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청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_복식_청건_김아람.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청건
 
|대표명칭= 청건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
조선 궁궐의 하급 관리들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할 때 착용한 청색의 건(巾)이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내용'''==
 
=='''내용'''==
===복식세부===
+
궁궐에서는 머리에 쓰는 건의 색을 달리 하여 소속 관서를 구분하였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건은 청(靑) 96점, 황(黃) 186점, 홍(紅) 50점이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하였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에 달려 있는 매듭끈으로 턱밑에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소색(素色) 베로 만든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있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착용신분===
+
=='''지식 관계망'''==
 
 
===착용상황===
 
===형태===
 
건(巾)은 주로 궁궐 안의 말직(末職) 관리들이 쓰던 것으로, 소속 관서에 따라 색이 다르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건이 다량(청(靑) : 96점, 황(黃) : 186점, 홍(紅) : 50점) 소장되어 있다. <그림 111>과 같이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되어 있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의 매듭끈으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무명 소색(素色)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있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p. 17.</ref>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건 유물을 참고하여 청건의 형태도 동일하게 보았다. 참조 반차도 및 의궤 반차도에 표현되어 있는 청의나 홍의를 입는 신분들은 건의 색이 의(衣)와 동일하게 표현되어 있으므로 청의와 동일한 색으로하여 청건을 일러스트로 구현하였다. 유물과 같이 접히는 부분에 턱에 매는 끈을 건의 색과 동일하게 표현하고 정수리에 소색의 솜뭉치 3개도 유물을 참고하여 표현하였다.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청선]] || 청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말단 관리 || 청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청건01 조선시대궁중복식17쪽.jpg | 현전하는 건의 유물.<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
</gallery>
 +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유용한 정보===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金惠京, 「昌德宮所藏 嘉禮班次圖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 金貞振ㆍ白英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 金鎭玖, 「고깔의 比較 言語學的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복식문화학회, 1995.
 +
* 朴聖實, 「殯殿都監儀軌에 나타난 服飾硏究(I) -懿仁王后 및 仁穆王后를 중심으로-」, 『服飾』 16권, 한국복식학회, 1991.
 +
* 李京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91.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한국의류학회, 1995.
 +
*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2월 17일 (일) 17:16 기준 최신판


청건
(靑巾)
궁중기록화 복식 청건 김아람.jpg
대표명칭 청건
한자표기 靑巾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 궁궐의 하급 관리들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할 때 착용한 청색의 건(巾)이다.[1]

내용

궁궐에서는 머리에 쓰는 건의 색을 달리 하여 소속 관서를 구분하였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건은 청(靑) 96점, 황(黃) 186점, 홍(紅) 50점이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하였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에 달려 있는 매듭끈으로 턱밑에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소색(素色) 베로 만든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청선 청건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말단 관리 청건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2.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3.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惠京, 「昌德宮所藏 嘉禮班次圖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金貞振ㆍ白英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金鎭玖, 「고깔의 比較 言語學的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복식문화학회, 1995.
  • 朴聖實, 「殯殿都監儀軌에 나타난 服飾硏究(I) -懿仁王后 및 仁穆王后를 중심으로-」, 『服飾』 16권, 한국복식학회, 1991.
  • 李京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91.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한국의류학회, 1995.
  •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