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진보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잔글 (→장서각본 고문진보의 성격 및 의의)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 | [[상설고문진보대전|'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은 본래 전집 12권, 후집 10권, 모두 22권으로 되어 있으나 본 장서각본 [[고문진보언해|'고문진보언해']]는 전집 권 1-5・7, 후집 권6・7만이 현존한다. 번역한 연대와 번역자는 알 수 없다. | |
− | [[고문진보|'고문진보']]는 옛 글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훌륭한 작품을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도 | + | [[고문진보|'고문진보']]는 옛 글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훌륭한 작품을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도 문인들이 시문(詩文)을 수련하기 위한 교재로 많이 사용하였다. 주나라 전국시대 [[굴원|굴원(屈原)]]의 [[초사]]로부터, 진나라・한나라, 그리고 육조시대 및 당나라・송나라 등 역대의 유명한 시문을 망라하여 수록하였다. 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장서각]] 소장본은 그 한글 표기나 [[영빈이씨|영빈이씨(暎嬪李氏,1696-1764)]]의 장서인(藏書印)<ref>장서인(藏書印) : 소장한 도서에 찍어 놓음으로써 그 도서의 소유사항을 나타내는 도장.</ref>으로 보아 [[조선 영조]] 연간(1694-1762)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문진보]]'를 모두 언해한 것은 아니고 발췌하여 언해하였다.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에는 한자음을 한글로 먼저 쓴 뒤 그 왼쪽에 한문 원문을 싣고, 하단에는 상단의 한문을 언해하였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52쪽.</REF> |
===현존 고문진보의 특징=== | ===현존 고문진보의 특징=== | ||
− | 현재 [[고려대학교 육당문고]]에 전집 권2-12, 후집 권1-6의 17권 8책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장서각]]도서에 후집 권7-10의 4권과 『문장궤범』이 모두 6책으로 소장되어 있다. 육당문고본과 장서각본의 필체는 동일인의 것이며, 제목도 모두 [[상설고문진보언해|'상설고문진보언해']]로 되어 있다. 필사기가 없어 그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언해에 나타난 한글표기로 추정하여 보면 18세기말에서 19세기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REF> 홍윤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578 고문진보언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책의 전집 권3과 후집 권1의 | + | 현재 [[고려대학교 육당문고]]에 전집 권2-12, 후집 권1-6의 17권 8책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장서각]]도서에 후집 권7-10의 4권과 『문장궤범』이 모두 6책으로 소장되어 있다. 육당문고본과 장서각본의 필체는 동일인의 것이며, 제목도 모두 [[상설고문진보언해|'상설고문진보언해']]로 되어 있다. 필사기가 없어 그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언해에 나타난 한글표기로 추정하여 보면 18세기말에서 19세기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REF> 홍윤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578 고문진보언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책의 전집 권3과 후집 권1의 앞에는 조선시대 서화가인 [[윤용구|윤용구(尹用求)]]가 68세 때 쓴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古文眞寶諺解落秩補充事實)]]이 실려 있다. 그 내용으로도 이 책이 19세기 초에도 존재하였던 것을 추정할 수 있다 |
===장서각본 고문진보의 성격 및 의의=== | ===장서각본 고문진보의 성격 및 의의=== | ||
− | 이 책은 한문 | + | 이 책은 한문 원문에 한글로 한자음과 토를 달아 앞에 싣고 그 뒤에 한글로 된 언해문을 실었다. 언해문에도 한자와 한자음을 달아놓고 있다. 또, 다른 이본인 장서각본은 제목이 [[고문진보언해|'고문진보언해']]로 되어 있으며, 전집 권1-5·7, 후집 권6·7만이 현존하는 8권 8책의 낙질본(落帙本)이다. 이 책은 그 한글표기나 장서인(藏書印)으로 보아 영조연간(1694-1762)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나 그 필사자 및 언해자는 알 수 없다. 앞의 [[상설고문진보언해|『상설고문진보언해』]]와는 달리 [[고문진보|『고문진보』]]를 모두 언해한 것이 아니고 발췌하여 언해한 것이다.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에는 한자음을 한글로 먼저 쓰고 그 왼쪽에 한문 원문을 싣고 있고, 하단에는 상단의 한문을 한글로 언해하여 놓았다. 장서각본은 앞의 육당문고본에 비하여 의역체(意譯體)로 되어 있다.[3] |
<!-- | <!-- | ||
『고문진보』는 ‘고문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그 진수를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 나라에서도 문인들의 시문 수련을 위한 교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 책은 한문학연구와 국어사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문헌이다. 1986년 고려서림(高麗書林)에서 4책으로 묶어 영인하였으나 장서각본은 제외하였다. | 『고문진보』는 ‘고문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그 진수를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 나라에서도 문인들의 시문 수련을 위한 교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 책은 한문학연구와 국어사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문헌이다. 1986년 고려서림(高麗書林)에서 4책으로 묶어 영인하였으나 장서각본은 제외하였다. |
