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홍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홍건01 김아람.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홍건
 
|대표명칭= 홍건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별칭=  
 
|이칭별칭=  
 
|구분= 관 및 쓰개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
|착용신분= [[연배군]] 등 하급 관리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
 
}}
 +
 
=='''정의'''==
 
=='''정의'''==
건(巾)은 주로 궁궐 안의 말직(末職) 관리들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 할 때 착용한 것으로, 소속 관서에 따라 색이 다르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
조선의 [[연배군]] 등 주로 궁궐 안의 하급 관리들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할 때 착용한 홍색의 건(巾)이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내용'''==
 
=='''내용'''==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건이 다량(청(靑) : 96점, 황(黃) : 186점, 홍(紅) : 50점)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되어 있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의 매듭끈으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무명 소색(素色)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있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
궁궐에서는 머리에 쓰는 건의 색을 달리 하여 소속 관서를 구분하였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건은 청(靑) 96점, 황(黃) 186점, 홍(紅) 50점이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하였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에 달려 있는 매듭끈으로 턱밑에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소색(素色) 베로 만든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 있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1번째 줄: 22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연배군]]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연배군]] || 홍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말단 관리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말단 관리 || 홍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33번째 줄: 34번째 줄:
  
 
=='''주석'''==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45번째 줄: 47번째 줄: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한국의류학회, 1995.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한국의류학회, 1995.
 
*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2월 17일 (일) 18:01 기준 최신판


홍건
(紅巾)
궁중기록화 복식 홍건01 김아람.png
대표명칭 홍건
한자표기 紅巾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연배군 등 하급 관리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의 연배군 등 주로 궁궐 안의 하급 관리들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할 때 착용한 홍색의 건(巾)이다.[1]

내용

궁궐에서는 머리에 쓰는 건의 색을 달리 하여 소속 관서를 구분하였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건은 청(靑) 96점, 황(黃) 186점, 홍(紅) 50점이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하였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에 달려 있는 매듭끈으로 턱밑에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소색(素色) 베로 만든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연배군 홍건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말단 관리 홍건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2.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惠京, 「昌德宮所藏 嘉禮班次圖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金貞振ㆍ白英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金鎭玖, 「고깔의 比較 言語學的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복식문화학회, 1995.
  • 朴聖實, 「殯殿都監儀軌에 나타난 服飾硏究(I) -懿仁王后 및 仁穆王后를 중심으로-」, 『服飾』 16권, 한국복식학회, 1991.
  • 李京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91.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한국의류학회, 1995.
  •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