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빈박씨애책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잔글 (→유빈박씨의 가계와 세도정치의 기원)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로마자명칭= | |로마자명칭= | ||
|영문명칭=A condolence written in Korean when burying Yubin Park, the biological mother of Sunjo | |영문명칭=A condolence written in Korean when burying Yubin Park, the biological mother of Sunjo | ||
− | |작자= 남공철 | + | |작자= [[남공철]] |
|작성시기= | |작성시기= | ||
|간행시기= 1823년(순조23) | |간행시기= 1823년(순조23) | ||
|간행처= | |간행처= | ||
|기탁처= | |기탁처= |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2-3019 | |청구기호=2-3019 | ||
|유형= 고문서 | |유형= 고문서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정의'''== | ||
+ | 1823년(순조 23) 2월 27일에 [[유빈박씨]]를 [[양주 배봉산]]에 안장하며 지은 애책문을 한글로 옮겨 적은 것이다. | ||
− | == | + | =='''내용'''== |
−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유빈박씨|유빈박씨(綏嬪朴氏, 1770~1822)]]는 [[조선 정조 | 정조]]의 후궁이며 [[조선 순조 | 순조]]의 생모로, 1822년 12월 26일 [[창덕궁 보경당]]에서 세상을 떠났다. 당시 영의정이었던 [[남공철|남공철(南公轍, 1760~1840)]]이 지었다. 애책문은 발인 전에 거행하는 견전(遣奠) 때 읽는다. 왕실의 여성이 주관하는 예식에는 남성이 참여할 수 없으므로 한문을 알지 못하는 [[여관|여관(女官)]]을 위해 한문본을 한글로 옮겨 적은 것이다. 붉은먹으로 칸을 그리고 반듯한 정자체로 한글을 적었다. 또한 의미 구분을 위해 끊어 읽어야 하는 위치에 붉은 먹으로 표점을 찍었다. [[유빈박씨]]의 명칭에 대해 그동안 '綏'의 음을 '수'로 읽기도 하고 '유'로 읽기도 하였다. 그런데 한자의 독음을 옮긴 이 자료에서 '綏'를 '유'로 표기하고 있어 명칭의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 ||
+ | 이 글은 [[유빈박씨]]의 깊고도 아름다운 성품을 칭송하며, 세상을 떠났지만 아름다운 덕은 영원히 사람들에게 남아 전할 것이라는 위로의 내용을 담고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30쪽.</REF> | ||
+ | ===[[유빈박씨]]의 가계와 세도정치의 기원=== | ||
+ | [[유빈박씨]]의 아버지는 [[박준원|박준원(朴準源, 1739~1807)]]으로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유빈박씨]]가 간택된 이후로 벼슬이 보은 현감에 이르렀다. [[조선 순조 | 순조]]가 즉위했을 때는 [[정순왕후]]에 의해 호조, 형조, 공조의 판서와 금위대장(禁衛大將) 등 삼영(三營)의 병권(兵權)을 8년 동안 잡았다. | ||
+ | <ref>이원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1192 박준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유빈박씨]]의 큰오빠는 [[박종보|박종보(朴宗輔, 1760~1808)]]인데 벼슬은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정순왕후]]가 수렴 청정할 때 [[조선 순조 | 순조]]의 측근세력이 필요해짐에 따라 중용되었다. 벼슬이 호조판서까지 올라갔으나, 음관(蔭官)출신이라며 거듭 사양했다. 성품이 좋았고 재물에 관심이 없었다. 유년시절에 가난하게 살았는데 벼슬 직위가 올라 녹봉이 올라가자 자신보다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을 자주 도왔다. | ||
+ | <ref>원유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1165 박종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박종보]]의 동생은 [[박종경|박종경(朴宗慶, 1765~1817)]]으로 벼슬은 호조판서까지 올랐다. 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자 훈련도감으로 제직하면서 군심을 맡았다. 하지만 1812년에 인척과 비리에 대한 문제로 상소를 받자 사직을 청하고 양주목사로 좌천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 ||
+ | <ref>원유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1159 박종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정순왕후]]가 대리청정할 때는 미약한 [[조선 순조 | 순조]]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반남박씨]] 인척들로 구성되는 사람들이 많았다. [[조선 정조 | 정조]] 이후부터 왕가의 친척들로 구성된 특정 가문이 정치를 좌지우지하는 [[세도정치]]의 씨앗이 이때부터 생겨난 것이다. | ||
+ | <ref>한영국, 오수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786 세도정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 [[유빈박씨애책문]] || [[남공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 [[유빈박씨]] || [[양주 배봉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정조]] || [[유빈박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 + | | [[순조]] || [[유빈박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
− | + | |- | |
− | + | | [[유빈박씨애책문]] || [[유빈박씨]]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박준원]] || [[유빈박씨]]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
+ | |- | ||
+ | | [[박종보]] || [[유빈박씨]]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
+ | |- | ||
+ | | [[박종경]] || [[유빈박씨]]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
+ | |- | ||
+ | | [[박종경]] || [[홍경래의 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정순왕후]] || [[정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 [[정순왕후]] || [[세도정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세도정치]] || [[반남 박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반남 박씨]] || [[유빈박씨]]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 [[반남 박씨]] || [[박준원]]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 [[반남 박씨]] || [[박종보]]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 [[반남 박씨]] || [[박종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 | + | |1823년||[[유빈박씨애책문]]이 간행되었다.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39197||127.054387||[[유빈박씨애책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37.580811||127.064225||[[유빈박씨]]는 [[양주 배봉산]]에 안장되었다. | |
|- | |- | ||
