모양을 취해 머리에 쓰던 족두(足兜)의 남겨진 형상에서 유래했다."고 하였다.[3] 국문학계에서는 알타이어 계통의 순수 우리말인 족+두리의 합성어라고 밝히고 있다.
족두리의 형태는 조선 전기(14~16세기)에 앞이 낮고 뒤가 높으며, 옆면이 6~7쪽으로 나뉘고 정수리는 원형의 천 조각을 넓게 대어 편평한 형태이다. 17세기 문헌에 ‘족두리’ 명칭이 처음 등장하며 둥근 정수리가 앞으로 기울어져 위에서 아래로 좁아지는 모양으로 역대 시기별 형태 중 가장 크다. 18세기 이후에는 둘레는 줄어들었지만, 우뚝 솟은 형태로 중심이 뒤쪽으로 이동하였고, 크기도 작아졌다.[4]
조선 후기 다리나 가체 등으로 부녀들의 머리 장식에 소용되는 비용이 커지고, 사치스러워지자 영조는 1756년(영조 32)에 처음으로 사족 부녀가 다리[髢]를 사용하는 것을 금하고 족두리를 쓰게 하였다. 그 후 1758년(영조 34)에도 영조는 다시 다리[髢髻]의 사용을 금지하고 궁중의 양식[宮樣]인 족두리를 사용하라고 명했지만 영조의 다리 금지령은 1763년(영조 39)에 철회되었다. 다리 대신 족두리를 사용하게 했지만, 족두리는 궁중의 양식인데다 족두리를 보석으로 장식함으로써 소요되는 비용이 다리와 맞먹었기 때문이었다. 정조는 1788년(정조 12)에 또 다시 가체금지령을 내려고, 쪽진 머리와 머리에 쓰는 관으로는 족두리를 권장하였다. 이 금지령은 『가체신금사목(加髢申禁事目)』이라는 책자로 인쇄되어 전국에 배포되었다. 조선시대에 가체금지령으로 인해 족두리가 권장된 이후, 현재까지도 전통 혼례에 족두리가 사용되고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비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왕세자빈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내명부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외명부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일반 백성 | 족두리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金知娟, 「朝鮮時代 女性 禮冠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94쪽.
- ↑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人事篇, 服食類」, ‘東國婦女首飾辨證說’, “『高麗史』元賜王妃古古里, 卽冠名傳於世, 則今簇頭里, 無乃古古里之音近而訛者歟.”
- ↑ 朴珪壽, 『居家雜服攷』, 「內服」, “按, 所謂娘子頭者, 旣在腦後, 則頂上空處, 乃有小戴, 非冠非帽, 正如脫取馬蹄而仰置之形, 俗名足兜, 未知創自何時, 或云, 亦是元俗也. 胡人本以鞍馬爲家馳逐爲生, 故馬死則憐之, 取其制而戴之, 足兜之形, 卽其遺象, 故因名足兜也.”
- ↑ 金知娟, 「朝鮮時代 女性 禮冠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2~111쪽.
- ↑ 김문식,「18세기 서울 여성의 머리장식」, 『문헌과 해석』42, 문헌과 해석사, 2006, 38쪽.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33쪽.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32쪽.
- ↑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오주연문장전산고『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 『거가잡복고(居家雜服攷)』
- 고미연, 「한국여성의 두식에 관한 연구-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김문식, 「18세기 서울 여성의 머리장식」, 『문헌과 해석』 42, 문헌과 해석사, 2006.
- 金知娟, 「족두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이연화, 「족두리(簇頭里)의 형태 및 제작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정영숙, 「조선시대 부인용 머리장신구 문양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