2017년 12월 13일 (수) 00:45 기준 최신판
고문진보언해 | |
한자명칭 | 古文眞寶諺解 |
---|---|
영문명칭 | A Korean translation of ancient Chinese writings |
작성시기 | 숙종 후반 |
간행시기 | 조선 영조 연간(1694-1762년 사이)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4-389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0.3×23.5㎝ |
판본 | 필사본 |
수량 | 8책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송나라 황견이 편찬한 '상설고문진보대전'을 조선 후기에 한글로 번역한 언해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은 본래 전집 12권, 후집 10권, 모두 22권으로 되어 있으나 본 장서각본 '고문진보언해'는 전집 권 1-5・7, 후집 권6・7만이 현존한다. 번역한 연대와 번역자는 알 수 없다. '고문진보'는 옛 글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훌륭한 작품을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도 문인들이 시문(詩文)을 수련하기 위한 교재로 많이 사용하였다. 주나라 전국시대 굴원(屈原)의 초사로부터, 진나라・한나라, 그리고 육조시대 및 당나라・송나라 등 역대의 유명한 시문을 망라하여 수록하였다. 본 장서각 소장본은 그 한글 표기나 영빈이씨(暎嬪李氏,1696-1764)의 장서인(藏書印)[1]으로 보아 조선 영조 연간(1694-1762)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문진보'를 모두 언해한 것은 아니고 발췌하여 언해하였다.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에는 한자음을 한글로 먼저 쓴 뒤 그 왼쪽에 한문 원문을 싣고, 하단에는 상단의 한문을 언해하였다. [2]
현존 고문진보의 특징
현재 고려대학교 육당문고에 전집 권2-12, 후집 권1-6의 17권 8책이, 장서각도서에 후집 권7-10의 4권과 『문장궤범』이 모두 6책으로 소장되어 있다. 육당문고본과 장서각본의 필체는 동일인의 것이며, 제목도 모두 '상설고문진보언해'로 되어 있다. 필사기가 없어 그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언해에 나타난 한글표기로 추정하여 보면 18세기말에서 19세기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3] 이 책의 전집 권3과 후집 권1의 앞에는 조선시대 서화가인 윤용구(尹用求)가 68세 때 쓴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古文眞寶諺解落秩補充事實)이 실려 있다. 그 내용으로도 이 책이 19세기 초에도 존재하였던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장서각본 고문진보의 성격 및 의의
이 책은 한문 원문에 한글로 한자음과 토를 달아 앞에 싣고 그 뒤에 한글로 된 언해문을 실었다. 언해문에도 한자와 한자음을 달아놓고 있다. 또, 다른 이본인 장서각본은 제목이 '고문진보언해'로 되어 있으며, 전집 권1-5·7, 후집 권6·7만이 현존하는 8권 8책의 낙질본(落帙本)이다. 이 책은 그 한글표기나 장서인(藏書印)으로 보아 영조연간(1694-1762)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나 그 필사자 및 언해자는 알 수 없다. 앞의 『상설고문진보언해』와는 달리 『고문진보』를 모두 언해한 것이 아니고 발췌하여 언해한 것이다.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에는 한자음을 한글로 먼저 쓰고 그 왼쪽에 한문 원문을 싣고 있고, 하단에는 상단의 한문을 한글로 언해하여 놓았다. 장서각본은 앞의 육당문고본에 비하여 의역체(意譯體)로 되어 있다.[3]
지식 관계망
- 고문진보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문진보언해 | 상설고문진보대전 | A는 B의 언해본이다 | A edm:isDerivativeOf B |
상설고문진보대전 | 황견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고문진보언해 | 영빈이씨 장서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영빈이씨 장서인 | 영빈이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영조 | 영빈이씨 | A는 첩 B를 두었다 | A ekc:hasConcubine B |
고문진보언해 |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 | 윤용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고문진보언해 | 초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초사 | 굴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고문진보언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고문진보언해 | 고려대학교 육당문고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고문진보언해 | 고려서림 | A는 B에 의해 영인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고문진보언해 |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94-1762년 사이 | 고문진보언해가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고문진보언해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장서인(藏書印) : 소장한 도서에 찍어 놓음으로써 그 도서의 소유사항을 나타내는 도장.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52쪽.
- ↑ 홍윤표, "고문진보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저서
- 황견·황정견·정규복, 『古文眞寶諺解』, 高麗書林, 1986.
- 조윤제, 『陶南雜識』, 乙酉文化社, 1964
- 논문
- 천혜봉, 「古文眞寶大全에 대하여」, 『역사학보』 61, 歷史學會, 1974, 103-12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