− | + | |37.579871||126.991417||[[유빈박씨]]는 [[창덕궁 보경당]]에서 세상을 떠났다.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한글팀 유빈박씨 애책문 한글 02 한글전문1.jpg | 유빈박씨 애책문 한글전문1 | ||
+ | 파일:한글팀 유빈박씨 애책문 한글 03 한글전문2.jpg | 유빈박씨 애책문 한글전문2 | ||
+ | </gallery>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참고문헌'''== | |
− | == | + | ===더 읽을 거리=== |
*논문 | *논문 | ||
− | * | + | **박현모, 「세도정치기(1800-1863) 조선의 대외정책 연구」, 『國際政治論叢』, Vol-44 No4, 한국국제정치학회, 2004, 7~26쪽. |
− | * | + | **김영민, 「친족집단의 정치적 정당성」, 『한국학논집』, Vol-4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2, 215~251쪽. |
− | * | + | **박현모, 「세도정치기(1800-63)의 정국운영과 언론 연구」, 『동양정치사상사』, Vol-6,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163~187쪽. |
− | |||
− |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
2017년 12월 12일 (화) 22:40 기준 최신판
유빈박씨애책문 | |
한자명칭 | 綏嬪朴氏哀冊文 |
---|---|
영문명칭 | A condolence written in Korean when burying Yubin Park, the biological mother of Sunjo |
작자 | 남공철 |
간행시기 | 1823년(순조23)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2-3019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19.0×15.9cm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첩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1823년(순조 23) 2월 27일에 유빈박씨를 양주 배봉산에 안장하며 지은 애책문을 한글로 옮겨 적은 것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유빈박씨(綏嬪朴氏, 1770~1822)는 정조의 후궁이며 순조의 생모로, 1822년 12월 26일 창덕궁 보경당에서 세상을 떠났다. 당시 영의정이었던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이 지었다. 애책문은 발인 전에 거행하는 견전(遣奠) 때 읽는다. 왕실의 여성이 주관하는 예식에는 남성이 참여할 수 없으므로 한문을 알지 못하는 여관(女官)을 위해 한문본을 한글로 옮겨 적은 것이다. 붉은먹으로 칸을 그리고 반듯한 정자체로 한글을 적었다. 또한 의미 구분을 위해 끊어 읽어야 하는 위치에 붉은 먹으로 표점을 찍었다. 유빈박씨의 명칭에 대해 그동안 '綏'의 음을 '수'로 읽기도 하고 '유'로 읽기도 하였다. 그런데 한자의 독음을 옮긴 이 자료에서 '綏'를 '유'로 표기하고 있어 명칭의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이 글은 유빈박씨의 깊고도 아름다운 성품을 칭송하며, 세상을 떠났지만 아름다운 덕은 영원히 사람들에게 남아 전할 것이라는 위로의 내용을 담고 있다.[1]
유빈박씨의 가계와 세도정치의 기원
유빈박씨의 아버지는 박준원(朴準源, 1739~1807)으로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유빈박씨가 간택된 이후로 벼슬이 보은 현감에 이르렀다. 순조가 즉위했을 때는 정순왕후에 의해 호조, 형조, 공조의 판서와 금위대장(禁衛大將) 등 삼영(三營)의 병권(兵權)을 8년 동안 잡았다. [2] 유빈박씨의 큰오빠는 박종보(朴宗輔, 1760~1808)인데 벼슬은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정순왕후가 수렴 청정할 때 순조의 측근세력이 필요해짐에 따라 중용되었다. 벼슬이 호조판서까지 올라갔으나, 음관(蔭官)출신이라며 거듭 사양했다. 성품이 좋았고 재물에 관심이 없었다. 유년시절에 가난하게 살았는데 벼슬 직위가 올라 녹봉이 올라가자 자신보다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을 자주 도왔다. [3] 박종보의 동생은 박종경(朴宗慶, 1765~1817)으로 벼슬은 호조판서까지 올랐다. 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자 훈련도감으로 제직하면서 군심을 맡았다. 하지만 1812년에 인척과 비리에 대한 문제로 상소를 받자 사직을 청하고 양주목사로 좌천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4] 정순왕후가 대리청정할 때는 미약한 순조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반남박씨 인척들로 구성되는 사람들이 많았다. 정조 이후부터 왕가의 친척들로 구성된 특정 가문이 정치를 좌지우지하는 세도정치의 씨앗이 이때부터 생겨난 것이다. [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유빈박씨애책문 | 남공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유빈박씨 | 양주 배봉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조 | 유빈박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순조 | 유빈박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유빈박씨애책문 | 유빈박씨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박준원 | 유빈박씨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박종보 | 유빈박씨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박종경 | 유빈박씨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박종경 | 홍경래의 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순왕후 | 정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정순왕후 | 세도정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세도정치 | 반남 박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반남 박씨 | 유빈박씨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반남 박씨 | 박준원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반남 박씨 | 박종보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반남 박씨 | 박종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23년 | 유빈박씨애책문이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유빈박씨애책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37.580811 | 127.064225 | 유빈박씨는 양주 배봉산에 안장되었다. |
37.579871 | 126.991417 | 유빈박씨는 창덕궁 보경당에서 세상을 떠났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30쪽.
- ↑ 이원균, "박준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원유한, "박종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원유한, "박종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영국, 오수창, "세도정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박현모, 「세도정치기(1800-1863) 조선의 대외정책 연구」, 『國際政治論叢』, Vol-44 No4, 한국국제정치학회, 2004, 7~26쪽.
- 김영민, 「친족집단의 정치적 정당성」, 『한국학논집』, Vol-4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2, 215~251쪽.
- 박현모, 「세도정치기(1800-63)의 정국운영과 언론 연구」, 『동양정치사상사』, Vol-6,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163~187쪽.